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10월에 여기 안 가면 평생 후회…전국 단풍·억새 명소 BEST 3

 뜨거웠던 여름의 열기가 한풀 꺾이고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하는 10월, 전국의 산야는 일제히 가을 채비에 나선다. 들녘은 황금빛으로 풍요로워지고, 산등성이를 따라 펼쳐지는 억새와 단풍의 향연은 등산화 끈을 조여 매고 길을 나서게 만드는 마법을 부린다. 이 계절의 절정을 만끽하고 싶다면, 저마다 다른 빛깔로 등산객을 유혹하는 전국의 명산으로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가을 산행의 대명사로 꼽히는 곳은 단연 강원 정선의 민둥산이다. 이름처럼 나무가 거의 없어 시야를 가리는 것 없이 광활한 풍경을 자랑하는 이곳은, 전국 최대 규모의 억새 군락지로 명성이 자자하다. 해발 1,100미터 고지를 향해 오르는 내내 발걸음마다 은빛 억새가 출렁이며 가을의 정취를 온몸으로 느끼게 한다. 특히 10월 초중순 절정의 시기가 되면, 산 전체가 마치 황금빛 융단을 깔아놓은 듯 장관을 연출한다. 정상에 서서 바람에 몸을 맡긴 채 넘실거리는 억새의 물결 너머로 아스라이 펼쳐지는 정선과 태백의 산 능선을 바라보는 순간은, 그 어떤 말로도 형용하기 힘든 벅찬 감동을 선사한다.

 

붉고 화려한 단풍의 매력에 흠뻑 빠지고 싶다면 10월 하순, 경남 합천과 경북 성주에 걸쳐 자리한 가야산을 찾아야 한다. 가야산 국립공원의 여러 탐방로 중에서도 만물상 코스는 가을의 정수를 보여주는 곳으로 유명하다. 초입의 울창한 숲길을 지나 기묘한 형태의 바위들이 병풍처럼 펼쳐지는 만물상 구간에 들어서면, 마치 불이라도 붙은 듯 타오르는 단풍과 기암괴석의 조화가 한 폭의 동양화 같은 비경을 만들어낸다.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국립공원 전체가 울긋불긋한 가을빛으로 물든 웅장한 파노라마는 산행의 고단함을 단번에 잊게 할 만큼 압도적이다.

 


산과 바다, 두 가지 매력을 동시에 즐기고 싶다면 전북 부안의 내변산이 정답이다. 서해의 푸른 바다를 곁에 두고 오르는 내변산의 단풍은 또 다른 감흥을 준다. 10월 말부터 11월 초 사이, 시원한 물줄기를 쏟아내는 직소폭포 주변과 고즈넉한 내소사로 이어지는 단풍길은 그 아름다움이 절정에 달한다. 길이 비교적 완만하여 아이들과 함께 걷기에도 부담이 없어 가족 단위 탐방객들에게 특히 사랑받는 힐링 코스다.

 

물론, 모두가 직접 산에 오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가파른 산행이 부담스럽거나 바쁜 일상에 쫓겨 시간을 내기 어려운 이들을 위해, 안방 1열에서 편안하게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방법도 있다. 산 전문채널 마운틴TV는 추석 연휴를 포함해 가을 내내 다채로운 산행 프로그램을 통해 시청자들을 전국의 명산으로 안내한다. 매주 금요일 오후 5시 15분에 방송되는 '주말여행 산이 좋다'는 이름난 명산들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토요일 오전 9시 30분에 방영되는 '김PD의 너만 산이냐 나도 산이다'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숨겨진 산의 매력을 조명한다. 또한, 일요일 오후 6시 30분에 시청자를 찾는 '딱이다 산악회'는 맞춤형 산악회 정보를 제공하며 산행의 즐거움을 더한다. IPTV, 위성방송, 지역 케이블 등을 통해 만날 수 있는 이 프로그램들은 직접 산을 찾지 못하는 아쉬움을 달래고 대리 만족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서울은 이미 불장"…133.4 찍은 매수 심리, 수도권 집값 폭등 전조되나

 얼어붙었던 전국 주택 매매 시장에 다시 훈풍이 불기 시작했다. 국토연구원이 17일 발표한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7.5를 기록하며 한 달 전보다 6.1포인트 상승했다. 이로써 시장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기존의 '보합 국면'에서 '상승 국면'으로 공식 전환되었다. 부동산 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5를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상승, 95에서 115 사이는 보합, 95 미만은 하강 국면으로 해석하는데, 정부의 연이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시장 참여자들의 매수 의지가 다시금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뚜렷한 신호다.이번 상승 국면 진입은 최근 몇 달간 냉온탕을 오가던 시장 심리가 방향을 굳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서 시장은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을 앞두고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몰렸던 지난 6월, 지수가 124.3까지 치솟으며 뜨거운 상승 국면을 보인 바 있다. 하지만 곧이어 발표된 6·27 대책의 영향으로 7월에는 110.5까지 지수가 급락하며 곧바로 보합 국면으로 고개를 숙였다. 이처럼 강력한 규제책에 잠시 주춤했던 시장이 불과 3개월 만에 다시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 국면으로 복귀한 것은, 그만큼 시장 내에 잠재된 매수 대기 수요가 탄탄하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특히 이번 상승세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는, 이른바 '양극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주택 매매소비심리지수는 114.7에서 121.7로 7포인트나 급등하며 확실한 상승 국면에 진입했다. 서울이 122.7에서 133.4로 폭등하며 시장을 이끌었고, 경기(113.0→119.2)와 인천(100.9→102.3) 역시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비수도권은 107.3에서 112.0으로 소폭 오르는 데 그치며 여전히 보합 국면에 머물러, 수도권과의 뚜렷한 온도 차를 보였다. 다만 지방에서도 전북(99.5→122.7)과 세종(108.3→119.0) 등 일부 지역은 수도권 못지않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 지역별 편차를 키웠다.다만 주택 매매 시장의 열기가 부동산 시장 전반으로 확산됐다고 단정하기는 아직 이르다. 매매 시장과 달리 전국 주택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3.4에서 106.2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보합 국면을 유지했다. 주택과 토지를 모두 포함한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역시 109.1로 전월 대비 4.0포인트 오르는 데 그치며 보합권에 머물렀다. 이는 현재 시장의 상승세가 매매, 그중에서도 수도권에 집중된 국지적인 현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뜨거워지는 매매 심리와 아직은 차분한 전세 및 토지 시장 사이의 간극이 앞으로 전체 부동산 시장의 향방을 결정지을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