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이 통로를 아시나요? 100년 만에 '최초 개방'되는 서울역 연결통로

 옛 서울역사가 준공 100주년을 맞아 현대 미술의 옷을 입고 시민들을 맞이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9월 30일부터 11월 30일까지 문화역서울284와 서울역 일대에서 특별기획전 '백년과 하루: 기억에서 상상으로'를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철도 건축물인 옛 서울역의 유구한 역사를 재조명하고, 김수자, 신미경, 이수경 등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1925년 '경성역'으로 처음 문을 연 후 100년 동안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순간들을 함께해 온 이 공간은 이제 예술과 역사가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며 관람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전시는 옛 서울역이 걸어온 100년의 시간을 깊이 있게 돌아보고, 1925년 준공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된 공간을 현대적인 시선으로 해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관람객들은 옛 서울역이 간직한 역사적 의미를 담은 희귀한 사진 자료들과 함께, 김수자 작가의 설치미술, 신미경 작가의 조각, 이수경 작가의 도자 파편을 활용한 작업 등 각 작가들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만날 수 있다. 이들 작가는 각자의 방식으로 공간이 지닌 기억과 시간의 흐름을 탐색하며, 옛 서울역이 단순한 건축물을 넘어 수많은 이들의 삶과 꿈이 교차했던 상징적인 장소임을 일깨운다. 전시는 과거의 흔적을 통해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상상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예술적 영감과 역사적 통찰을 동시에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전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그동안 일반에 개방되지 않았던 옛 서울역과 신 서울역사 간의 연결통로가 최초로 공개된다는 점이다. 서울역을 이용하는 수많은 승객들은 이제 이 연결통로를 통해 역사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문화역서울284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단순한 통로 개방을 넘어, 과거와 현재의 서울역이 물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시간의 단절을 허물고 공간적 연속성을 부여하는 의미를 갖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전시 기간 동안 이 연결통로의 이용 현황을 면밀히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2026년부터는 구-신 서울역사 간 연결통로의 상시 개방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로써 옛 서울역은 더욱 많은 시민에게 열린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1947년 '서울역'이라는 이름을 얻기 전까지 '경성역'으로 불렸던 이 건물은 2004년 신 서울역사가 들어서기 전까지 대한민국 교통과 물류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해 왔다. 수많은 이들이 이곳을 통해 희망과 이별, 만남과 헤어짐을 경험하며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진 순간들을 함께했다. 이번 '백년과 하루' 특별전은 이러한 옛 서울역의 깊은 역사적 맥락을 현대 예술의 시각으로 재해석하며, 과거의 기억을 현재의 상상력으로 확장하는 의미 있는 시도다. 100년이라는 시간을 기념하는 동시에, 미래 100년을 향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이번 전시는 시민들에게 단순한 관람을 넘어선 깊은 사유와 감동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은퇴 이유였던 무릎, 또 터졌다…'캡틴' 박지성이 고통 감수한 진짜 속내

 '영원한 캡틴' 박지성이 팬들을 위해 다시 한번 자신을 불태웠다. 무릎 부상으로 이른 나이에 그라운드를 떠나야 했던 그가, 팬들의 함성에 보답하기 위해 무리한 출전을 감행했고, 그 후유증으로 극심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다. 최근 유튜브 채널 '슛포러브'를 통해 공개된 영상에서 현 국가대표팀 주장 손흥민이 "(박)지성이형 괜찮은 거 맞아요?"라며 그의 안부를 묻자, 관계자는 "지금 무릎이 많이 부어 2층 계단 올라가는 것도 힘들어하신다"고 답해 팬들을 뭉클하게 했다. 이는 지난달 열린 이벤트 경기 출전이 그의 몸에 얼마나 큰 부담을 주었는지 짐작게 하는 대목이다.박지성은 지난달 1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5 아이콘매치'에 선발 출전하여 56분간 그라운드를 누볐다. 지난해 같은 경기에서 후반 막판 짧게 교체 투입되었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었다. 팬들 앞에서 더 오랜 시간 뛰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그는 이 경기를 앞두고 약 1년간 재활에 매달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선수 시절 내내 그를 괴롭혔던 무릎 통증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팬들을 위해 선발 출전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묵묵히 자신과의 싸움을 벌여온 것이다. 그의 투혼은 경기 시작 전부터 이미 시작되고 있었다.사실 현역 시절부터 그의 무릎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았다. 2003년 PSV 에인트호번 시절 찢어진 연골판을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고, 4년 뒤인 2007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는 연골 재생 수술대에 오르는 등 두 차례나 큰 수술을 겪었다. 이런 상태에서 소속팀과 국가대표팀을 오가는 잦은 장거리 비행은 무릎 상태를 계속해서 악화시켰다. 결국 그는 2011년, 30세라는 이른 나이에 태극마크를 반납했고, 3년 뒤인 2014년에는 33세의 나이로 현역 은퇴를 선언하며 축구화를 벗었다. 그의 재능과 열정을 알기에 팬들의 아쉬움은 더욱 컸다.은퇴 후에도 변함없는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고자 그는 다시 그라운드에 섰다. 후반 11분 교체되어 나오기 직전까지 모든 것을 쏟아부은 그는, 벤치에 앉자마자 무릎에 얼음팩을 올려놓으며 고통을 감내했다. 경기 후 "아마 2주 동안 또 절뚝거리며 다녀야 할 것"이라는 그의 담담한 한 마디는 팬들의 마음을 더욱 아프게 했다. 예상대로 그는 경기 후 무릎이 심하게 부어 일상적인 움직임조차 힘겨워하는 상태가 되었다. 현역 시절부터 은퇴한 지금까지, 오직 팬들을 위해 자신의 몸을 아끼지 않는 그의 헌신은 축구팬들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을 선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