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연극·뮤지컬이 반값?…'공짜표'나 다름없는 15,000원 할인권, '이 지역'에만 쏟아진다

 가을의 문턱에서 문화 예술계에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다. 공연과 전시를 사랑하는 이들이라면 놓칠 수 없는 대규모 할인 혜택이 다시 한번 문을 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함께 지난 8월 배포 후 사용되지 않은 공연 할인권 약 36만 장과 전시 할인권 약 137만 장을 다시 배포한다고 밝혔다. 이는 문화 예술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국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조치로, 연말까지 풍성한 문화생활을 계획하는 이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기회가 될 전망이다.

 

이번 2차 배포는 지난 1차 사업의 아쉬움을 교훈 삼아 더욱 실효성 있는 방식으로 개편된 점이 눈에 띈다. 당시에는 6주라는 비교적 긴 사용 기간을 설정했으나, 이로 인해 할인권을 발급만 받아두고 기간 내 사용하지 않아 소멸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번에는 할인권의 유효기간을 '1주일'로 대폭 단축했다. 할인권을 발급받았다면 반드시 해당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자동으로 소멸되어 다른 이용자를 위한 물량으로 전환된다. '일단 받아두고 보자'는 심리를 차단하고, 실제 관람 의사가 있는 이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본격적인 할인권 배포는 오는 9월 25일부터 시작되며, 12월 3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새로운 물량이 풀린다. 참여 예매처는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총 7곳으로 확대되어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온라인 예매처별로 공연 1만 원, 전시 3,000원 할인권을 매주 1인당 2매씩 발급받을 수 있으며, 결제 1건당 1매의 할인권이 적용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할인 적용 방식이다. 개별 티켓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할인이 적용되므로, 할인권 금액보다 저렴한 공연이나 전시라도 여러 장을 함께 구매해 최소 결제 금액(공연 1만 5,000원, 전시 5,000원)을 넘기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친구나 가족과 함께 관람할 계획이라면 더욱 유리한 조건이다. 할인 대상은 연극, 뮤지컬, 클래식, 국악, 무용 등 순수 공연 예술과 전국의 국공립 및 사립 미술관에서 열리는 시각예술 전시, 아트페어 등이다. 다만, 대중음악 콘서트나 산업 박람회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미리 확인이 필요하다.

 

여기에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 활성화를 위한 파격적인 혜택이 추가된다. 네이버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4개 예매처에서는 비수도권에서 개최되는 공연과 전시에만 사용할 수 있는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매주 1인당 2매씩 추가로 발급한다. 이 전용 할인권은 전국 단위 할인권보다 혜택의 폭이 훨씬 크다. 공연은 1만 5,000원, 전시는 5,000원의 할인을 제공하며, 최소 결제 금액 기준은 공연 2만 2,000원, 전시 7,000원 이상이다. 지역의 우수한 문화 콘텐츠를 더욱 저렴하게 즐길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수도권에 집중된 문화 수요를 분산시키는 효과까지 기대되는 정책이다.

 

골키퍼 실수, 수비 붕괴, PK 2골…자멸로 끝난 이민성호의 사우디 원정

 한국 축구에 그야말로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이민성 감독이 이끄는 22세 이하(U-22) 대표팀이 중동의 강호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원정 2연전에서 단 한 골도 넣지 못하고 무려 6골을 실점하며 전패를 당하는 참사를 겪었다. 단순한 연습경기라고 치부하기에는 상상조차 하기 힘든 결과이며, 경기 내용 역시 졸전이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내년 아시안컵 개최지에서 미리 적응하고 전력을 가다듬겠다는 당초의 목표는 완전히 빗나갔고, 오히려 팀 전력에 대한 의문부호만 잔뜩 남긴 최악의 전지훈련으로 기록되게 되었다.이번 사우디 원정은 단순한 평가전 이상의 의미를 가졌다. 내년 1월, 사우디에서 열리는 U-23 아시안컵은 2026 아시안게임 남자축구 4연패라는 대업의 성패를 가늠할 중요한 무대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한국은 본선에서 우즈베키스탄, 이란 등 월드컵 본선 진출국들과 한 조에 묶여 '죽음의 조'에 속했다는 평가를 받는 상황. 그렇기에 이민성 감독은 배준호, 양민혁, 김용학 등 유럽파 선수들까지 소집하며 이번 전지훈련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결과적으로 받아 든 성적표는 0득점 6실점 전패라는 처참한 수준이었다.특히 지난 11일 열린 1차전의 내용은 변명의 여지가 없는 완벽한 자멸에 가까웠다. 한국은 골키퍼의 어이없는 킥 실수로 선제골을 헌납한 것을 시작으로, 수비진의 빌드업 과정에서 공을 빼앗겨 추가 실점을 내주는 등 스스로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다. 클리어링 미스까지 겹치며 무려 네 골을 내리 내주며 0-4로 대패했다. 15일 열린 2차전 역시 다르지 않았다. 경기 내용은 조금 나아졌을지 몰라도, 결국 수비진의 실수로 두 번의 페널티킥을 헌납하며 0-2로 무릎을 꿇었다. 두 경기 연속으로 이어진 수비 불안은 이민성호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설상가상으로 전력 손실까지 발생했다. 팀의 핵심 공격 자원으로 기대를 모았던 배준호가 1차전 이후 부상을 당해 소속팀으로 조기 복귀하는 악재가 터진 것이다. 득점력 빈곤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공격의 활로를 열어줄 선수를 잃은 것은 뼈아픈 손실이다. 결국 이민성호는 이번 사우디 원정에서 경기력, 결과, 선수 부상 관리까지 어느 하나 잡지 못한 채 총체적 난국에 빠졌다. 아시안컵 본선까지 남은 시간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 참패가 과연 약이 될지, 아니면 독이 될지 축구 팬들의 우려 섞인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