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아이들, 에스파, QWER까지... 게임사들이 '아이돌' 고집하는 이유

 국내 게임사들이 K-팝 아이돌과의 컬래버레이션을 한층 더 진화된 방식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과거 단순히 인기 있는 아이돌을 섭외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게임의 세계관과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아티스트를 전략적으로 선정해 음원, 캐릭터, 스토리 등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하는 추세다.

 

최근 넷마블과 크래프톤은 각자의 대표 게임에 인기 걸그룹과의 협업 콘텐츠를 선보이며 이용자와 팬덤의 관심을 사로잡고 있다. 넷마블은 '나혼자만레벨업: 어라이즈(이하 나혼렙)'에 걸그룹 아이들(i-dle)을,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에 에스파를 각각 등장시켰다.

 

넷마블은 지난 3일 아이들과 협업한 음원 '어라이즈(ARISE)'를 유튜브 뮤직, 스포티파이 등 주요 음원 플랫폼에 공개했다. 동시에 게임 내에서는 아이들 멤버인 미연과 슈화를 신규 SSR 헌터(캐릭터)로 출시하고, 이들을 획득할 수 있는 컬래버 패스를 운영 중이다. 이번 협업은 단순한 캐릭터 구현을 넘어 게임 내 스토리와 미션 등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되었으며, 이용자들은 협업 음원을 게임에서 직접 감상하고 구현된 캐릭터로 게임을 즐기며 아이들 멤버들의 이야기를 경험할 수 있다.

 

아이들은 이전에도 라이엇게임즈의 '리그오브레전드(LoL)'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가상 걸그룹 K/DA의 음반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어, 게임 IP와 음악을 연결하는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배경이 이번 '나혼렙'과의 협업에서도 게임 세계관과의 자연스러운 접점을 만드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크래프톤은 지난 10일 배틀그라운드에 에스파와의 컬래버레이션 콘텐츠를 출시했다. 에스파 멤버들이 게임 내 캐릭터로 구현되었고, 게임 세계관이 반영된 협업 음원 '다크 아츠(DARK ARTS)'를 발매했다. 이 과정에서 에스파의 독특한 세계관인 '광야'와 배틀그라운드의 세계관이 결합되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정식 음원 공개 전에 게임 내 로비에서 '다크 아츠'를 미리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전략이다. 이를 통해 에스파 팬들이 자연스럽게 배틀그라운드로 유입되도록 유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에서도 인기 걸밴드 큐더블유이알(QWER)과의 컬래버레이션을 시작했다. QWER은 인터넷 방송인 출신 4명으로 구성된 걸밴드로, 그룹명 자체가 LoL 등에서 사용하는 스킬의 키보드 배열에서 유래될 만큼 게임과의 연관성이 깊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해 게임 문화에 친숙한 팬층의 높은 몰입도를 이끌어내는 전략적 협업으로 볼 수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최근 게임사들은 단순히 인기도만 보고 아티스트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의 세계관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콘셉트를 가진 아티스트와 협업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기획 단계부터 아티스트와의 적합성을 충분히 검토해 완성도 높은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대중의 이목을 효과적으로 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게임과 K-팝의 진화된 협업 방식은 양쪽 산업 모두에게 윈-윈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다. 게임사는 인기 아티스트의 팬덤을 게임으로 유입시키는 효과를, 아티스트는 게임 이용자라는 새로운 팬층을 확보하는 기회를 얻고 있다. 무엇보다 단순한 마케팅 차원을 넘어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세계관의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산업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손흥민 부르다 논란된 MLS 해설가, 알고보니 손흥민이 직접 '쏘니라고 불러달라' 요청했다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에서 손흥민(33, LAFC)을 부르는 호칭을 두고 뜻밖의 논란이 일었다. 미국 '에센셜리 스포츠'는 "MLS 해설가가 손흥민의 로스엔젤레스(LA)FC 데뷔전에서 '쏘니'라고 부른 데 대한 반발에 성명을 냈다"고 보도했다.손흥민은 지난 10일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파이어와의 원정 경기에서 LAFC 유니폼을 입고 데뷔전을 치렀다. 후반 16분 교체 출전한 손흥민은 빠른 적응력을 보이며 폭발적인 질주로 후반 31분 페널티킥을 얻어내는 활약을 펼쳤다. 비록 직접 키커로 나서지는 않았지만, 그가 얻어낸 페널티킥으로 LAFC는 2-2 동점을 만들며 승점 1점을 획득했다.경기 이후 LAFC 전담 캐스터인 맥스 브레토스가 중계 도중 손흥민을 '쏘니'라고 부른 것이 논란이 됐다. 일부 팬들은 손흥민을 이름이나 성으로 부르지 않고 별명으로 부른 것에 불쾌감을 표했다. 프리미어리그 시절 현지 중계진이 대부분 손흥민을 '쏘니' 대신 이름이나 성으로만 불렀기에 다소 어색하게 느껴진 것이다.이에 브레토스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중계 도중 손흥민을 '쏘니'라고 불렀다는 우려가 있었다. 난 그에게 어떻게 불리길 원하는지 물었고, '쏘니'가 그의 대답이었다"라며 해명했다. 이 해명에 대부분의 팬들은 "절대 바꾸지 말고 앞으로도 '쏘니'라고 불러줘", "이런 건 사과할 필요도 없다", "신경 쓰지 마라" 등의 지지 댓글을 남겼다. 물론 "지난 10년간 영국에선 아무도 쏘니라고 하지 않았다", "유니폼엔 '손'이라고 적혀 있는데?"와 같은 반대 의견도 있었다.손흥민 본인은 이 논란에 전혀 개의치 않는 모습이었다. LAFC 공식 유튜브 영상에서 그는 특유의 미소를 지으며 손흥민 대신 쏘니라고 불러도 괜찮다고 직접 밝혔다. 에센셜리 스포츠는 "미국인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를 독특한 별명으로 부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며 이 논란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고 설명했다.사소한 호칭 논란과 별개로, 손흥민의 MLS 합류는 미국 축구계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MLS 전문 언론인 파비안 렌켈에 따르면, LA를 제외하고 구글에서 손흥민을 가장 많이 검색한 지역은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 시카고, 샌디에이고, 시애틀, 뉴욕시 순이었다. 그는 이를 "MLS 역대급으로 큰 화제로, 리오넬 메시의 합류가 불러일으켰던 열기에 버금가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에센셜리 스포츠도 "손흥민 영입은 이미 대박으로 보인다. 미국 축구계는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LAFC의 상품 판매가 급증했다"고 전했다. 더 나아가 "일각에서는 손흥민이 이미 두 시즌 동안 인터 마이애미에서 활약 중인 '아르헨티나 슈퍼스타' 메시보다 MLS에서 더 큰 유명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손흥민 효과의 폭발적인 잠재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