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외로움'이 암보다 더 치명적... 노화를 10년 앞당기는 숨겨진 살인자의 정체

 노화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생체 구조와 기능이 자연스럽게 쇠퇴하는 현상으로, 모든 인간이 겪는 불가피한 과정이다. 하지만 노화의 진행 속도는 개인의 생활 습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건강하지 못한 습관은 노화를 가속화하는 반면, 건강한 생활 방식은 노화 과정을 상당히 늦출 수 있다.

 

불균형한 식습관은 노화를 촉진하는 주요 원인이다. 건강에 좋은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으면 심장병, 당뇨병 등 다양한 질병에 노출되어 젊음을 빠르게 잃게 된다. 지방이 많은 붉은 고기 섭취를 줄이고, 생선, 견과류, 올리브오일, 아보카도 같은 건강한 지방과 통곡물, 과일, 채소를 충분히 섭취하는 지중해식 식단이 심장과 두뇌 건강에 도움이 된다.

 

수면 부족도 노화를 가속화한다. 하루 7~9시간의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피부가 빨리 처지고 주름이 생기기 쉽다. 이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증가하면서 피부의 주성분인 콜라겐이 분해되기 때문이다. 콜라겐이 감소하면 피부는 탄력을 잃고 뻣뻣해진다. 숙면을 위해서는 취침 전 술, 카페인, 전자기기 사용을 피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가라앉혀야 한다.

 

흡연은 암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젊은 나이에도 깊은 주름과 피부 처짐을 유발한다. 담배는 피부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소를 운반하는 혈류를 감소시키고, 콜라겐 생성을 방해한다.

 

과도한 햇볕 노출도 피부 노화를 촉진한다. 적당한 햇볕은 건강에 이롭지만, 과도한 자외선은 피부의 콜라겐을 손상시키고 엘라스틴이라는 단백질을 과도하게 생성하게 한다. 이로 인해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과 검은 반점이 생기며 거칠어진다. 직사광선을 피할 수 없다면 모자, 긴팔 옷으로 보호하고, SPF 30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해야 한다.

 


저충격 운동은 노화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고 관절을 유연하게 만든다. 수영, 요가, 태극권과 같이 신체에 충격이 적은 운동이 특히 효과적이다.

 

근력 운동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감소하는 근육량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웨이트 트레이닝, 걷기, 정원 가꾸기, 수영 등 규칙적인 운동으로 근육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하루 30분 운동이 이상적이지만, 15분씩 두 번으로 나누어도 효과적이다.

 

인지 활동은 노화에 따른 기억력 감퇴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 친구나 가족과 시간을 보내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양질의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기억력 유지에 도움이 된다.

 

체중 관리도 중요하다. 나이가 들수록 신진대사가 느려져 체중이 증가하기 쉽다. 과일, 채소, 단백질 중심의 식단을 구성하고 설탕과 포화지방이 많은 음식을 제한하며, 과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사회적 활동은 노년기 우울증과 외로움을 예방한다. 반복되는 일상, 자녀들의 독립, 은퇴 등으로 인해 사회적 접촉이 줄어들면 우울감이 찾아올 수 있다.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취미 활동을 즐기고, 친구, 가족, 이웃과의 대화를 일상화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도 외로움 해소에 효과적이다.

 

노화는 피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그 속도를 늦추고 더 오랫동안 건강하고 활기찬 삶을 유지할 수 있다.

 

더위는 참겠는데, 전기요금 못 참아! '50년 전 유물' 누진제, 이제는 보내줄 때?

 기록적인 폭염이 휩쓴 7월, 전국 곳곳에서 '전기요금 폭탄' 비명이 터져 나오고 있다. 30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지난달의 여파로 가계 전기요금 부담이 극심해지면서, 50년 전 만들어진 현행 전기요금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수십만 원에 달하는 '전기요금 고지서' 인증 글이 잇따른다. 두 아이를 키우는 한 이용자는 에어컨 3대를 가동한 결과 1138kWh 사용에 36만7430원이 청구되었다며 "하루 1만2천 원으로 폭염을 이겨낸 셈"이라고 토로했다. 1인 가구 역시 457kWh 사용에 9만2440원 요금을 받아들며 "혼자 사는데 이 정도냐"는 하소연이 이어졌다.이러한 '요금 쇼크'는 단순히 에어컨 사용량 증가 때문만은 아니다. 지난 7월은 전국 평균 기온 27.1도로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뜨거웠고,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 모두 역대급을 기록하며 전력 사용을 부추겼다. 이로 인해 전력 수요는 85.033GW로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경신, 사실상 8월 수준에 육박했다.근본적인 문제는 1974년 오일쇼크 당시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도입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에 있다.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급증하는 구조는 전력 절약 유도라는 본래 취지를 넘어, 현대 가정의 필수 전력 사용을 '죄악'시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특히 여름철 누진 구간이 일부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냉방 필수 시대에 실제 가정의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완화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2016년 이후 가정용 전력 사용량이 20% 이상 증가했음에도 누진제 개편은 8년간 멈춰있다.에너지경제연구원 정연제 연구위원은 "주택용 전기요금에서 기본요금 비중이 지나치게 낮고, 전력량요금 비중이 과도하다"며 "형평성을 위해 누진배율을 축소하는 등 시대에 맞는 요금 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후 변화와 현대인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지 못하는 낡은 전기요금 체계가 더 이상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국민의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