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단순 라면인 줄 알았더니…소스·스낵까지 ‘불닭 맛’으로 100개국 정복한 삼양의 소름 돋는 전략

 'K-스파이시'의 대명사가 된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이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경이로운 기록을 세웠다. 2012년 첫선을 보인 이래, 불닭 시리즈의 전 세계 누적 판매량이 80억 개를 돌파한 것이다. 이는 지구촌 전체 인구인 82억 명에 육박하는 엄청난 수치로, 사실상 전 세계 모든 사람이 불닭볶음면을 한 번씩 맛본 것과 다름없는 규모다. 단순한 식품을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은 불닭의 위상을 실감하게 하는 대목이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중심에는 해외 시장에서의 뜨거운 반응이 있었다. 국내 출시 초기 마니아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던 불닭볶음면은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파이어 누들 챌린지(Fire Noodle Challenge)'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처럼 번지면서 인지도와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그 결과, 2023년 누적 판매량 50억 개를 달성한 데 이어 불과 1년 만인 2024년 70억 개, 그리고 다시 반년 만에 80억 개라는 기념비적인 판매고를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현재 미국과 중국, 동남아시아는 물론, 매운맛에 익숙하지 않은 유럽 시장까지 뚫으며 전 세계 100여 개국에 'K-매운맛'의 위력을 떨치고 있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철저한 '현지화(Localization)' 전략이 있었다. 삼양식품은 각 국가의 문화와 소비자 입맛을 면밀히 분석하여 제품, 유통,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서 현지 맞춤형 전략을 구사했다. 단순히 매운맛을 수출하는 것을 넘어, 현지인들이 거부감 없이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맛을 개발하고 현지 유통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글로벌 확장성의 단단한 기반을 다졌다. 또한, 라면에만 국한하지 않고 불닭의 상징적인 매운맛을 소스, 스낵, 간편식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확장하며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넓힌 것도 주효했다. 특히 '불닭 소스'는 그 자체로 하나의 독립된 상품으로 인정받아 전 세계 50여 개국에 수출되며, 국내외 외식 브랜드 및 리테일 상품과의 협업을 통해 '불닭'이라는 브랜드를 하나의 강력한 맛의 플랫폼으로 격상시켰다. 삼양식품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급증하는 글로벌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밀양 1, 2공장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 생산 역량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불닭볶음면이 써 내려가는 'K-푸드'의 신화는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다.

 

최태원-노소영 '쩐의 전쟁' 마침표! 8년 싸움 끝, 누가 '돈벼락'?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상고심 판결이 오늘(16일) 내려지며, 8년 3개월간 이어진 법정 다툼이 최종 결론을 맞는다. 1심과 2심의 재산분할 규모 차이가 약 1조 3150억원에 달해, 대법원의 최종 판단에 재계와 법조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이날 오전 10시 대법원 제1부(주심 서경환 대법관)는 최 회장 이혼 소송 상고심 선고기일을 진행한다. 핵심 쟁점은 최 회장 소유 SK 주식의 '특유재산' 인정 여부와 SK그룹 성장에 대한 노 관장의 기여도 범위다.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300억원이 SK그룹 종잣돈이 됐다는 항소심 판단, 그리고 항소심 판결문 경정 과정의 주가 산정 오류에 대한 대법원 언급 여부도 주요 관심사다.최 회장은 2017년 7월 이혼 조정을 신청했고, 노 관장은 2019년 2월 이혼에 응하며 위자료 3억원과 최 회장 보유 SK 주식 절반 분할을 요구하는 반소를 제기했다.2022년 12월 6일, 1심 서울가정법원은 SK 주식을 '특유재산'으로 판단, 재산 분할 대상에서 제외하며 최 회장에게 위자료 1억원과 655억원의 재산 분할만을 인정했다. 이에 노 관장은 항소하며 재산 분할 요구액을 2조원으로 상향했다.그러나 2024년 5월 30일, 2심 서울고법은 1심 결론을 완전히 뒤집었다. 재판부는 노 관장이 SK 성장에 실질적으로 기여했다고 인정, 최 회장이 위자료 20억원과 1조3808억원의 재산을 노 관장에게 분할하라고 판결했다. 특히 2심에서는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300억원이 SK그룹 성장의 '종잣돈'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 일부 받아들여졌다.항소심 과정에서 주가 산정 오류 정정 논란도 있었다. 2심 재판부가 1998년 SK 주가를 100원에서 1000원으로 고쳤고, 이로 인해 선대 회장 기여도는 증가, 최 회장 기여도는 감소했다. 재판부는 "중간단계 계산 오류를 수정한 것"이며 "재산분할 비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오늘 대법원 판결은 최 회장과 노 관장의 오랜 이혼 소송에 종지부를 찍고, 재벌가 이혼 소송의 재산분할 기준에 중요한 선례를 남길 것으로 예상된다. 1조원 넘는 재산 분할 규모, 특유재산 인정 여부, 전직 대통령 비자금의 기업 성장 기여도 인정 등 첨예한 쟁점들이 어떻게 결론 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