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6년 공백 깨고..김건모, 부산서 눈물의 '다시 1일' 선언

 성폭행 의혹으로 6년간 활동을 중단했던 가수 김건모(57)가 마침내 대중 앞에 섰다. 지난 27일 부산 KBS홀에서 열린 ‘KIM GUN MO. 라이브 투어’ 첫 공연을 통해 그는 긴 침묵을 깨고 가요계 복귀를 알렸다. 이번 콘서트는 단순한 복귀를 넘어, 김건모에게는 지난 세월의 아픔을 딛고 다시 일어서는 눈물겨운 재시작의 무대였다.

 

2019년 12월, 김건모는 한 유흥업소 여성으로부터 성폭행 혐의로 피소되며 모든 활동을 중단했다. 당시 그는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장지연 씨와 혼인신고를 마치고 새로운 시작을 앞두고 있었기에, 이 의혹은 그에게 더욱 가혹한 시련으로 다가왔다. 이후 2021년 검찰로부터 무혐의 처분을 받으며 법적 굴레에서는 벗어났지만, 그 과정에서 2022년 결혼 3년 만에 파경을 맞으며 개인적인 아픔까지 겪어야 했다. 대중의 시선과 싸워야 했던 지난 6년은 김건모에게 깊은 상처와 고통의 시간이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악에 대한 그의 열정은 결코 식지 않았다. 공연 제작사 아이스타미디어컴퍼니의 전언에 따르면, 김건모는 이번 복귀 무대를 위해 수개월 전부터 개인 작업실을 실제 공연장과 흡사한 음향 시스템으로 개조하며 맹렬한 연습에 매진했다. 데뷔 33년 차의 관록 있는 가수임에도 불구하고, 그는 공연 직전까지 세 차례에 걸친 리허설을 감행할 정도로 남다른 긴장감과 설렘을 드러냈다고 한다. 이러한 모습은 그가 이 무대를 얼마나 간절히 염원했으며, 오랜만에 마주할 대중과의 재회를 얼마나 소중하게 여겼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공연의 막이 오르고, 김건모는 오프닝 영상을 통해 관객들에게 진심을 전했다. "잘 지냈니? 보고 싶었어. 하얀 여백이었을까, 깊은 어둠이었을까"라는 그의 나지막한 목소리는 지난 6년의 공백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였는지를 함축적으로 보여주었다. 이어 "준비됐어? 우린 오늘부터 다시 1일"이라는 말과 함께 무대에 등장한 그는 "결혼도 하고, 이혼도 하고 그렇게 지냈다"며 그간의 개인사를 담담하게 언급해 관객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이날 김건모는 '서울의 달', '잠 못 드는 밤 비는 내리고', '핑계', '스피드' 등 자신의 히트곡 27곡을 열창하며 예정된 러닝타임을 훌쩍 넘겼다. 관객들은 뜨거운 박수와 환호로 화답했고, 앵콜에 이어 리앵콜까지 이어지는 등 그의 음악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을 보여주었다. 공연 말미, 김건모는 그동안 참아왔던 감정이 북받친 듯 펑펑 눈물을 쏟아내며 관객들에게 큰절을 올렸다. 한동안 일어나지 못하는 그의 모습에서 지난 세월의 무게와 대중에게 전하는 미안함, 그리고 다시 노래할 수 있게 된 감사함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김건모는 중단되었던 지난 투어를 꼭 완성하고 싶었다며, "이번에는 쉼표가 아닌 마침표를 찍겠다"고 다짐했다. 이는 그가 과거의 아픔을 완전히 정리하고 새로운 음악 인생을 시작하겠다는 굳은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부산 콘서트를 시작으로 김건모는 전국 투어를 이어갈 예정이다. 그의 복귀가 대중에게 어떤 평가를 받을지는 미지수이나, 오랜 시간 기다려온 팬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선물이었을 것이다. 이번 콘서트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한 가수의 인생 역정과 그를 둘러싼 논란, 그리고 다시 음악으로 소통하려는 그의 용기를 보여준 의미 있는 자리로 기억될 것이다.

 

결제 누른 줄 알았는데 와우값 동의..4.8만명 '버튼 트릭' 당했다

 쿠팡이 유료 회원제 ‘와우멤버십’의 요금 인상 과정에서 소비자의 동의를 사실상 유도·기만했다는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 제재를 받게 됐다. 공정위는 15일 쿠팡을 포함해 웨이브, NHN벅스, 스포티파이에 시정명령과 총 1050만 원의 과태료 부과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구독형 서비스가 확산되는 가운데, 사업자들의 디자인·표현 방식이 소비자 선택을 왜곡하는 이른바 ‘다크 패턴’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공정위에 따르면 쿠팡은 지난해 4월 와우멤버십 요금을 4990원에서 7890원으로 58% 인상하면서, 인상안에 대한 ‘동의’를 자연스럽게 유발하는 화면 설계를 적용했다. ‘동의하고 혜택 계속 받기’ 버튼을 크고 선명하게 노출한 반면, ‘나중에 하기’는 화면 구석에 작고 덜 눈에 띄게 배치했다. 상품 결제 단계에서도 ‘월회비 변경에 동의하고 구매하기’ 문구를 결제 버튼과 유사한 형태로 제시해, 사실상 소비자가 무심코 인상에 동의하도록 만들었다는 것이 공정위 판단이다. 이 같은 방식으로 최소 4만8000명 이상이 자신도 모르게 인상을 수용한 것으로 조사됐다.쿠팡은 논란 이후 관련 화면을 수정하고 철회 신청자에 한해 환불을 진행했지만, 신청하지 않은 이용자 다수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공정위는 쿠팡에 250만 원의 과태료와 시정명령을 부과했다. 같은 조사에서 웨이브, NHN벅스, 스포티파이 등 3개 사업자도 전자상거래법 위반이 확인됐다. 과태료 규모는 웨이브 400만 원, NHN벅스 300만 원, 스포티파이 100만 원이며, 이들 사업자 역시 자진 시정이 반영돼 추가 제재는 면했다.위반 유형을 보면 NHN벅스와 스포티파이는 유료 이용권 판매 시 청약철회 가능 기간과 절차를 명확히 고지하지 않았고, 웨이브와 NHN벅스는 중도해지 방법을 충분히 안내하지 않아 계약 종료를 사실상 어렵게 만든 것으로 드러났다. 더 나아가 쿠팡, 스포티파이, 넷플릭스, 왓챠, 네이버플러스, 컬리 등 다수 구독 서비스는 아예 ‘중도해지’ 제도를 두지 않고, 이미 결제된 금액을 돌려주지 않은 채 향후 자동결제만 멈추는 ‘일반해지’ 방식만 제공해 온 것으로 파악됐다.공정위는 일반해지의 적법성도 함께 검토했으나, 현행 전자상거래법과 약관규제법 체계에서 정기결제형 구독경제의 해지권을 어떻게 규정할지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제재를 유보했다. 다만 향후 법령 해석 기준 정립과 제도 개선 여부를 검토하는 한편, 소비자 기만적 유도나 해지 방해 행위에 대해서는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공정위 관계자는 “온라인 플랫폼의 화면 설계가 소비자 의사결정을 왜곡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법 위반이 드러나면 엄정 조치하겠다”고 말했다.전문가들은 이번 제재가 업계 전반에 경고 메시지를 던진 사건이라고 평가한다. 요금 인상 시 투명한 고지와 동의 절차, 해지·환불 정책의 명확한 안내가 필수인데, 이를 소홀히 할 경우 규제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동시에 구독경제 해지권의 법적 불명확성이 드러난 만큼, 소비자 권익을 균형 있게 보호할 수 있는 입법적 보완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결제 전 안내문구와 버튼 배치, 해지·환불 조건을 면밀히 확인하고, 논란이 있을 경우 사업자 고객센터와 공정위 민원 시스템을 적극 활용하라는 조언이 뒤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