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산관에 왜 왔니?"…청주의 한 종갓집에서 벌어질 '수상한' 전통 체험

 역사와 문화의 도시 청주가 2026년을 기점으로 대대적인 문화적 부흥을 예고하며 전국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청주시는 최근 국가유산청이 주관한 '2026년 우리 고장 국가 유산 활용사업 공모'에서 무려 10개 사업이 동시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며, 국비 11억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는 단순히 예산을 확보한 것을 넘어, 청주가 품고 있는 풍부한 유·무형의 국가유산을 잠재적 가치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시민과 관광객이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역동적인 문화관광자원으로 재창조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국가로부터 인정받은 결과다. 이번 공모 선정은 청주가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모든 국민이 수준 높은 문화를 향유하는 선도 도시로 발돋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2026년 한 해 동안 청주 전역에서 펼쳐질 10개의 사업들은 과거와 현재, 기술과 전통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스펙트럼으로 구성되어 기대를 모은다.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것은 청주의 대표적인 야간 문화 행사로 자리매김할 '국가유산 야행'이다. 이 프로그램은 고즈넉한 밤의 장막이 내린 원도심의 국가유산을 배경으로, 은은한 조명과 다채로운 공연, 체험 활동이 어우러져 마치 시간 여행을 떠나는 듯한 환상적인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또한,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 잠들어 있던 국가유산이 만나는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사업은 낡은 담장과 건축물이 거대한 캔버스가 되어 빛과 소리의 예술로 재탄생하는 장관을 연출한다. 이는 젊은 세대에게는 우리 유산의 새로운 매력을, 기성세대에게는 익숙한 공간의 경이로운 변신을 보여주며 세대를 초월한 감동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선정된 사업들은 관람 위주의 정적인 프로그램을 넘어,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소통하는 동적인 체험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특별하다. "문산관에 왜 왔니, 왜 왔니?"라는 흥미로운 이름의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청주의 유서 깊은 종갓집을 활용하는 이 사업은, 방문객들이 마치 그 시대의 구성원이 된 것처럼 전통문화를 직접 겪어보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엄숙하게 보존된 공간이 아니라, 사람의 온기가 가득한 살아있는 역사 교육의 장으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이처럼 청주시는 확보된 11억 원의 국비를 마중물 삼아, 2026년 시민들이 연중 내내 즐길 거리가 넘쳐나는 '문화의 도시'를 구현할 계획이다. 단순한 일회성 행사를 넘어, 청주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문화가 지역 경제를 이끄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나갈 방침이다.

 

수하물 미탑재, 지연 미고지… 항공사들의 '불친절 갑질'에 과태료 폭탄

 국토교통부가 승객들의 위탁 수하물을 싣지 않고 이륙한 아시아나항공에 12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또한 항공편 지연 사실을 제때 알리지 않은 에어로케이에도 1800만원의 과태료 처분을 내리며, 항공사의 승객 고지 의무 위반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다시 한번 천명했다. 이번 조치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도 승객의 알 권리와 편의를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사례로 평가된다.아시아나항공이 부과받은 과태료는 지난 8월, 인천에서 뉴욕으로 향하는 항공편 3편에서 발생한 수하물 미탑재 사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당시 러시아 캄차카반도에서 여러 화산이 동시에 분화하면서 광범위한 화산재가 퍼졌고, 이로 인해 해당 항공편들은 안전을 위해 항로를 변경해야만 했다. 예상치 못한 항로 우회는 연료 소모를 증가시켰고, 안전 운항을 확보하기 위해 수하물 탑재량을 제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초래했다. 그러나 아시아나항공은 이러한 수하물 미탑재 상황을 출발 예정 시간보다 3~4시간이나 먼저 파악했음에도 불구하고, 무려 294명에 달하는 승객들에게 이 사실을 항공기가 이륙한 후에야 문자 메시지로 뒤늦게 알렸다.국토교통부는 아시아나항공이 항공사업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하며, 특히 승객 안내 방식의 미흡함을 지적했다. 해당 문자 메시지에는 단순히 '도착공항에 문의하라'는 내용만 담겨 있었을 뿐, 수하물 미탑재로 인한 불편에 대한 보상 계획이나 구체적인 조치 방안이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항공교통이용자 보호 기준에 따르면 항공사는 위탁수하물의 일부를 싣지 못한 경우 승객들에게 이를 명확하고 신속하게 안내해야 할 의무가 있다. 아시아나항공 측은 "불편을 겪으신 승객분들께 사과드린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 수하물 미탑재 상황 예방 및 신속한 사전 안내 체계 구축에 힘쓰겠다고 밝혔다.한편, 저비용항공사 에어로케이 역시 승객 안내 의무 위반으로 과태료 처분을 피하지 못했다. 에어로케이는 지난 3월부터 6월까지 총 9편의 항공편에서 지연 사실을 인지하고도 승객들에게 제때 알리지 않거나 늦게 고지한 사실이 적발됐다. 특히 한 사례에서는 탑승 19분 전이 되어서야 '항공기 안전점검을 위해 2시간 늦게 출발한다'고 고지하여 승객들의 큰 불편을 초래했다. 국토부는 에어로케이에 편당 200만원씩, 총 18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이번 국토교통부의 과태료 부과는 항공사들이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도 승객의 편의와 알 권리를 얼마나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항공사의 책임 있는 자세와 투명한 정보 제공은 승객들의 신뢰를 얻고 항공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