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국어는 몰락, 한국어는 급부상... 세계 언어 지형도 뒤집은 K팝의 힘

 미국과 유럽 대학에서 중국어 수업 인기가 한국어에 밀리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경제 부진과 부정적 국가 이미지가 중국어 관심도를 떨어뜨리는 반면, 한국어는 K팝과 한류 문화의 인기에 힘입어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대언어학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대학에서 2013~2021년 한국어 등록률은 57% 이상 급증한 반면, 중국어 등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클레이턴 두베 전 서던캘리포니아대 미·중연구소 소장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동아시아 언어는 한국어"라며 "이는 100% K팝이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방탄소년단(BTS)의 영향으로 젊은 세대들이 한국어를 배우려는 동기가 크게 부여되고 있다.

 

반면 한때 세계적으로 주목받던 중국어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현대언어협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대학의 2021년 중국어 등록률은 2013년 최고치 대비 25%나 감소했다. 유럽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영국 고등교육통계청 데이터를 보면 2023년 중국어를 공부하는 영국 대학생 수는 2016년 최고치 대비 35%나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중국어 인기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중국의 경제 부진과 부정적인 국제 이미지를 지목했다. 과거 중국 경제가 급성장하던 시기에는 경제적 교류 확대로 중국어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2015년 오바마 행정부는 2020년까지 100만 명의 학생이 대학 입학 전 중국어를 공부하도록 하는 목표를 세웠고, 2013년 영국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은 "내일의 비즈니스 거래를 성사할" 중국어를 배우라고 젊은이들에게 권장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가 침체되면서 비즈니스 교류 기회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중국어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줄어들었다.

 


또한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확산도 중국어 인기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독일의 중국 교육 네트워크 빌둥스네츠베르크 차이나의 휴 산도는 "독일 언론이 중국의 인권 침해, 환경 오염, 빈곤 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중국어 학습 매력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반면 한국어의 세계적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세계 미래세대를 잇는 한국어 세계화 전략(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제1 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7745만 명, 제2 언어 포함 시 8170만 명에 달한다. 지난해 기준 한국어를 제2 외국어로 채택한 국가는 24개국이다.

 

세종학당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 수도 급증하고 있다. 2022년 85개국 248개 세종학당에서 11만7000여 명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학습했으며, 2023년에는 88개국 256개소로 확대되어 수강생이 21만6000여 명에 이르렀다. 정부는 2027년까지 세종학당을 350개로 확대하고 전 세계 수강생 50만 명을 목표로 한국어 교육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2023 지구촌 한류 현황'에 따르면 한류 팬은 2012년 926만 명에서 2023년 12월 2억2500만 명으로 급증했다. 2023년 조사된 한류 동호회 중 68%가 K팝 동호회, 10%가 K드라마 동호회로 나타나 K콘텐츠가 한국어 학습 열풍의 주요 동력임을 보여주고 있다.

 

"케데헌 효과 실화냐"... 농심 신라면, 애니 한 장면으로 글로벌 대박

 농심이 전 세계적으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의 특별한 협업을 통해 한정판 라면 제품을 출시한다고 28일 발표했다.이번 협업은 지난 20일부터 시작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농심은 '농심몰'을 통해 애니메이션 속에 등장한 라면 디자인을 그대로 재현한 스페셜 제품을 선보인다. 이 제품은 오는 29일 오전 10시부터 사전 예약을 통해 총 1,000세트 한정으로 판매될 예정이다.'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K팝을 비롯한 다양한 한국 문화를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게 그려내어 전 세계 시청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특히 작품 속에서 주인공 아이돌 그룹 '헌트릭스'의 멤버들이 중요한 공연과 활동을 앞두고 다양한 한국 음식, 특히 K라면을 먹으며 서로 격려하고 의지를 다지는 장면이 인상적으로 그려졌다. 이때 등장한 라면이 농심의 대표 제품인 신라면과 매우 유사한 디자인으로 묘사되면서 국내 팬들 사이에서 "이거 완전 신라면 아니야?"라는 반응과 함께 큰 화제가 되었다.이러한 팬들의 뜨거운 반응에 화답하여 농심은 애니메이션 속 라면과 거의 동일한 디자인의 스페셜 제품을 기획했다. 이번 한정판 제품은 기존 신라면컵을 베이스로 하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세 명의 주인공 캐릭터인 '루미'(RUMI), '미라'(MIRA), '조이'(ZOEY)를 각각 디자인에 적용했다. 각 캐릭터별로 2개씩 구성되어 총 6개입 세트로 판매되며, 팬들이 세 명의 주인공을 모두 소장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농심 측은 단순한 제품 판매에 그치지 않고 구매 고객들을 위한 추가 이벤트도 준비했다. 제품 구매 후 리뷰를 작성한 고객 중 당첨자를 선발하여 농심 선물세트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자세한 참여 방법과 이벤트 내용은 농심몰 공식 홈페이지와 농심의 각종 SNS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농심 관계자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인기를 끈 이후 농심몰의 개인 맞춤 제작 서비스인 '농꾸'에 해당 애니메이션 관련 디자인 의뢰가 급증했다"며 "이러한 소비자들의 뜨거운 관심에 부응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공식 스페셜 제품을 선보이게 되었다"고 협업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이번 스페셜 제품 출시를 시작으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 팬들에게 농심 브랜드의 매력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마케팅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