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10대 딸 유린 후 'V' 날린 파렴치한, 일본 열도 충격

 일본에서 교제 중이던 여성의 10대 딸을 강제로 납치하여 음란 행위를 저지른 2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혀 검찰에 송치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1일 요미우리TV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일본 경찰은 외설 목적 약취(납치) 및 비동의 외설(강제추행) 등의 혐의로 건설노동자 쿠보료키(21)를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사건은 지난 8월 말 발생했다. 피의자 쿠보는 자신이 교제하던 40대 여성의 집에 침입하기 위해 창문 유리를 파손하고 들어간 것으로 조사됐다. 집 안에서 여성의 10대 딸인 A양을 발견한 쿠보는 A양에게 "내 말을 듣지 않으면 죽일지도 모른다"는 섬뜩한 위협을 가하며 강제로 자신의 차량에 태웠다. 이후 차 안에서 A양에게 음란 행위를 저지른 혐의를 받고 있다. 피해자 A양은 사건 당시 차량 안에서 양손과 양발이 접착테이프로 묶인 채 발견되어 당시 상황의 심각성을 짐작하게 했다.

 

범행 당일, 쿠보와 교제 중이던 여성은 자신의 아들로부터 "남자가 들어와서 때렸다"는 다급한 연락을 받고 즉시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 조사 결과, 쿠보는 교제 여성의 아들의 목을 조르는 등 폭행을 가한 혐의도 추가로 받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쿠보는 범행 직전 교제 여성과 금전적인 문제로 심한 다툼을 벌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배경은 그의 범행 동기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쿠보는 경찰 조사에서 자신의 범행에 대해 일부 인정하면서도 충격적인 진술을 내놓았다. 그는 "피해자를 집에서 데려간 것은 맞지만, 음란한 목적은 아니었다"고 주장하며, "교제 상대에게 괴롭힘을 주기 위해서였다"고 진술했다. 또한, "피해자의 손발을 접착테이프로 묶은 것은 사실이지만, 강제로 한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범행의 강제성을 부인하는 태도를 보였다. 더욱이 그는 "소중한 것이 상처받으면 교제 상대도 상처를 받을 거라고 생각해 아이를 노리기로 했다"는 끔찍한 진술을 덧붙여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특히 쿠보의 태도는 대중의 공분을 샀다. 검찰 송치를 위해 오사카부 경찰 본부를 출발하는 차량 안에서 취재진 카메라를 향해 미소를 지으며 손을 흔들고, 심지어 손가락으로 '브이(V)' 모양을 만들어 보이는 등 반성 없는 모습을 보여 비난 여론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납치 및 추행을 넘어, 피의자의 비상식적인 행동과 잔혹한 범행 동기가 드러나면서 일본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공급은 '확실히', 세금은 '노코멘트'…대통령실이 시장에 보낸 혼란스러운 신호

 대통령실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시장의 혼란과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후속 정책의 방향성이 '공급 확대'에 있음을 분명히 못 박았다. 김남준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이번 대책이 부동산 가격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설명하며, 기존에 발표했던 공급 대책들은 한 치의 차질 없이 추진될 것임을 거듭 강조했다. 이는 최근 발표된 대책이 수요 억제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공급 부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일각의 비판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정부의 정책 기조에 변함이 없다는 점을 시장에 명확히 전달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특히 대통령실은 정책 수장들의 발언을 인용하며 공급 확대 의지를 재차 확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 대변인은 김용범 정책실장이 개인 SNS를 통해 10·15 대책의 배경을 설명한 것 자체가 "공급 대책을 마련해서 확실히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정책 책임자가 직접 나서서 여론전에 나선 것을 두고, 단순한 해명을 넘어 공급 중심의 정책을 일관되게 밀고 나가겠다는 강력한 시그널로 해석해달라는 주문이다. 이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단기적인 시장 안정화 조치를 넘어, 장기적인 수급 균형을 맞추는 데 핵심 목표를 두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나아가 이재명 정부는 이번 부동산 문제를 단순한 주택 가격의 등락이 아닌, 한국 경제의 구조적인 문제와 연결 짓고 있음을 시사했다. 김 대변인은 "부동산이 유일무이한 투자 수단이 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특정 자산으로의 쏠림 현상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부작용에 대한 정부의 고민을 드러냈다. 그 대안으로 주식시장 등 투자처를 다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자금이 생산적인 분야로 흘러 들어가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현 정부의 궁극적인 목표임을 덧붙였다.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넘어 경제 체질 개선까지 염두에 둔 큰 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시장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보유세 인상 가능성에 대해서는 철저히 말을 아끼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김 대변인은 보유세 관련 질문에 "현재 시점에서 따로 말씀드릴 것은 없다"고 선을 그으며, 김용범 정책실장의 기존 발언들을 참고하는 수준에서 이해해달라고 한발 물러섰다. 이는 공급 확대라는 큰 틀의 원칙은 고수하되, 세금이라는 가장 예민한 카드는 여론의 추이와 시장 반응을 살피며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전략으로 읽힌다. 공급 정책에 대해서는 확신에 찬 메시지를 내놓으면서도, 증세 문제에 대해서는 여지를 남겨두며 정책적 유연성을 확보하려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