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학폭 논란 4년... '영구제명' 이재영, 일본서 충격적 재기

 학교폭력 논란으로 한국 배구계를 떠났던 여자배구 전 국가대표 이재영(28)이 4년 만에 일본 프로배구 무대에서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일본 SV리그 1부 소속 히메지 배구단은 21일 공식 SNS를 통해 이재영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히메지 구단은 "세계적인 수준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갖춘 아웃사이드 히터를 맞이하게 돼 기쁘다"며 영입 소감을 전했다. 오사카 인근 도시를 연고로 하는 히메지는 지난 시즌 SV리그 여자부 1부 리그에서 14개 구단 중 6위를 기록한 중위권 팀이다.

 

이번 영입은 히메지 구단의 적극적인 움직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구단 관계자들은 올해 초 직접 한국을 방문해 이재영의 경기력을 점검한 후 영입을 추진했다. 다만 4년이라는 긴 공백기를 고려해 시즌 초반에는 충분한 적응 기간을 두고 서서히 팀에 합류시킬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영의 계약 조건에 대해서는 외국인 선수 중에서도 비교적 낮은 연봉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오랜 공백기와 과거 논란을 의식한 결정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재영에게는 프로 선수로서 경력을 이어갈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전망이다.

 

이재영은 한국 여자배구의 대표적인 스타 플레이어였으나, 2021년 중학교 시절 학교폭력 논란이 불거지면서 큰 위기를 맞았다. 당시 소속팀이었던 흥국생명은 그를 영구제명했고, 대한배구협회는 국가대표 자격을 박탈하는 등 강력한 제재를 가했다. 이로 인해 이재영은 한국 배구계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이후 그는 동생 이다영과 함께 그리스 프로리그로 진출했지만, 무릎 부상이라는 또 다른 난관에 부딪혔다. 결국 시즌을 완주하지 못하고 팀을 이탈하게 됐다. 그리스 리그 이후 한국 V리그 복귀를 시도했으나 여론의 강한 반발로 무산됐고, 한동안 SNS를 통해 사실상 은퇴를 암시하는 메시지를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 무대에서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된 이재영은 다시 한 번 배구 인생을 이어가게 됐다. 그는 히메지 구단을 통해 "어릴 적부터 일본에서 뛰고 싶었다"며 "지나온 일들을 깊이 반성하며, 다시 코트에 설 수 있어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배구는 내게 대체할 수 없는 존재였다. 팀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덧붙였다.

 

이재영의 이번 일본 진출은 단순한 선수 이적을 넘어 논란 속에 중단됐던 선수 생활의 재개라는 의미를 갖는다. 학교폭력 논란으로 한국에서는 사실상 선수 생활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일본 무대는 그에게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히메지 구단은 이재영의 기량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그의 과거를 의식한 듯 신중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시즌 초반 적응 기간을 두고 천천히 팀에 녹아들 수 있도록 배려하는 모습이다. 이재영이 데뷔할 히메지의 2025-2026시즌 개막전은 오는 10월 10일 오사카 마벨러스와의 경기로 예정돼 있다.

 

이제 이재영에게는 과거의 논란을 뒤로하고 코트 위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일본 SV리그에서의 활약이 그의 배구 인생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지 배구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A 다저스 시대는 끝났나? 충격의 3번 시드 추락, ‘슈퍼팀’의 믿을 수 없는 몰락

 2025시즌 메이저리그 내셔널리그의 판도가 심상치 않다. 시즌 내내 압도적인 '슈퍼팀'으로 군림할 것 같았던 LA 다저스의 위상이 흔들리고, 그 자리를 새로운 강자들이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다. 8월 31일 기준, 내셔널리그 전체 1위는 85승 52패(승률 0.620)라는 경이로운 성적을 기록 중인 밀워키 브루어스다. 이들은 구단 역대 최다승 경신을 넘어 100승 고지까지 넘보고 있다.그 뒤를 잇는 2위는 필라델피아 필리스다. 에이스 잭 윌러가 혈전 부상으로 시즌 아웃되는 최악의 악재를 맞았음에도, 애런 놀라의 부활과 하위 선발진의 호투에 힘입어 굳건히 2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 두 팀의 약진 속에 '당연한 1위'로 여겨졌던 LA 다저스는 어느새 3번 시드까지 밀려났다. 심지어 지구 2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격차가 단 1경기에 불과해, 지구 우승 타이틀마저 위태로운 상황이다.3번 시드로 포스트시즌을 시작한다는 것은 다저스에게 가혹한 형벌과도 같다. 디비전시리즈와 챔피언십시리즈에서 홈 어드밴티지를 누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와일드카드 시리즈라는 험난한 관문을 하나 더 거쳐야 한다. 현재 순위대로라면 다저스는 와일드카드 3위 뉴욕 메츠와 단기전을 치른 뒤, 막강한 선발진을 자랑하는 필라델피아를 상대해야 하는 최악의 대진을 받아들게 된다.다저스의 추락은 예견된 결과일지도 모른다. 시즌 초부터 블레이크 스넬, 타일러 글래스나우 등 핵심 선발 자원들이 부상으로 신음했고, 최근에는 김혜성, 토미 에드먼, 맥스 먼시 등 공수에서 살림꾼 역할을 하던 선수들마저 대거 이탈하며 ‘부상 병동’으로 전락했다. 타선의 기복도 심각한 수준이다. 여기에 트레이드 마감 시한을 앞두고 보여준 미지근한 행보는 팬들의 실망감을 키웠다. 불펜 투수 브록 스튜어트를 영입했지만 벌써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고질적인 문제였던 코너 외야 수비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저스가 여전히 월드시리즈 우승 1순위 후보로 꼽히는 것은 아이러니다. 스넬-글래스나우-야마모토 요시노부-클레이튼 커쇼로 이어지는 선발 로테이션은 리그 최강이며, 먼시가 복귀하면 타선의 파괴력도 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년처럼 안락한 길은 없을 것이다. 험난한 대진과 잦은 이동 거리에서 오는 피로도는 분명 다저스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변수다. ‘가을의 기적’을 쓰기 위한 다저스의 여정은 그 어느 때보다 험난한 가시밭길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