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식사 순서만 바꿨을 뿐인데...? 당뇨 환자들 사이에서 화제된 혈당 관리법의 비밀

 건강검진에서 당뇨병 '전 단계' 판정을 받으면 누구나 긴장하게 된다. 주변에서 당뇨병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을 보면 더 이상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당뇨병 예방과 관리에서 가장 핵심은 바로 식사다. 건강한 사람도 당뇨병 예방에 좋은 식사법을 따르면 체중 관리와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된다.

 

많은 사람들이 혈당 관리를 위해 탄수화물을 아예 끊어야 한다고 오해한다. 하지만 질병관리청과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 관리에 좋은 식단은 특정 음식을 완전히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탄수화물(밥, 빵, 면 등)을 전혀 섭취하지 않으면 건강을 해치고 혈당 관리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대신 흰쌀밥이나 흰밀가루 대신 잡곡, 통곡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양소는 체내에서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므로 균형 잡힌 식사가 중요하다. 어느 한 영양소가 부족하거나 과다하면 전체적인 영양 균형이 깨진다. 따라서 매일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고 특정 영양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국인은 밥을 주식으로 하기 때문에 탄수화물 섭취가 많은 편이다. 혈당 관리가 필요한 사람은 전체 에너지 섭취량의 55~65% 정도를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감자나 과일에도 탄수화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밥을 많이 먹었다면 다른 탄수화물 음식은 줄여야 한다.

 


과일은 당분이 있지만 비타민, 무기질, 섬유소가 풍부해 적정량 섭취가 권장된다. 1회 권장량(1교환단위)은 사과 중간 크기의 1/3개(100g), 참외나 오렌지 반 개(100g), 배 1/4쪽, 딸기 10개, 토마토 큰 것 1개(350g) 정도다. 과일은 주스나 즙보다는 생과일 그대로 먹는 것이 식이섬유 섭취에 좋다. 사과식초는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 전문의들은 식사 순서를 채소, 단백질, 탄수화물 순으로 권장한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냉장고에 생채소를 항상 준비해두는 것이 좋다. 식탁에 사과, 방울토마토 등이 포함된 생채소 샐러드를 배치하고, 맛을 내는 첨가물은 최소화한다. 여기에 삶은 달걀이나 닭고기 같은 단백질을 추가하면 더욱 좋다. 이러한 음식을 밥 먹기 전에 먼저 섭취하면 포만감이 생겨 자연스럽게 밥의 양을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혈당 조절과 비만 예방에 도움이 된다.

 

혈당 관리에 가장 나쁜 것은 단 음식과 과식이다. 설탕, 포도당, 과당 같은 단순당은 농축된 열량원으로 소화흡수가 빨라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킨다. 혈당 관리가 필요한 사람은 가공식품의 성분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무설탕' 요구르트라고 광고하는 제품에도 다른 형태의 당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혈당을 낮게 올리는 음식이라도 과도하게 섭취하면 안 된다. 당뇨병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배부른 느낌이 오기 전에 식사를 마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사모님은 뭐 하세요?" 질문 한 마디에 국회 법사위 '아수라장'... 대체 무슨 일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가 16일,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의 간사 선임 문제를 둘러싸고 또다시 극심한 파행을 겪었다. 회의는 시작부터 여야 간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고, 이내 고성과 삿대질이 오가는 험악한 분위기로 치달았다. 갈등의 도화선은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발언이었다. 박 의원은 나 의원의 간사 선임에 대해 "협치도 중요하지만 내란 세력과 함께할 수는 없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반탄'(탄핵 반대) 활동에 적극적이었던 나 의원의 자격을 문제 삼았다. 그는 나아가 "남편이 법원장인데 아내가 법사위 간사를 하는 것이 맞느냐"며, 춘천지방법원장인 나 의원의 남편을 언급하며 이해충돌 가능성을 정면으로 지적했다.바로 그때, 같은 당 곽규택 의원이 나 의원을 엄호하고 나섰다. 그는 박 의원을 향해 "박지원 의원 사모님은 지금 뭐 하세요?"라고 날카롭게 물었다. 순간 회의장에는 정적이 흘렀고, 박 의원은 "돌아가셨어요"라고 침착하게 답했다. 이 한마디에 회의장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 되었다.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들은 일제히 격앙된 반응을 쏟아냈다. 서영교 의원은 "완전히 실수했다"고 외쳤고, 박은정 의원은 "돌아가셨다는데 뭐가 그러냐, 예의를 지키라"고 질타했다. 박균택 의원은 "너무 무례하다, 인간이 돼라"며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추미애 법사위원장 역시 "지나치다, 윤리위 제소감"이라며 곽 의원의 발언을 엄중히 경고했다.하지만 곽 의원은 "남편 이야기를 누가 먼저 했냐"며 물러서지 않았고, 김용민 의원은 "(나 의원 남편은) 직업적 연관성이 있지만, 왜 돌아가신 분을 함부로 얘기하냐"며 즉각적인 사과를 촉구했다. 박 의원의 부인 이선자 씨는 2018년 뇌종양 투병 끝에 별세했으며, 박 의원은 아내를 향한 애틋한 마음을 담아 책을 펴낼 정도로 깊은 슬픔을 간직해왔다. 격한 공방이 오가는 동안 박 의원은 굳은 표정으로 자리를 지켰다. 잠시 정회가 선포된 후, 곽 의원은 박 의원에게 다가가 "의원님, 죄송합니다. 미처 몰랐습니다"라며 고개를 숙여 사과했고, 박 의원은 그의 손을 잡으며 사과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회의가 속개된 후,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나 의원 간사 선임 안건은 결국 야당 단독 표결로 부결 처리되며 이날의 파행은 마무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