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18개월 순삭! 송강 전역, 드라마 '포핸즈'로 초고속 복귀 예고


배우 송강이 1일 18개월간의 국방의 의무를 성실히 마치고 육군 병장으로 만기 전역하며 팬들의 뜨거운 환영 속에 다시 대중 곁으로 돌아왔다. 지난해 4월 현역으로 입대하며 잠시 팬들의 곁을 떠났던 그가 한층 더 성숙해진 모습으로 돌아와 연예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이날 송강은 소속 부대 앞에서 자신을 보기 위해 이른 시간부터 찾아온 수많은 팬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며 훈훈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검은색 뿔테 안경과 짧게 깎은 머리에도 불구하고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우윳빛 맑은 피부와 또렷한 이목구비는 여전히 빛을 발했다. 그는 검은색 차량 뒷좌석에 앉은 채 밝은 미소를 지어 보였고, 팬들을 향해 가볍게 거수경례를 하는 등 1년 6개월이라는 시간을 변함없이 기다려준 팬들에게 특급 팬서비스를 아끼지 않았다. 그의 짧은 등장에도 현장은 팬들의 환호성으로 가득 찼으며, 송강은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듯 따뜻한 눈빛으로 화답했다.

 

송강은 군 복무 기간 동안에도 모범적인 생활을 이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국방부 국군 고충 상담센터 홍보 영상에 출연하며 군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일조하기도 했다. 또한,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뷔와 함께 휴가를 나오는 모습이 포착되는 등 동료 연예인들과도 유쾌하고 돈독한 군 생활을 보낸 것으로 전해져 팬들의 궁금증을 자아냈다. 성실함과 친화력을 바탕으로 군 생활을 성공적으로 마친 송강은 이제 다시 배우로서의 본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전역과 동시에 송강은 새 드라마 '포핸즈'로 초고속 복귀를 확정 지으며 팬들의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리고 있다. '포핸즈'는 두 사람이 한 대의 피아노를 연주하는 '네 손 연주' 기법을 뜻하는 피아노 용어에서 따온 제목으로, 음악을 소재로 한 섬세하고 감성적인 스토리가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송강은 극 중 섬세하면서도 날카로운 매력을 지닌 피아노 수재 역할을 맡아 더욱 깊어진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일 예정이다. 군 복무를 통해 얻은 경험과 성숙함이 그의 연기에 어떻게 녹아들지, 그가 이번 작품에서 보여줄 새로운 매력과 연기 변신에 벌써부터 뜨거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군백기를 무색하게 할 만큼 빠른 복귀와 함께 새로운 작품으로 돌아올 배우 송강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서울은 이미 불장"…133.4 찍은 매수 심리, 수도권 집값 폭등 전조되나

 얼어붙었던 전국 주택 매매 시장에 다시 훈풍이 불기 시작했다. 국토연구원이 17일 발표한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7.5를 기록하며 한 달 전보다 6.1포인트 상승했다. 이로써 시장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기존의 '보합 국면'에서 '상승 국면'으로 공식 전환되었다. 부동산 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5를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상승, 95에서 115 사이는 보합, 95 미만은 하강 국면으로 해석하는데, 정부의 연이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시장 참여자들의 매수 의지가 다시금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뚜렷한 신호다.이번 상승 국면 진입은 최근 몇 달간 냉온탕을 오가던 시장 심리가 방향을 굳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서 시장은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을 앞두고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몰렸던 지난 6월, 지수가 124.3까지 치솟으며 뜨거운 상승 국면을 보인 바 있다. 하지만 곧이어 발표된 6·27 대책의 영향으로 7월에는 110.5까지 지수가 급락하며 곧바로 보합 국면으로 고개를 숙였다. 이처럼 강력한 규제책에 잠시 주춤했던 시장이 불과 3개월 만에 다시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 국면으로 복귀한 것은, 그만큼 시장 내에 잠재된 매수 대기 수요가 탄탄하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특히 이번 상승세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는, 이른바 '양극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주택 매매소비심리지수는 114.7에서 121.7로 7포인트나 급등하며 확실한 상승 국면에 진입했다. 서울이 122.7에서 133.4로 폭등하며 시장을 이끌었고, 경기(113.0→119.2)와 인천(100.9→102.3) 역시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비수도권은 107.3에서 112.0으로 소폭 오르는 데 그치며 여전히 보합 국면에 머물러, 수도권과의 뚜렷한 온도 차를 보였다. 다만 지방에서도 전북(99.5→122.7)과 세종(108.3→119.0) 등 일부 지역은 수도권 못지않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 지역별 편차를 키웠다.다만 주택 매매 시장의 열기가 부동산 시장 전반으로 확산됐다고 단정하기는 아직 이르다. 매매 시장과 달리 전국 주택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3.4에서 106.2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보합 국면을 유지했다. 주택과 토지를 모두 포함한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역시 109.1로 전월 대비 4.0포인트 오르는 데 그치며 보합권에 머물렀다. 이는 현재 시장의 상승세가 매매, 그중에서도 수도권에 집중된 국지적인 현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뜨거워지는 매매 심리와 아직은 차분한 전세 및 토지 시장 사이의 간극이 앞으로 전체 부동산 시장의 향방을 결정지을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