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시끄러운 술집에서 친구 말이 안 들리는 진짜 이유…'청력' 아닌 '이것' 때문이었다

 카페나 술집처럼 소음으로 가득한 공간에서 유독 상대방의 말을 알아듣기 어렵다면 청력 저하를 의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귀가 멀쩡한데도 이러한 현상을 겪는다면, 문제는 청력이 아닌 다른 곳에 있을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주목받고 있다. 시끄러운 환경 속에서 특정 목소리를 분별해 내는 능력은 귀의 기능보다 지능지수(IQ)를 포함한 뇌의 인지 능력과 훨씬 더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최근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게재된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의 논문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연구팀은 정상적인 청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소음 환경에서 대화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및 태아알코올증후군 환자들의 특성에 주목했다. 이들은 뇌 발달 과정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범위의 인지 능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인지 능력과 소음 속 청취 능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에 적합한 집단으로 판단되었다.

 

연구팀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자 12명, 태아알코올증후군 환자 10명, 그리고 일반인 2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설계했다. 참가자 전원은 사전에 정밀 청력 검사를 통해 모두 정상 청력 범주에 속한다는 사실을 확인받았다. 이후 본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헤드폰을 착용한 채, 여러 사람의 목소리가 동시에 흘러나오는 복잡한 상황 속에서 주된 화자의 지시를 정확히 듣고 따라야 하는 '다중화자 듣기 과제'를 수행했다. 과제가 끝난 뒤에는 언어 능력, 지각 추론 능력 등 다방면의 인지 기능을 측정하는 표준화된 지능 검사를 받았다.

 


분석 결과는 매우 명확했다. 실험에 참여한 세 그룹 모두에서 지능지수를 비롯한 인지 능력 점수가 높을수록, 소음 속에서 주 화자의 목소리를 더 정확하게 가려내고 지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배경 소음과 여러 목소리가 뒤섞인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원하는 소리 정보만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단순히 귀로 소리를 감지하는 청각 능력만으로는 완성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교신 저자인 보니 라우 박사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대화를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귀로 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우리의 뇌는 여러 말소리를 각각 구분하고, 그중에서 집중해야 할 목소리에 주의를 기울이며, 동시에 불필요한 주변 소음은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복잡하고 고차원적인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여기에 상대방의 표정, 몸짓, 입 모양과 같은 비언어적, 사회적 단서까지 실시간으로 해석하고 통합해야 하므로 뇌에는 상당한 '인지적 부담'이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인지적 처리 능력이 뛰어날수록 이러한 부담을 더 잘 감당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번 연구는 50명 미만의 소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에 결과를 모든 사람에게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따른다. 하지만 연구팀은 학교처럼 다수가 모인 공간에서 소음 속 듣기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교실 앞자리에 배치하거나, 보청기와 같은 보조 청취 장비를 제공하는 등의 맞춤형 지원이 이들의 듣기 능력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강남·마포·관악, 쥐와의 동거 시작? 서울시, '쥐 비상'에 골머리

 서울시에서 쥐 출몰 및 목격 관련 시민 민원이 최근 3년 사이 두 배 가까이 급증하며 도시 위생에 비상이 걸렸다. 12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쥐 관련 민원은 총 9280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 불편을 넘어 공중 보건 문제로 인식되며 서울시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된다.연도별 민원 현황은 2020년 1279건, 2021년 1043건, 2022년 1336건으로 등락을 보이다가 2023년에는 1886건으로 크게 늘었다. 특히 올해는 7월까지 이미 1555건이 접수되어 작년 전체 민원의 71% 수준을 기록,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2021년(1043건) 대비 지난해(1886건) 민원 건수는 약 1.8배 증가, 3년 만에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자치구별로는 강남구, 마포구, 관악구에서 쥐 출몰 민원이 특히 많았다.김위상 의원은 이러한 쥐 출몰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기후 변화'를 지목했다. 기후 변화로 쥐의 번식 환경이 개선되거나 서식지가 확장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쥐는 렙토스피라증, 유행성 출혈열 등 다양한 감염병의 매개체가 될 수 있어 시민 건강에 직접적인 위협이 된다. 김 의원은 "쥐는 감염병의 매개체이므로 선제적으로 대응할 도시환경 관리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서울시의 적극적인 대처를 촉구했다.급증하는 쥐 민원은 서울시가 직면한 새로운 도시 관리 과제로 떠올랐다. 단순히 쥐 박멸을 넘어 쓰레기 관리, 하수도 정비, 노후 건물 개선 등 근본적인 도시 환경 개선을 통해 쥐가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는 장기적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 시민 위생 의식 제고와 함께 서울시의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이 이루어진다면, 쾌적하고 안전한 서울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