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3주 단식도 모자라 사비까지"…박지현, '천상연' 되기 위한 광기 어린 열정

 배우 박지현이 한 캐릭터를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쏟아부은 치열한 노력이 작품 공개와 함께 알려지며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는 캐릭터의 서사를 완성하기 위해 3주간의 단식도 마다하지 않았고, 사비를 들여 직접 의상과 소품을 구매하는 등 상상을 초월하는 열정을 보여주었다. 박지현은 넷플릭스 시리즈 '은중과 상연'에서 보여준 '천상연'이라는 인물에 대한 각별한 애정과 그를 연기하며 겪었던 깊은 여운에 대해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박지현은 처음 시나리오를 접했을 때부터 '천상연'이라는 인물에게 깊은 연민을 느꼈다고 고백했다. 그는 "처음부터 상연이가 너무 안쓰러웠다"며, "어떤 캐릭터든 그 행동에는 이유와 정당성이 있다고 믿는다. 상연의 행동들을 시청자들에게 설득시키고 싶었고, 설령 이해받지 못하더라도 '나라도 이 아이를 지켜줘야겠다'는 마음이 강하게 들었다"고 밝혔다. 그의 말처럼, 상연은 극 중에서 이기적이고 못된 행동을 반복하지만 결코 미워할 수 없는 복합적인 인물이다. 박지현은 상연의 행동 이면에 숨겨진 깊은 결핍을 정확히 꿰뚫어 보고 있었다. 그는 "상연은 어릴 적 엄마와 오빠에게 사랑받지 못했고, 늘 해맑은 친구 은중에 대한 질투와 선망을 동시에 가졌다"며 "누구나 한 번쯤은 인간관계에서 결핍을 느끼고 외로움을 겪는다. 상연은 그 감정이 극대화된 인물일 뿐, 우리 모두가 가진 감정의 일부이기에 많은 분이 공감해 주시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박지현은 캐릭터에 온전히 몰입했다. 그는 "감정의 폭이 큰 연기를 즐기는 편인데, 한 인물의 긴 서사를 따라 깊은 감정선을 연기하는 작업이 너무나 즐거웠다. 마치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판이 깔린 느낌이었고, '물 만났다' 싶었다"며 역할에 대한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몰입의 정도가 너무 깊었던 탓일까, 그는 촬영이 끝난 지 한참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천상연'의 가치관이 자신에게 남아있음을 느낀다고 고백했다. "스스로 역할과 자아의 분리가 잘 되는 배우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아직 분리가 덜 되었다는 것을 느꼈다"는 그의 말에서 얼마나 '천상연'으로 살았는지를 짐작하게 한다.

 


이토록 처절한 캐릭터를 완성하는 과정에서 상대 배우 김고은의 존재는 그에게 단순한 동료 이상의 의미였다. 박지현은 김고은을 떠올리다 "소름이 돋는다"며 잠시 말을 잇지 못하더니, "은중이라는 귀인을 얻었다. 지금까지 많은 선배, 배우들과 연기했지만 이렇게까지 내 인생에 큰 영향을 준 사람은 김고은이 유일하다"고 단언했다. 그는 "긴 호흡으로 밀접한 관계를 연기하는 것 자체가 '하늘이 주신 축복'이라 생각했고, 촬영을 마친 지금 이 작품은 내 연기 인생의 확실한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고 힘주어 말했다.

 

캐릭터에 대한 깊은 공감과 동료에 대한 굳건한 믿음은 박지현을 더욱 대담하게 만들었다. 그는 30대 상연을 표현하기 위해 살을 찌우는가 하면, 환자로 살아가는 40대를 연기하기 위해 2~3주간 물과 커피만 마시는 단식을 감행했다. "몸은 마르는데 얼굴은 노랗게 붓는 것을 보고 '이거다' 싶었다"는 그는 심지어 촬영 전 2~3시간씩 일부러 울어 퉁퉁 부은 얼굴로 현장에 나타나는 노력까지 보였다. 뿐만 아니라 캐릭터의 외형을 완성하기 위해 고가의 의상과 소품들을 사비로 직접 구매하기도 했다. 박지현의 이러한 광기 어린 열정과 노력이 있었기에, 미워할 수 없는 매력적인 인물 '천상연'은 비로소 생명력을 얻을 수 있었다.

 

"서울은 이미 불장"…133.4 찍은 매수 심리, 수도권 집값 폭등 전조되나

 얼어붙었던 전국 주택 매매 시장에 다시 훈풍이 불기 시작했다. 국토연구원이 17일 발표한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7.5를 기록하며 한 달 전보다 6.1포인트 상승했다. 이로써 시장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기존의 '보합 국면'에서 '상승 국면'으로 공식 전환되었다. 부동산 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15를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상승, 95에서 115 사이는 보합, 95 미만은 하강 국면으로 해석하는데, 정부의 연이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시장 참여자들의 매수 의지가 다시금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뚜렷한 신호다.이번 상승 국면 진입은 최근 몇 달간 냉온탕을 오가던 시장 심리가 방향을 굳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서 시장은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을 앞두고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몰렸던 지난 6월, 지수가 124.3까지 치솟으며 뜨거운 상승 국면을 보인 바 있다. 하지만 곧이어 발표된 6·27 대책의 영향으로 7월에는 110.5까지 지수가 급락하며 곧바로 보합 국면으로 고개를 숙였다. 이처럼 강력한 규제책에 잠시 주춤했던 시장이 불과 3개월 만에 다시 반등에 성공하며 상승 국면으로 복귀한 것은, 그만큼 시장 내에 잠재된 매수 대기 수요가 탄탄하다는 방증으로 풀이된다.특히 이번 상승세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는, 이른바 '양극화'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주택 매매소비심리지수는 114.7에서 121.7로 7포인트나 급등하며 확실한 상승 국면에 진입했다. 서울이 122.7에서 133.4로 폭등하며 시장을 이끌었고, 경기(113.0→119.2)와 인천(100.9→102.3) 역시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비수도권은 107.3에서 112.0으로 소폭 오르는 데 그치며 여전히 보합 국면에 머물러, 수도권과의 뚜렷한 온도 차를 보였다. 다만 지방에서도 전북(99.5→122.7)과 세종(108.3→119.0) 등 일부 지역은 수도권 못지않은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 지역별 편차를 키웠다.다만 주택 매매 시장의 열기가 부동산 시장 전반으로 확산됐다고 단정하기는 아직 이르다. 매매 시장과 달리 전국 주택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3.4에서 106.2로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보합 국면을 유지했다. 주택과 토지를 모두 포함한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역시 109.1로 전월 대비 4.0포인트 오르는 데 그치며 보합권에 머물렀다. 이는 현재 시장의 상승세가 매매, 그중에서도 수도권에 집중된 국지적인 현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뜨거워지는 매매 심리와 아직은 차분한 전세 및 토지 시장 사이의 간극이 앞으로 전체 부동산 시장의 향방을 결정지을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