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중국어는 몰락, 한국어는 급부상... 세계 언어 지형도 뒤집은 K팝의 힘

 미국과 유럽 대학에서 중국어 수업 인기가 한국어에 밀리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경제 부진과 부정적 국가 이미지가 중국어 관심도를 떨어뜨리는 반면, 한국어는 K팝과 한류 문화의 인기에 힘입어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대언어학회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대학에서 2013~2021년 한국어 등록률은 57% 이상 급증한 반면, 중국어 등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클레이턴 두베 전 서던캘리포니아대 미·중연구소 소장은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동아시아 언어는 한국어"라며 "이는 100% K팝이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방탄소년단(BTS)의 영향으로 젊은 세대들이 한국어를 배우려는 동기가 크게 부여되고 있다.

 

반면 한때 세계적으로 주목받던 중국어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현대언어협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대학의 2021년 중국어 등록률은 2013년 최고치 대비 25%나 감소했다. 유럽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영국 고등교육통계청 데이터를 보면 2023년 중국어를 공부하는 영국 대학생 수는 2016년 최고치 대비 35%나 줄어들었다.

 

전문가들은 중국어 인기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중국의 경제 부진과 부정적인 국제 이미지를 지목했다. 과거 중국 경제가 급성장하던 시기에는 경제적 교류 확대로 중국어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2015년 오바마 행정부는 2020년까지 100만 명의 학생이 대학 입학 전 중국어를 공부하도록 하는 목표를 세웠고, 2013년 영국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은 "내일의 비즈니스 거래를 성사할" 중국어를 배우라고 젊은이들에게 권장했다. 그러나 최근 중국 경제가 침체되면서 비즈니스 교류 기회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중국어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줄어들었다.

 


또한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확산도 중국어 인기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독일의 중국 교육 네트워크 빌둥스네츠베르크 차이나의 휴 산도는 "독일 언론이 중국의 인권 침해, 환경 오염, 빈곤 등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중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중국어 학습 매력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반면 한국어의 세계적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세계 미래세대를 잇는 한국어 세계화 전략(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제1 언어로 한국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7745만 명, 제2 언어 포함 시 8170만 명에 달한다. 지난해 기준 한국어를 제2 외국어로 채택한 국가는 24개국이다.

 

세종학당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 수도 급증하고 있다. 2022년 85개국 248개 세종학당에서 11만7000여 명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학습했으며, 2023년에는 88개국 256개소로 확대되어 수강생이 21만6000여 명에 이르렀다. 정부는 2027년까지 세종학당을 350개로 확대하고 전 세계 수강생 50만 명을 목표로 한국어 교육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2023 지구촌 한류 현황'에 따르면 한류 팬은 2012년 926만 명에서 2023년 12월 2억2500만 명으로 급증했다. 2023년 조사된 한류 동호회 중 68%가 K팝 동호회, 10%가 K드라마 동호회로 나타나 K콘텐츠가 한국어 학습 열풍의 주요 동력임을 보여주고 있다.

 

맘카페 '좋아요' 받을려고..아들 운전시킨 엄마, '위험한 육아 챌린지'

 한 장의 사진이 대한민국 온라인을 뒤흔들었다. 주행 중인 차량 운전석에 앉은 어린 아들, 그리고 그 옆에서 이를 자랑스레 담아낸 엄마의 모습. 언뜻 평범해 보이는 '육아 일상'의 한 조각처럼 보였던 이 사진은, 그러나 차량의 기어가 'D(주행)'에 놓여 있었다는 섬뜩한 진실이 드러나면서 순식간에 공분과 경악의 대상으로 변모했다. '빨간불일 때 잠깐'이라는 변명 뒤에 숨겨진 안전 불감증은, 소셜 미디어 시대의 위험한 '자랑' 문화가 빚어낸 또 하나의 비극적 단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지난 29일, 한 온라인 맘카페에 게재된 이 사진은 "남자아이라 그런지 운전대만 보면 환장하네요. 빨리 커서 엄마 운전기사 해줘"라는 천진난만한(?) 문구와 함께 삽시간에 퍼져나갔다. 하지만 사진 속 아이의 손이 닿아있는 운전대 아래, 주행 상태를 알리는 'D' 기어는 보는 이들의 심장을 쿵 내려앉게 했다.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의 한 사거리로 추정되는 장소, 즉 실제 차량 통행이 이루어지는 도로 위에서 벌어진 이 아찔한 순간은, 단순한 '육아 에피소드'가 아닌 명백한 '위험 행위'로 규정될 수밖에 없었다.사진을 접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분노를 넘어선 충격 그 자체였다. "사고 나면 본인 아들이 에어백 되는 건 알고 있느냐", "보기만 해도 위험천만하다", "언제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순간을 자랑이라고 올리다니, 제정신이냐"는 비판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특히 "빨간불에 잠깐 태웠다는 게 말이 되느냐", "분명 엄마가 같이 운전대를 잡고 갔을 것"이라는 의혹은, A씨의 행동이 단순한 순간의 일탈이 아닌, 상습적이고 무모한 행동의 연장선일 수 있다는 우려를 증폭시켰다. '좋아요'와 공감을 얻기 위해 자녀의 안전을 담보로 위험한 상황을 연출하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그늘진 단면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순간이었다.더욱 심각한 것은 이러한 행동이 단순한 비난을 넘어 법적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로교통법 제39조는 영유아를 안은 채 운전 장치를 조작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 처분에 직면한다. 그러나 이번 사안은 그보다 훨씬 중대한 '아동학대' 혐의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동복지법 제17조는 아동에게 신체적 위험을 유발하거나 방임한 경우를 아동학대로 규정하고 있으며,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한순간의 무모한 행동이 자녀의 생명을 위협하고, 부모 자신을 법의 심판대에 세울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다.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A씨는 결국 해당 게시글을 삭제했지만, 이미 온라인상에 퍼진 사진과 내용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며 '안전 불감증'에 대한 사회적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한 개인의 일탈을 넘어, 자녀의 안전에 대한 부모의 책임감, 그리고 소셜 미디어 시대에 '보여주기식' 문화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 우리 사회가 깊이 성찰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좋아요' 몇 개를 위해 가장 소중한 것을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 더 이상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