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조용한 팬데믹' 경고…진단조차 못 받는 젊은층, 당신의 몸이 보내는 마지막 신호

 전 세계가 또 다른 '팬데믹'의 위협에 직면했다. 다만 이번엔 바이러스가 아닌, 침묵 속에서 서서히 우리 몸을 파괴하는 '당뇨병'이다. 최근 발표된 충격적인 연구 결과는, 당뇨병 유병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환자 절반 가까이가 자신이 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끔찍한 현실을 고발한다. 이는 단순한 건강 문제를 넘어, 전 세계 공중 보건 시스템을 위협하는 ‘조용한 재앙’으로 번지고 있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2000년부터 2023년까지 무려 204개국의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경악 그 자체였다. 당뇨병이나 그 전 단계인 혈당 조절 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 중, 의료기관을 통해 정식으로 진단을 받은 비율은 고작 55.8%에 불과했다.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자신의 몸속에서 시한폭탄이 커가고 있다는 사실을 까맣게 모르고 일상을 살아가고 있다는 의미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진단을 받은 환자들조차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진단받은 환자의 91.4%가 약물 치료 등 어떤 형태로든 관리를 받고는 있었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최적의 혈당 수치'를 유지하고 있는 환자는 전체 당뇨병 인구의 21.2%, 즉 5명 중 1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80%는 당뇨병이라는 진단을 받고도 심장마비, 뇌졸중, 신부전, 실명, 신경 손상으로 인한 족부 절단 등 끔찍한 합병증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셈이다.

 


연구를 이끈 로린 스태퍼드 연구원은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자신의 병의 심각성을 모른 채 살아간다면, 당뇨병은 조용한 팬데믹이 될 수밖에 없다"고 강력히 경고하며, "특히 활동량이 적고 식습관이 불규칙한 청년층에서 당뇨병이 과소 진단되는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이 재앙의 고리를 끊어낼 방법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체중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꼽는다. 유럽심장학회에 따르면, 현재 체중의 단 5%만 감량해도 당뇨병 전 단계는 물론, 이미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까지도 혈당과 혈압 수치가 극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반대로 비만, 특히 복부 비만과 낮은 HDL(좋은) 콜레스테롤 수치는 혈당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것을 방해하고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가속하는 가장 강력한 위험 인자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무작정 굶는 방식의 다이어트는 절대 해답이 될 수 없다. 미국 워싱턴대의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식이요법만으로 체중의 10%를 감량한 그룹보다,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며 동일하게 10%를 감량한 그룹에서 인슐린 저항성 관련 지표가 무려 '두 배' 이상 개선되었다. 이는 운동이 단순히 칼로리를 소모하는 것을 넘어, 우리 몸의 혈당 조절 시스템 자체를 근본적으로 개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걷기, 조깅 같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하루 30분 이상 꾸준히 병행하고, 아침 식사를 챙기며 '덜 짜게, 덜 달게, 덜 기름지게' 먹는 균형 잡힌 식습관, 그리고 하루 7~8시간의 충분한 수면. 이 기본적인 생활 수칙을 지키는 것이야말로 '조용한 팬데믹'으로부터 당신의 생명을 지키는 가장 확실하고 유일한 길이다.

 

국민 혈세로 받은 '424만원' 보너스…"마음 무겁고 송구하다"며 어려운 이웃에게 보낸 의원

 올해도 어김없이 국회의원들의 통장에는 두둑한 명절 휴가비가 입금됐다. 추석을 앞두고 의원 1인당 지급된 금액은 424만 7,940원. 모두가 당연하게 여기는 이 '명절 상여금'에 한 국회의원이 무거운 마음을 드러내며 또다시 전액 기부를 약속했다.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은 자신의 통장에 찍힌 숫자를 공개하며 "마음이 무겁고 송구할 따름"이라고 밝혔다. 그가 국회의원이라는 신분으로 받는 돈에 불편함을 느낀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작년 추석과 올해 설에도 그는 명절 휴가비를 받으며 느낀 불편한 심경을 토로하고 이를 이웃과 나누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민의 혈세로 지급되는 보너스를 마냥 기쁘게 받을 수만은 없는 그의 고백은, 반복되는 정치권의 특권 논란 속에서 다시 한번 우리에게 많은 질문을 던진다.김 의원의 이러한 불편함은 그가 국회에 입성한 초선 시절부터 시작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대한민국을 휩쓸던 참담한 시기, 수십 명의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생활고를 이기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적인 현실을 눈앞에서 목도하면서, 세금으로 자신의 주머니를 채우는 일 자체가 큰 부담으로 다가왔다고 그는 고백한다. 모두가 고통받는 현실 속에서 안정적인 세비를 받는 것에서 오는 미안함과 책임감은, 그로 하여금 의원이 된 첫해부터 세비 일부를 꾸준히 기부하게 만든 원동력이었다. '국민의 혈세'를 외치며 예산을 심사하는 장본인으로서, 정작 자신의 특권에는 침묵할 수 없다는 양심의 목소리였던 셈이다.그의 비판은 단순히 개인적인 소회를 넘어 대한민국 정치권 전체의 부끄러운 민낯을 향한다. 국회의원들이 예산안을 심사하며 '국민 혈세'의 소중함을 부르짖지만, 정작 그 돈이 미래 세대의 주머니를 털어 만드는 '빚 폭탄'이라는 사실에는 눈감은 채 마구잡이로 퍼주기식 정책을 남발하는 현실에 그는 절망을 넘어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사적인 이익을 위해 출판기념회를 열고, 자녀의 결혼 청첩장에 계좌번호는 물론 카드 결제 링크까지 버젓이 넣는 일부 정치인들의 뻔뻔한 행태를 꼬집으며, 이런 모습으로 어떻게 '민생'을 외치고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겠냐고 강하게 반문했다.결국 정치는 '책임'과 '염치'의 문제라고 그는 강조한다. 정치인 스스로가 자신의 주머니를 채우는 일을 줄이고, 고통받는 이웃과 함께 나누는 모습을 보일 때 비로소 국회도, 대한민국 정치도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명절 휴가비 역시 전액 어려운 이웃을 위해 내놓으며 "그래도 내 삶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덧붙인 그의 말은, 많은 정치인에게 울림을 준다. 국회의원 명절 휴가비는 일반 공무원 수당 규정에 따라 월 봉급액의 60%가 지급되며 지난 10년간 약 10%가 올랐다. 당연하게 여겨졌던 이러한 특권과 관행을 버리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만이 대한민국 정치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유일한 해법임을 그의 조용한 실천이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