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노래만 잘하는 줄 알았더니…드라마·뉴스까지 눌러버린 임영웅의 '무서운' 시청률

 가수 임영웅의 '미다스의 손'은 장르를 가리지 않았다. 그의 이름 석 자가 걸린 예능 프로그램 SBS '섬총각 영웅'이 드라마와 뉴스를 포함한 모든 장르의 콘텐츠를 제치고 화요일 밤의 진정한 강자로 우뚝 섰다. 단순한 팬덤의 힘을 넘어, 대중성을 완벽하게 입증하며 유종의 미를 거둔 것이다.

 

지난 16일 막을 내린 '섬총각 영웅' 마지막 회는 그야말로 '임영웅 파워'가 무엇인지 여실히 보여주는 지표들로 가득했다. 방송가의 핵심 지표로 꼽히는 2049 시청률에서 1.2%를 기록, 당일 방영된 모든 프로그램을 통틀어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화려한 스토리의 드라마나 속보를 전하는 뉴스보다도 젊은 시청자들이 임영웅과 친구들의 진솔한 여정에 더 큰 매력을 느꼈다는 방증이다. 가구 시청률 역시 4.5%로 화요일 예능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으며, 분당 최고 시청률은 6.1%까지 치솟으며 마지막까지 식지 않는 열기를 증명했다. 온라인에서의 화제성도 뜨거웠다.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이 발표한 비드라마 TV-OTT 검색 반응 순위에서 3위에 올랐고, 넷플릭스 한국 시리즈 부문에서도 TOP 5에 진입하는 등 TV와 OTT 플랫폼을 넘나드는 막강한 영향력을 과시했다.

 

이러한 성공의 배경에는 인위적인 설정 대신, '찐친'들의 자연스러운 케미스트리에서 우러나오는 건강한 웃음과 따뜻한 감동이 있었다. 마지막 방송은 시작부터 허경환의 '웃픈' 수난시대로 포문을 열었다. 음식 재료비를 건 할리갈리 게임에서 패배한 그가 개인 카드로 20인분의 식재료를 결제하게 된 것. 특히 장을 보고 온 궤도와 임태훈이 다른 영수증과 섞어 "선물 살 게 많았다"고 너스레를 떨자, 허경환이 "99만 원 같다. 서울 가면 내용증명 보낼 것"이라며 분노하는 모습은 시청자들에게 꾸밈없는 큰 웃음을 선사했다.

 


웃음 속에서도 임영웅 특유의 다정함은 빛을 발했다. 허경환의 부탁으로 그의 어머니와 영상 통화를 하게 된 임영웅은 "콘서트에 꼭 모시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허경환의 어머니가 "느그 엄마도 가기 힘들다더라"고 재치있게 응수하며 아들을 향해 "너는 이제 영원한 영웅"이라고 변치 않는 팬심을 드러낸 장면은 세대를 초월한 임영웅의 인기를 실감케 하며 훈훈함을 안겼다.

 

방송의 대미는 섬마을 어르신들을 위해 준비한 특별한 선물, 임태훈의 중식 코스 요리와 임영웅의 미니 콘서트가 장식했다. 마파두부, 유린기, 짜장면 등 정성 가득한 요리에 어르신들은 "세상에 이런 날도 있다"며 연신 감탄했고, 이어진 임영웅의 '항구의 남자', '엄마의 노래' 열창에 눈시울을 붉히며 감동의 시간을 함께했다. 모든 여정을 마친 임영웅은 "궤도 형은 나를 특별하게, 태훈이 형은 나를 평범하게 만들어주는 좋은 친구들"이라며 끈끈한 우정을 되새겼고, 방송 말미 "고향이 그리워질 때 즈음 섬총각이 찾아오겠습니다"라는 자막은 시즌2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리며 긴 여운을 남겼다.

 

내부선 '복귀 소동', 외부선 '尹 연관성' 추적…김건희 특검의 숨 가쁜 '투트랙'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내부에서 터져 나온 파견검사들의 '집단 원대 복귀 요청' 논란을 진화하기 위해 직접 나섰다. 박상진 특검보는 브리핑을 통해 "파견검사들이 수사가 끝나면 전원 복귀하겠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명확히 선을 그었다. 그는 검사들이 제기한 문제가 수사를 거부하겠다는 의사가 아니라, 최근 개정된 정부조직법에 따라 수사검사와 공소유지 검사를 분리하는 원칙과, 수사·기소·공소유지가 결합된 특검법의 역할이 서로 충돌하는 데 대한 법리적 혼란을 호소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오히려 특검팀은 파견검사들이 공소유지까지 책임감 있게 수행할 의지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강조하며, 내부 균열 의혹을 서둘러 봉합하는 모습을 보였다.특검팀은 이번 논란을 계기로, 수사한 검사가 직접 공판까지 책임지는 것이 특검법의 본래 취지이자 성공적인 수사를 위한 필수 조건임을 재확인했다. 박 특검보는 "수사검사가 공소유지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고, 파견검사들도 이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이는 현 정부가 추진하는 '수사·기소 분리'라는 검찰 개혁 방향과 정면으로 배치될 수 있는 부분이지만,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할 때 죄에 상응하는 처벌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수사의 연속성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결국 특검팀은 파견검사들의 혼란을 법리적으로 정리하고 설득함으로써, 외부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수사 동력을 다시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이러한 내부 논란 속에서도 특검팀의 수사는 멈추지 않고 전방위로 뻗어나가고 있다. 특검팀은 통일교 현안과 관련해 정치권에 금품 로비를 벌인 혐의로 구속된 한학자 총재에게 소환을 통보하며 수사에 속도를 냈다. 한 총재가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불출석하자, 특검팀은 이례적으로 추석 연휴 기간인 4일에 다시 출석하라고 통보하며 강한 수사 의지를 드러냈다. 이는 핵심 인물에 대한 조사를 더는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연휴 반납을 불사하고서라도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겠다는 압박의 메시지로 읽힌다.특검팀 수사의 칼끝은 결국 김건희 여사를 넘어 윤석열 전 대통령을 향할 가능성까지 시사하고 있다. 특검팀은 김 여사 측에 고가의 그림을 건넨 혐의(청탁금지법 위반)로 구속기소된 김상민 전 부장검사의 죄명이 향후 '뇌물죄'로 변경될 수 있음을 공식적으로 언급했다. 특검팀 관계자는 뇌물죄를 적용하기 위한 핵심 요건으로 '직무 관련성', '대가성', 그리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연관성'에 대한 수사가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는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김 전 검사의 행위가 단순한 청탁을 넘어 윤 전 대통령의 직무와 관련된 대가성 뇌물이었음이 입증될 경우, 사건의 파장이 비교할 수 없이 커질 수 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