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게임 음악이 콘서트로? 'DJMAX 미라클 2025' 티켓 오픈 1분 만에 매진!

 게임 개발사 네오위즈가 인기 리듬 게임 'DJMAX 리스펙트 V'의 수록 음악을 실제 공연으로 선보이는 특별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7월 18일 네오위즈는 'DJMAX 미라클 2025'라는 이름의 공연을 오는 8월 9일부터 10일까지 이틀간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예스24 원더로크홀에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공연은 단순한 게임 음악 공연을 넘어 네오위즈 로키 스튜디오 산하 음악 레이블인 'DJMAX 엔터테인먼트'가 새롭게 발매하는 컴필레이션 앨범 '64514'의 출시를 기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는 게임 음악이 단순히 게임 내에서만 소비되는 콘텐츠가 아니라 독립적인 음악 작품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시도다.

 

공연의 라인업도 화려하게 구성됐다. DJMAX 시리즈 개발을 총괄하는 'BEXTER' 백승철 총괄 프로듀서가 직접 무대에 오르며, 게임 디렉터이자 작곡가로 활동 중인 제온(XeoN)도 참여한다. 여기에 게임 음악 제작에 협업한 아티스트인 '탁(TAK)', '퓨어 100%(Pure 100%)'와 함께 스크림 레코즈(ScreaM Records) 소속의 유명 아티스트 '임레이(IMLAY)', '투스페이드(2Spade)' 등이 무대에서 '64514' 앨범에 수록된 곡들을 라이브로 선보일 예정이다.

 

네오위즈는 관람객들을 위한 특별한 혜택도 준비했다. 공연장을 찾는 모든 관람객에게는 '64514' 앨범의 콘셉트 아트가 담긴 캔 배지와 응원 밴드 등이 포함된 '웰컴 키트'가 제공된다. 또한 롯데칠성음료의 에너지 음료 브랜드 '핫식스'가 이번 행사의 협찬사로 참여해 관람객들에게 시원한 음료를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공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라이브 뷰잉' 서비스다. 공연 첫날인 8월 9일에는 서울 신촌의 CGV 신촌아트레온점을 비롯해 부산의 센텀시티점, 대구점 등 전국 3개 지역 CGV 상영관에서 '디제이맥스 미라클 2025' 공연을 실시간으로 관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울 지역 공연장을 직접 찾기 어려운 지방 팬들도 생생한 공연을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네오위즈는 공연 외에도 팬들과의 접점을 넓히기 위한 다양한 이벤트를 준비했다. 공연이 열리는 이틀간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페스티벌 콘셉트의 팝업 스토어가 운영된다. 이 팝업 스토어에서는 DJMAX 관련 굿즈와 음반 등을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팬들이 게임과 음악을 더욱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전망이다.

 

이번 'DJMAX 미라클 2025' 공연은 단순한 게임 음악 공연을 넘어 게임과 음악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 콘텐츠로서 게임 팬과 음악 팬 모두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게임 음악을 하나의 독립적인 문화 콘텐츠로 발전시키려는 네오위즈의 비전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행사가 될 것이다.

 

"화합하자"며 한복 제안했지만…'상복'으로 응답한 野, 정면충돌 예고

 이재명 정부의 첫 정기국회가 개회 첫날부터 전례 없는 대치 국면을 연출하며 향후 100일간의 격돌을 예고했다.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개회식은 입법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채워졌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에 따라 화합을 상징하는 한복을 입고 참석한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원 검은 정장과 넥타이의 상복 차림으로 본회의장에 들어서며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국민의힘 의원들의 가슴에는 '의회 민주주의'라고 적힌 근조 리본이 달려, 이들의 복장이 단순한 항의 표시를 넘어 현 정권에 대한 일종의 '사망 선고'임을 분명히 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의회민주주의를 말살하는 이재명 정권의 독재 정치에 맞서자는 심기일전의 취지"라고 설명하며, 이번 정기국회를 강력한 대여 투쟁의 장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이는 "격한 갈등 속에서도 화합과 통합의 의지를 보여주자"며 한복 착용을 제안했던 우 의장의 정치적 제안을 정면으로 걷어찬 행위로, 협상이나 타협의 여지를 시작부터 지워버린 셈이다.상복과 한복이라는 극단적인 드레스코드는 향후 100일간 펼쳐질 여야의 혈투를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민주당은 '내란 종식과 국가 정상화'를 기치로 내걸고 검찰개혁과 특검법 개정안 등 핵심 개혁 법안들을 강행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를 '거대 야당과 이재명 정부의 독주'로 규정하고,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저지하겠다는 각오로 맞불을 놓고 있다.이처럼 얼어붙은 분위기 속에서 우 의장은 "갈등과 대립 속에서 할 일을 하는 게 정치"라며 "사회를 분열시키지 않는 국회 모습을 만들어야 한다"고 거듭 협치를 호소했다. 하지만 이미 서로를 향해 칼을 빼 든 여야의 모습 앞에서 그의 당부는 공허하게 들릴 뿐이었다. 입법, 예산, 인사청문회 등 모든 현안에서 한 치의 양보 없는 충돌이 불가피해 보이면서, 대한민국 국회는 개회와 동시에 '100일 전쟁'의 포성을 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