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7만 명 추적 결과 '충격'…가공육 즐기는 여성, 유방암 발병률 급증

 햄, 소시지, 베이컨 등 가공육을 주 1회 이상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유방암 발병 위험이 57%나 치솟는다는 충격적인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서울대학교 연구팀이 7만 명이 넘는 한국인 여성을 10년간 추적 관찰한 대규모 연구로, 우리 식생활에 보내는 강력한 경고등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가공육이 위험한 이유는 제조 및 조리 과정에 숨어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1군 발암물질'로 분류한 가공육은, 보존을 위해 첨가된 질산염 등이 체내에서 '니트로소화합물'이라는 발암성 물질로 변해 유전자를 손상시킨다. 또한, 고온에서 구울 때 나오는 유해 물질 역시 유방 조직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번 연구가 특히 주목받는 이유는 '가공육은 올리고, 소고기는 낮추는' 의외의 결과 때문이다. 놀랍게도 소고기를 월 2회 이상 먹은 여성은 유방암 발병 확률이 오히려 18% 낮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한국인의 소고기 섭취량이 서구보다 적고, 소고기 속 필수 아미노산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물론 이번 연구가 '가공육이 100% 유방암을 일으킨다'고 단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강대희 교수는 "한국인에게도 가공육 섭취가 유방암 위험을 높인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한 데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결론은 명확하다. 유방암 예방을 원한다면 식탁 위 가공육부터 줄여야 한다. 대신 채소와 과일이 풍부한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오늘 저녁 메뉴를 고민하고 있다면, 햄이나 소시지 대신 다른 선택을 하는 것이 당신의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서울은 이미 불장"…133.4 찍은 매수 심리, 수도권 집값 폭등 전조되나

 얼어붙었던 전국 주택 매매 시장에 다시 훈풍이 불기 시작했다. 국토연구원이 17일 발표한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7.5를 기록하며 한 달 전보다 6.1포인트 상승했다. 이로써 시장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기존의 '보합 국면'에서 '상승 국면'으로 공식 전환되었다. 부동산 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5를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상승, 95에서 115 사이는 보합, 95 미만은 하강 국면으로 해석하는데, 정부의 연이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시장 참여자들의 매수 의지가 다시금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뚜렷한 신호다.이번 상승 국면 진입은 최근 몇 달간 냉온탕을 오가던 시장 심리가 방향을 굳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서 시장은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을 앞두고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몰렸던 지난 6월, 지수가 124.3까지 치솟으며 뜨거운 상승 국면을 보인 바 있다. 하지만 곧이어 발표된 6·27 대책의 영향으로 7월에는 110.5까지 지수가 급락하며 곧바로 보합 국면으로 고개를 숙였다. 이처럼 강력한 규제책에 잠시 주춤했던 시장이 불과 3개월 만에 다시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 국면으로 복귀한 것은, 그만큼 시장 내에 잠재된 매수 대기 수요가 탄탄하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특히 이번 상승세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는, 이른바 '양극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주택 매매소비심리지수는 114.7에서 121.7로 7포인트나 급등하며 확실한 상승 국면에 진입했다. 서울이 122.7에서 133.4로 폭등하며 시장을 이끌었고, 경기(113.0→119.2)와 인천(100.9→102.3) 역시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비수도권은 107.3에서 112.0으로 소폭 오르는 데 그치며 여전히 보합 국면에 머물러, 수도권과의 뚜렷한 온도 차를 보였다. 다만 지방에서도 전북(99.5→122.7)과 세종(108.3→119.0) 등 일부 지역은 수도권 못지않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 지역별 편차를 키웠다.다만 주택 매매 시장의 열기가 부동산 시장 전반으로 확산됐다고 단정하기는 아직 이르다. 매매 시장과 달리 전국 주택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3.4에서 106.2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보합 국면을 유지했다. 주택과 토지를 모두 포함한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역시 109.1로 전월 대비 4.0포인트 오르는 데 그치며 보합권에 머물렀다. 이는 현재 시장의 상승세가 매매, 그중에서도 수도권에 집중된 국지적인 현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뜨거워지는 매매 심리와 아직은 차분한 전세 및 토지 시장 사이의 간극이 앞으로 전체 부동산 시장의 향방을 결정지을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