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수요일에 태어났다고 우울한 게 아니었다... 200년 된 영국 미신의 충격적 진실

 "수요일에 태어난 아이는 슬픔이 많고, 혼자 잘 울죠." 1966년 영국 가수 매트 몬로의 팝송 '수요일의 아이'에 등장하는 이 가사는 영국의 오래된 민간 믿음을 반영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사람이 태어난 요일에 따라 성격과 운명이 결정된다는 독특한 문화적 믿음이 존재해왔다.

 

이러한 믿음의 근원은 1836년에 처음 문헌에 기록된 영국 동요 'Monday's Child'다. 이 동요에 따르면 월요일에 태어난 아이는 얼굴이 곱고, 화요일 아이는 우아하며, 수요일 아이는 슬픔이 많다. 또한 목요일 아이는 갈 길이 멀고, 금요일 아이는 사랑이 많고 베풀며, 토요일 아이는 열심히 일하고, 일요일 아이는 쾌활하고 명랑한 성격을 가진다고 전해진다.

 

이 동요는 영국 문화에 깊이 뿌리내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성격이나 삶의 방향을 출생 요일과 연결 짓는 경향이 있다. "난 수요일에 태어나서 그런가, 왜 이렇게 우울한 걸까?"와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처럼 문화적으로 널리 퍼진 믿음이지만, 과연 이것이 과학적으로 유효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영국 요크대학교의 소피 폰 슈툼 교수 연구팀은 이 오래된 믿음의 과학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규모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영국과 웨일스 지역의 1,100여 쌍의 쌍둥이를 대상으로 5세부터 18세까지의 성장 과정을 추적 관찰했다. 이들은 출생 요일과 성격, 외모, 행동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에서는 동요에 묘사된 특성들을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수치로 변환했다. 예를 들어 '얼굴이 곱다'는 표현은 외모 매력도 평가로, '사랑이 많고 베푼다'는 친사회적 행동 점수로 측정했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출생 요일과 각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출생 요일과 성격, 행동, 외모 사이에는 어떠한 과학적 상관관계도 발견되지 않았다. 수요일에 태어난 아이들이 특별히 더 우울하거나 슬픈 성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금요일에 태어난 아이들이 더 이타적이거나 베푸는 성격을 가진 것도 아니었다. 동요에서 묘사하는 출생 요일별 특성은 단지 민간 전설에 불과했던 것이다.

 

연구진은 오히려 아이의 성장과 성격 형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확인했다.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 부모의 양육 태도, 아이의 성별, 출생 당시의 체중 및 건강 상태 등이 아이의 성격과 행동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피 교수는 "동요는 단지 문화적 유산일 뿐, 아이의 미래를 결정짓는 요소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이의 성격과 인생의 방향은 태어난 요일이 아닌, 자라나는 환경과 관계 속에서 만들어진다"고 설명하며, 미신적 믿음보다는 양육 환경과 교육의 중요성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연구는 오랜 세월 동안 문화적으로 전해져 온 믿음이 과학적 검증을 통해 반박된 사례로, 민간 전설과 과학적 사실 사이의 간극을 보여준다. 비록 '수요일의 아이'가 실제로 더 슬픔이 많지는 않더라도, 이러한 문화적 믿음은 여전히 노래와 문학을 통해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있다.

 

'위헌정당 해산' 카드 다시 꺼낸 민주당…국민의힘, 존폐 위기 몰리나?

 이재명 정부의 첫 정기국회 대정부질문이 오는 15일부터 나흘간 국회에서 열린다. 이번 대정부질문은 검찰개혁, 내란전담재판부 신설, 한·미 관세협상 후속 조치 등 휘발성 높은 현안들을 중심으로 여야의 명운을 건 치열한 공방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대정부질문은 15일 정치 분야를 시작으로 16일 외교·통일·안보, 17일 경제, 18일 교육·사회·문화 분야로 나뉘어 진행된다. 정부 측에서는 김민석 국무총리를 비롯해 정성호 법무부 장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정동영 통일부 장관 등 핵심 국무위원들이 출석해 야당의 송곳 질문에 답변할 예정이다.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12·3 불법계엄 사태로 인한 국가적 혼란을 신속하게 안정시킨 이재명 정부의 성과를 집중 조명하며 국정 운영의 동력을 확보하려 할 것이다. 동시에, 국민의힘을 겨냥해 내란 사태의 책임을 묻는 '위헌 정당 해산심판' 카드를 다시 꺼내 들며 공세의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릴 가능성도 있다.이에 맞서는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국회 다수 의석을 무기로 입법을 독주하며 사실상의 '의회 독재'로 야당을 탄압하고 있다는 논리로 역공을 펼칠 전망이다.특히 이번 대정부질문의 최대 뇌관은 검찰을 폐지하고 공소청과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하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이다. 민주당은 '정치검찰'의 폐해를 끊어내려면 수사·기소의 완전한 분리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검찰 폐지가 국가 수사 역량의 약화와 시민 불편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며 결사반대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 폐지가 사실상 확정된 국면에서, 검찰의 보완수사권 존치 여부 등 후속 입법을 둘러싼 논쟁이 격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불법계엄 사건을 전담할 내란전담재판부 도입 문제 역시 뜨거운 감자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1일 "그게 무슨 위헌이냐"며 도입을 옹호한 데 반해, 전국 법원장 회의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비판이 나오면서 사법부와의 정면충돌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이 밖에도 대법관 증원을 골자로 한 사법개혁, 악의적 허위보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제, 최근 불거진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와 한·미 관세협상을 둘러싼 대미외교 문제, 요동치는 주식·부동산 시장 정상화 대책 등도 집중 질의 대상에 오를 전망이다.여야는 이번 대정부질문에 당내 '최고의 창'들을 전진 배치하며 전의를 불태우고 있다. 민주당에서는 불법계엄 사태 당시 대여 공세의 선봉에 섰던 박성준 의원이 첫 주자로 나서며, 국민의힘에서는 기획재정위원장인 임이자 의원을 시작으로 신성범, 곽규택, 유영하 등 중량감 있는 의원들이 연단에 오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