국제

침팬지의 어머니, 마지막 희망의 메시지만 남기고 떠나다

 세계적인 동물학자이자 환경 운동의 상징, 제인 구달이 9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제인 구달 연구소는 그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연설 투어를 이어가던 중 자연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90세가 넘은 나이에도 매년 300일 이상 전 세계를 누비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파하던 그였기에,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소명을 다한 셈이다. 그의 타계 소식에 전 세계는 과학계의 혁명가이자 지칠 줄 몰랐던 행동가를 잃었다며 깊은 애도를 표했다. '타잔'과 '닥터 두리틀'을 읽으며 아프리카의 동물을 꿈꿨던 영국인 소녀는, 한 세기를 풍미한 위대한 유산을 남기고 자연으로 돌아갔다.

 

그의 시작은 결코 화려하지 않았다.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비서로 일하던 구달에게 인생의 전환점이 찾아온 것은 1957년, 친구의 초대로 방문한 케냐에서였다. 그곳에서 저명한 고인류학자 루이스 리키를 만난 것은 단순한 우연을 넘어선 운명이었다. 리키는 정규 교육을 받지 않아 선입견이 없던 구달의 순수한 열정과 날카로운 관찰력에 주목했다. 그는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던 야생 침팬지 연구의 적임자로 구달을 지목했고, 이는 당시 학계의 통념을 깨는 파격적인 결정이었다. 그렇게 26세의 구달은 아무런 배경도 없이 오직 동물에 대한 사랑 하나만으로 탄자니아 곰베 국립공원의 밀림으로 향했다.

 


곰베에서 시작된 그의 연구는 곧 인류의 오만함을 뒤흔드는 혁명적인 발견으로 이어졌다. 구달은 침팬지들이 단순히 동물이 아니라 각기 다른 개성과 감정을 가진 존재임을 밝혀냈고, 그들에게 번호 대신 이름을 붙여주며 교감했다. 특히 흰개미를 사냥하기 위해 풀줄기를 도구로 사용하는 모습을 포착한 것은 과학계에 거대한 충격을 안겼다.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으로 여겨졌던 '도구 사용'의 경계가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그의 발견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 질문을 다시 던지게 했고, 포획된 동물이 아닌 야생 개체를 장기간 관찰하는 그의 연구 방식은 동물행동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단순한 학문적 성과에만 머무르지 않았던 그는 연구 과정에서 침팬지의 서식지가 무자비하게 파괴되는 현실을 목격하고 환경 운동가로의 변신을 선언했다. 1977년 '제인 구달 연구소'를 설립한 이후, 그는 연구실을 떠나 전 세계를 무대로 삼았다. 강연과 캠페인을 통해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특히 미래 세대에게 희망의 씨앗을 심어주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 "희망은 우리 손에 달려 있다"고 늘 말했던 그는, 지구가 스스로 회복할 힘을 가지고 있음을 믿었고, 우리 각자가 남기는 '생태학적 발자국'을 최소화할 것을 호소했다. 침팬지의 어머니에서 인류의 스승으로 거듭난 그는, 마지막까지 행동하는 희망의 증거 그 자체였다.

 

‘보라색 소변’ 쑨양의 더러운 기록, 8년 만에 황선우가 깨끗이 지웠다

 8년간 굳건히 버텨온 '약물 스캔들'의 주역 쑨양의 시대가 마침내 막을 내렸다. 한국 수영의 간판 황선우가 부산 전국체전에서 남자 자유형 200m 아시아 신기록을 작성하며, 오랫동안 논란의 중심에 섰던 쑨양의 기록을 역사 속으로 밀어낸 것이다. 황선우는 20일 부산 사직실내수영장에서 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 남자 일반부 결승에서 1분43초92라는 경이적인 기록으로 터치패드를 찍었다. 이는 2017년 쑨양이 세운 종전 아시아 기록(1분44초39)을 0.47초나 앞당긴 대기록이자, 그가 2023년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며 세웠던 자신의 한국 기록(1분44초40)을 0.48초 단축한 눈부신 성과다. 레이스를 마친 황선우는 전광판의 기록을 확인하자마자 참아왔던 감정을 터뜨리며 오른팔로 물살을 힘껏 내리치는 포효로 기쁨을 만끽했다.황선우에게 이번 기록은 단순한 아시아 신기록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1분44초62로 한국 신기록을 세운 이후, 그는 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0.22초를 줄이는 데 그치며 '1분 44초의 벽'에 갇혀 있었다. 세계선수권에서 3회 연속 메달을 따내는 등 세계 정상급 기량을 유지하면서도 기록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자 그 스스로도 깊은 고민에 빠졌다. 특히 지난 7월 싱가포르 세계선수권에서는 4위에 그치며 연속 메달 행진을 마감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좌절하지 않았다. 지난겨울 기초군사훈련으로 인한 한 달간의 공백을 딛고 이뤄낸 성과였기에 오히려 자신감을 얻었고, 마침내 이번 전국체전에서 모든 구간 기록을 항저우 아시안게임 때보다 앞당기는 완벽한 레이스를 펼치며 1분43초대 진입이라는 쾌거와 함께 자신의 새 전성기를 활짝 열어젖혔다.황선우의 이번 대기록이 더욱 값진 이유는 그가 넘어선 것이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약물로 얼룩진 '불명예 기록'이었기 때문이다. 쑨양은 남자 자유형 200m, 400m, 1500m 아시아 기록을 보유했지만, 그의 커리어 내내 도핑 의혹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다. 2018년 도핑 검사 샘플을 망치로 깨뜨려 훼손하는 상식 밖의 행동으로 4년 3개월의 자격 정지라는 중징계를 받았고, 2019년 광주 세계선수권에서는 그와 함께 시상대에 오르는 것을 다른 선수들이 거부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벌어졌다. 심지어 2016년 리우 올림픽 당시 프랑스 선수는 "쑨양의 소변은 보라색"이라는 원색적인 비난을 퍼붓기도 했다. 이처럼 정정당당한 스포츠맨십을 저버린 행위로 세계 수영계의 공공의 적이 된 쑨양의 기록이 마침내 깨끗하고 정직한 땀으로 세워진 새로운 기록으로 대체되었다는 점에서 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 수영 팬들이 환호하고 있다."원래 눈물이 없고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으려 하는데, 오늘은 고생한 세월이 떠올라 하염없이 눈물이 흘렀다." 황선우는 경기 후 인터뷰에서 그동안의 마음고생을 털어놓으며 눈물을 보였다. 4년간 그를 짓눌렀던 1분 44초의 벽을 마침내 깨부수고 자신의 인생에서 손꼽을 정도로 행복한 날이라며 감격에 젖었다. 수영 역사상 7번째로 1분 43초대에 진입한 선수가 된 그는 이제 더 높은 곳을 바라본다. 불명예로 가득했던 과거의 기록을 지우고 아시아 수영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황선우의 시선은 자신의 꿈인 2028년 LA 올림픽 금메달을 향하고 있다. 이번 기록은 그 꿈을 향한 가장 강력하고 확실한 자신감의 증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