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10대 딸 유린 후 'V' 날린 파렴치한, 일본 열도 충격

 일본에서 교제 중이던 여성의 10대 딸을 강제로 납치하여 음란 행위를 저지른 2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혀 검찰에 송치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1일 요미우리TV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본 경찰은 외설 목적 약취(납치) 및 비동의 외설(강제추행) 등의 혐의로 건설노동자 쿠보료키(21)를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사건은 지난 8월 말 발생했다. 피의자 쿠보는 자신이 교제하던 40대 여성의 집에 침입하기 위해 창문 유리를 파손하고 들어간 것으로 조사됐다. 집 안에서 여성의 10대 딸인 A양을 발견한 쿠보는 A양에게 "내 말을 듣지 않으면 죽일지도 모른다"는 섬뜩한 위협을 가하며 강제로 자신의 차량에 태웠다. 이후 차 안에서 A양에게 음란 행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 피해자 A양은 사건 당시 차량 안에서 양손과 양발이 접착테이프로 묶인 채 발견되어 당시 상황의 심각성을 짐작하게 했다.

 

범행 당일, 쿠보와 교제 중이던 여성은 자신의 아들로부터 "남자가 들어와서 때렸다"는 다급한 연락을 받고 즉시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 조사 결과, 쿠보는 교제 여성의 아들의 목을 조르는 등 폭행을 가한 혐의도 추가로 받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쿠보는 범행 직전 교제 여성과 금전적인 문제로 심한 다툼을 벌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배경은 그의 범행 동기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쿠보는 경찰 조사에서 자신의 범행에 대해 일부 인정하면서도 충격적인 진술을 내놓았다. 그는 "피해자를 집에서 데려간 것은 맞지만, 음란한 목적은 아니었다"고 주장하며, "교제 상대에게 괴롭힘을 주기 위해서였다"고 진술했다. 또한, "피해자의 손발을 접착테이프로 묶은 것은 사실이지만, 강제로 한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범행의 강제성을 부인하는 태도를 보였다. 더욱이 그는 "소중한 것이 상처받으면 교제 상대도 상처를 받을 거라고 생각해 아이를 노리기로 했다"는 끔찍한 진술을 덧붙여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특히 쿠보의 태도는 대중의 공분을 샀다. 검찰 송치를 위해 오사카부 경찰 본부를 출발하는 차량 안에서 취재진 카메라를 향해 미소를 지으며 손을 흔들고, 심지어 손가락으로 '브이(V)' 모양을 만들어 보이는 등 반성 없는 모습을 보여 비난 여론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납치 및 추행을 넘어, 피의자의 비상식적인 행동과 잔혹한 범행 동기가 드러나면서 일본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재명, 관세협상 앞두고 '미국의 합리성'에 올인…속내는?

 이재명 대통령이 교착 상태에 빠진 한미 관세협상 문제에 대해 결국 양국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합리적인 결론에 도달할 것이라는 굳건한 믿음을 표명했다. 이 대통령은 23일 공개된 CNN과의 인터뷰에서 "한미 양국은 동맹 관계이며, 우리 모두는 상식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고 전제하며 이와 같이 밝혔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협상이 일부 난항을 겪고 있더라도, 동맹이라는 큰 틀 안에서 상호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해결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협상 타결에 대한 원칙적인 기대를 재확인하면서, 동시에 미국 측의 합리적인 태도 변화를 우회적으로 촉구하는 다층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특히 이 대통령은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관세협상 타결 가능성에 대해서는 당장의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타결까지는 시간이 조금 더 걸릴 것 같다"고 솔직하게 인정하면서도, "미국의 합리성을 믿으며, 결국 두 나라가 합리적인 합의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는 조급하게 결과에 연연하기보다는, 양국의 입장을 충분히 조율하고 이견을 교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이견을 조정하고 교정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여, 이번 협상이 결코 쉽지 않은 과정임을 인정하면서도 최종적으로는 이성적으로 납득 가능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확신을 드러냈다.한편, 이 대통령은 외교 현안인 북한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 기간 중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에 대해 "북미 두 정상이 전격적으로 만난다면 그것은 매우 좋은 일"이라며 환영의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어 "이번 APEC을 계기로 그럴 가능성이 크지는 않지만, 만약 북미가 깜짝 회동을 할 수 있다면 전적으로 환영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할 생각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동력을 되살리기 위해서라면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북미 간의 대화를 촉진해야 한다는 평소의 소신을 재확인한 것이다.나아가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피스메이커'로서의 역할을 수행해달라고 요청했던 사실을 상기시키며, 그에 대한 기대를 숨기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평화를 진심으로 이루길 원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하며, 북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력과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묻는 말에는 "상대를 직접 만나 대화하는 것이야말로 수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첫 번째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해주고 싶다"고 답했다. 이는 경색된 남북 및 북미 관계를 타개할 해법은 결국 대화에 있음을 역설하며, 북한의 호응을 촉구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