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국어는 몰락, 한국어는 급부상... 세계 언어 지형도 뒤집은 K팝의 힘

 미국과 유럽 대학에서 중국어 수업 인기가 한국어에 밀리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경제 부진과 부정적 국가 이미지가 중국어 관심도를 떨어뜨리는 반면, 한국어는 K팝과 한류 문화의 인기에 힘입어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대언어학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대학에서 2013~2021년 한국어 등록률은 57% 이상 급증한 반면, 중국어 등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클레이턴 두베 전 서던캘리포니아대 미·중연구소 소장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동아시아 언어는 한국어"라며 "이는 100% K팝이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방탄소년단(BTS)의 영향으로 젊은 세대들이 한국어를 배우려는 동기가 크게 부여되고 있다.

 

반면 한때 세계적으로 주목받던 중국어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현대언어협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대학의 2021년 중국어 등록률은 2013년 최고치 대비 25%나 감소했다. 유럽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영국 고등교육통계청 데이터를 보면 2023년 중국어를 공부하는 영국 대학생 수는 2016년 최고치 대비 35%나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중국어 인기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중국의 경제 부진과 부정적인 국제 이미지를 지목했다. 과거 중국 경제가 급성장하던 시기에는 경제적 교류 확대로 중국어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2015년 오바마 행정부는 2020년까지 100만 명의 학생이 대학 입학 전 중국어를 공부하도록 하는 목표를 세웠고, 2013년 영국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은 "내일의 비즈니스 거래를 성사할" 중국어를 배우라고 젊은이들에게 권장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가 침체되면서 비즈니스 교류 기회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중국어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줄어들었다.

 


또한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확산도 중국어 인기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독일의 중국 교육 네트워크 빌둥스네츠베르크 차이나의 휴 산도는 "독일 언론이 중국의 인권 침해, 환경 오염, 빈곤 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중국어 학습 매력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반면 한국어의 세계적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세계 미래세대를 잇는 한국어 세계화 전략(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제1 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7745만 명, 제2 언어 포함 시 8170만 명에 달한다. 지난해 기준 한국어를 제2 외국어로 채택한 국가는 24개국이다.

 

세종학당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 수도 급증하고 있다. 2022년 85개국 248개 세종학당에서 11만7000여 명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학습했으며, 2023년에는 88개국 256개소로 확대되어 수강생이 21만6000여 명에 이르렀다. 정부는 2027년까지 세종학당을 350개로 확대하고 전 세계 수강생 50만 명을 목표로 한국어 교육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2023 지구촌 한류 현황'에 따르면 한류 팬은 2012년 926만 명에서 2023년 12월 2억2500만 명으로 급증했다. 2023년 조사된 한류 동호회 중 68%가 K팝 동호회, 10%가 K드라마 동호회로 나타나 K콘텐츠가 한국어 학습 열풍의 주요 동력임을 보여주고 있다.

 

드디어 칼 빼든 법무부…'신천지 탈퇴자'의 끝나지 않는 전쟁

 30년 넘게 한 종교에 몸담았지만, 남은 것은 수천만 원의 빚과 풍비박산 난 가정뿐이었다. 1989년 신천지에 입교해 2020년 탈퇴한 김태순(71)씨의 이야기다. 그는 "사역이라는 이름 아래 지인 전도, 밥 짓기, 부동산 업무까지 무급으로 일했다"며 "신천지의 '가스라이팅'에 세뇌당해 벌어진 일"이라고 주장하며 교단을 상대로 소송을 준비 중이다.이처럼 '종교적 가스라이팅'은 최근 우리 사회의 수면 위로 떠오른 심각한 문제다.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의 법원 난동 배후 수사 과정에서도 경찰은 교인들이 '종교적 가스라이팅'을 통해 범행에 가담했을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다. 핵심은 장기간에 걸친 심리적 지배 속에서 벌어진 피해나 범행이 과연 '자발적 의지'였는지, 아니면 '계획된 세뇌'의 결과였는지를 가려내는 것이다.하지만 법의 문턱은 높기만 하다. 2018년 신천지 탈퇴자들이 제기한 '청춘반환소송'에서 1·2심 법원은 "불안 심리를 이용했다"며 일부 피해(500만 원 배상)를 인정하며 종교적 가스라이팅의 책임을 일부 인정하는 듯했다. 그러나 대법원에서 판결은 뒤집혔다. 대법원은 "강압적으로 이뤄졌다고 볼 여지가 없다"며 종교의 영역에서 '자발성'을 매우 폭넓게 해석했다. 피해자 측 변호사는 "종교 영역에서 그 판단이 유독 보수적"이라고 지적했다.이에 대해 신천지 측은 "신앙생활과 헌금, 봉사는 다른 종교와 마찬가지로 개인의 자발적 선택"이라며 "고용 관계가 아니므로 대가라는 개념 자체가 성립하지 않으며, 강제는 있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전문가들은 '종교의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 때문에 사법부가 종교 내 착취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를 꺼린다고 분석한다. 심지어 피해자 스스로가 초기에는 세뇌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자발적 행위였다"고 진술하는 경우가 많아 법정에서 피해를 입증하기는 더욱 어렵다.다만 희망적인 변화도 감지된다. 법무부가 지난 2월 '부당한 간섭에 의한 의사표시'를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민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 것이다. 이 조항은 목회자와 신도처럼 심리적 지배가 일어나기 쉬운 관계에서 내린 의사표시의 효력을 무를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수사기관과 법원도 그 심각성을 인지하기 시작했다는 신호"라며 "개념을 더욱 정교화해 종교 피해자들을 구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