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하동 북천, 꽃으로 물든 별천지에서 인생샷 찍고 갈래?

 깊어가는 가을,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면 자연은 우리에게 또 다른 선물을 선사한다. 경남 하동군 북천면 일원에서는 오는 10월 2일부터 19일까지, 가을의 정취를 오롯이 담아낸 '제19회 북천 코스모스·메밀꽃 축제'가 성대한 막을 올린다. '별천지 하동, 꽃천지 북천'이라는 아름다운 주제 아래, 방문객들은 끝없이 펼쳐진 꽃물결 속에서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며 가을의 낭만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북천면 들녘 36헥타르(약 10만 8천 평)에 걸쳐 피어난 분홍빛 코스모스는 마치 동화 속 한 장면처럼 황홀경을 연출한다. 하늘거리는 꽃잎들은 가을바람에 맞춰 춤을 추고, 그 너머로 펼쳐진 6헥타르(약 1만 8천 평)에 이르는 새하얀 메밀꽃밭은 순백의 설원처럼 고요하고 아름다운 자태를 뽐낸다. 파란 가을 하늘과 대비를 이루며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을 선사하는 이곳은 어느 곳에서든 인생 사진을 남길 수 있는 최고의 포토존이 된다.

 

단순히 꽃만 감상하는 것을 넘어, 축제는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며 방문객들의 오감을 만족시킨다. 최근 큰 인기를 얻고 있는 핑크뮬리가 가을 햇살 아래 신비로운 분위기를 더하고, 이색적인 희귀박 터널과 밤하늘의 별을 형상화한 듯한 아름다운 꽃길은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낮에는 화려한 꽃들의 향연이, 밤에는 조명과 어우러진 환상적인 분위기가 북천면을 수놓을 예정이다.

 


축제 기간 동안 주말마다 펼쳐지는 다채로운 무대 행사와 부대 행사들은 축제의 흥을 한껏 돋운다. 지역 주민들의 끼와 재능을 엿볼 수 있는 '면민 노래자랑'을 시작으로, 국민 작곡가 정두수 선생을 기리는 '정두수 가요제'는 감동과 즐거움을 선사하며 축제의 열기를 더한다. 젊은 세대의 활기찬 에너지를 느낄 수 있는 '청소년 댄스 경연' 또한 놓칠 수 없는 볼거리이다. 웃음과 노래가 끊이지 않는 축제장은 방문객들에게 활기찬 에너지를 불어넣을 것이다.

 

가족 단위 방문객들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도 풍성하게 마련되어 있다. 아이들의 창의력을 자극하는 '꽃물 손수건 만들기'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압화 체험'은 특별한 추억을 선사한다. 또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전통 놀이'는 세대 간의 소통을 돕고 잊혀가는 우리 고유의 문화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아이들에게는 자연 속에서 뛰어놀며 배우는 즐거움을, 어른들에게는 동심으로 돌아가는 행복을 선물할 것이다.

 

축제장 한편에는 하동의 청정한 자연에서 농부들이 직접 재배한 신선한 농특산물 장터가 열린다. 가을의 풍요로움을 담은 제철 농산물과 하동 특유의 맛과 향을 자랑하는 가공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품질 좋은 지역 특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며, 하동의 맛과 정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미식의 장이 될 것이다.

 

하동군 관계자는 "북천의 코스모스와 메밀꽃은 단순히 아름다운 풍경을 넘어, 사람과 사람이 이어지고 마음을 나누는 계절의 소중한 선물"이라며, "많은 분이 북천의 아름다운 꽃길을 걸으며 따뜻하고 행복한 추억을 가득 담아가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올가을, 일상에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고 싶다면 하동 북천 코스모스·메밀꽃 축제를 방문해 보라. 끝없이 펼쳐진 꽃밭에서 가을의 낭만을 만끽하고, 다채로운 행사 속에서 즐거움을 찾으며,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보기를 강력히 추천한다. 북천의 가을은 당신에게 최고의 선물이 될 것이다.

 

강남·마포·관악, 쥐와의 동거 시작? 서울시, '쥐 비상'에 골머리

 서울시에서 쥐 출몰 및 목격 관련 시민 민원이 최근 3년 사이 두 배 가까이 급증하며 도시 위생에 비상이 걸렸다. 12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쥐 관련 민원은 총 928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 불편을 넘어 공중 보건 문제로 인식되며 서울시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연도별 민원 현황은 2020년 1279건, 2021년 1043건, 2022년 1336건으로 등락을 보이다가 2023년에는 1886건으로 크게 늘었다. 특히 올해는 7월까지 이미 1555건이 접수되어 작년 전체 민원의 71% 수준을 기록,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2021년(1043건) 대비 지난해(1886건) 민원 건수는 약 1.8배 증가, 3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 마포구, 관악구에서 쥐 출몰 민원이 특히 많았다.김위상 의원은 이러한 쥐 출몰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기후 변화'를 지목했다. 기후 변화로 쥐의 번식 환경이 개선되거나 서식지가 확장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쥐는 렙토스피라증, 유행성 출혈열 등 다양한 감염병의 매개체가 될 수 있어 시민 건강에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 김 의원은 "쥐는 감염병의 매개체이므로 선제적으로 대응할 도시환경 관리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서울시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했다.급증하는 쥐 민원은 서울시가 직면한 새로운 도시 관리 과제로 떠올랐다. 단순히 쥐 박멸을 넘어 쓰레기 관리, 하수도 정비, 노후 건물 개선 등 근본적인 도시 환경 개선을 통해 쥐가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는 장기적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시민 위생 의식 제고와 함께 서울시의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이 이루어진다면, 쾌적하고 안전한 서울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