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로맨스, 사극 다 찍더니... 김태리, 이번엔 '연극 선생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기파 배우 김태리가 데뷔 10년 만에 처음으로 고정 예능 프로그램에 도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연예계와 팬덤 전체가 들썩이고 있다. 스포티비뉴스의 23일 단독 보도에 따르면, 김태리는 가제 '방과후 연극반'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브라운관에 새로운 모습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동안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들었던 '예능 천연기념물' 김태리의 파격적인 행보에 벌써부터 뜨거운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방과후 연극반'은 김태리가 한 시골 초등학교의 연극반 선생님이 되어 학생들에게 연극 수업을 펼치는 콘셉트의 프로그램이다. 연기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열정을 지닌 '연기 선생님' 김태리와, 순수하고 사랑스러운 시골 학생들이 함께 만들어갈 특별한 여정은 안방극장에 순수한 웃음과 가슴 뭉클한 감동을 동시에 선사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톱배우가 아닌 '선생님' 김태리의 모습은 팬들에게 신선한 매력으로 다가갈 것이 분명하다.

 

김태리가 예능 출연을 결심하기까지는 오랜 고민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데뷔 이래 줄곧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며 신비주의에 가까운 이미지를 유지해왔던 그녀였기에, 이번 고정 예능 출연은 그야말로 파격적인 결정이다. '배우 김태리'로서의 압도적인 카리스마와 '인간 김태리'로서의 꾸밈없고 소탈한 매력을 동시에 대방출할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그녀는 대중에게 한층 더 가까이 다가갈 것으로 전망된다. 1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예능에서 봉인되어 있던 그녀의 숨겨진 끼와 인간적인 면모가 어떻게 발현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태리는 명실상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최정상 배우다. 영화 '아가씨'로 강렬하게 데뷔한 이래, '1987', '리틀 포레스트',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 '스물다섯 스물하나' 등 로맨스, 사극, 판타지, 장르물을 넘나들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여왔다. 특히 지난해 'K-장르물의 대가' 김은희 작가의 드라마 '악귀'에서는 1인 2역에 가까운 소름 돋는 연기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았고, 이 작품으로 SBS 연기대상의 대상 영광을 안으며 '대상 배우'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 이처럼 연기력과 흥행력을 모두 갖춘 배우가 예능에 출연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도 엄청난 화제성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최정상 배우 김태리가 연기 경험이 전혀 없는 순박한 시골 학생들과 동고동락하며 하나의 연극을 완성해가는 과정은 그 자체만으로도 한 편의 웰메이드 다큐멘터리 혹은 영화를 보는 듯한 생생한 재미와 진한 감동을 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기에 진심인 김태리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연극의 즐거움을 가르치고, 아이들은 김태리 선생님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며 성장하는 모습은 시청자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힐링을 선사할 것이다.

 

앞서 김태리는 개인 브이로그 '거기가 여긴가'를 통해 소탈하고 유쾌한 '인간 김태리'의 매력을 가감 없이 보여주며 팬들로부터 "예능 출연해달라"는 요청이 쇄도한 바 있다. 당시에도 그녀의 자연스러운 모습에 많은 이들이 열광했던 만큼, 이번 '방과후 연극반'을 통해 보여줄 새로운 모습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연기에 진심'인 김태리가 이끄는 '방과후 연극반'은 2026년 tvN 편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녀의 첫 고정 예능 도전이 어떤 파급력을 가져올지 연예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골키퍼 실수, 수비 붕괴, PK 2골…자멸로 끝난 이민성호의 사우디 원정

 한국 축구에 그야말로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이민성 감독이 이끄는 22세 이하(U-22) 대표팀이 중동의 강호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원정 2연전에서 단 한 골도 넣지 못하고 무려 6골을 실점하며 전패를 당하는 참사를 겪었다. 단순한 연습경기라고 치부하기에는 상상조차 하기 힘든 결과이며, 경기 내용 역시 졸전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내년 아시안컵 개최지에서 미리 적응하고 전력을 가다듬겠다는 당초의 목표는 완전히 빗나갔고, 오히려 팀 전력에 대한 의문부호만 잔뜩 남긴 최악의 전지훈련으로 기록되게 되었다.이번 사우디 원정은 단순한 평가전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내년 1월, 사우디에서 열리는 U-23 아시안컵은 2026 아시안게임 남자축구 4연패라는 대업의 성패를 가늠할 중요한 무대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한국은 본선에서 우즈베키스탄, 이란 등 월드컵 본선 진출국들과 한 조에 묶여 '죽음의 조'에 속했다는 평가를 받는 상황. 그렇기에 이민성 감독은 배준호, 양민혁, 김용학 등 유럽파 선수들까지 소집하며 이번 전지훈련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결과적으로 받아 든 성적표는 0득점 6실점 전패라는 처참한 수준이었다.특히 지난 11일 열린 1차전의 내용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완벽한 자멸에 가까웠다. 한국은 골키퍼의 어이없는 킥 실수로 선제골을 헌납한 것을 시작으로, 수비진의 빌드업 과정에서 공을 빼앗겨 추가 실점을 내주는 등 스스로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다. 클리어링 미스까지 겹치며 무려 네 골을 내리 내주며 0-4로 대패했다. 15일 열린 2차전 역시 다르지 않았다. 경기 내용은 조금 나아졌을지 몰라도, 결국 수비진의 실수로 두 번의 페널티킥을 헌납하며 0-2로 무릎을 꿇었다. 두 경기 연속으로 이어진 수비 불안은 이민성호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설상가상으로 전력 손실까지 발생했다. 팀의 핵심 공격 자원으로 기대를 모았던 배준호가 1차전 이후 부상을 당해 소속팀으로 조기 복귀하는 악재가 터진 것이다. 득점력 빈곤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공격의 활로를 열어줄 선수를 잃은 것은 뼈아픈 손실이다. 결국 이민성호는 이번 사우디 원정에서 경기력, 결과, 선수 부상 관리까지 어느 하나 잡지 못한 채 총체적 난국에 빠졌다. 아시안컵 본선까지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참패가 과연 약이 될지, 아니면 독이 될지 축구 팬들의 우려 섞인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