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태풍도 못 막아!" 지디 하이볼, 해외 품절 대란 넘어 '오픈런 신화' 쓰다

 가수 지드래곤(본명 권지용)이 직접 기획과 제작에 참여하며 일찍이부터 비상한 관심을 모았던 ‘피스마이너스원 하이볼’이 마침내 베일을 벗고 글로벌 시장에 첫선을 보인 가운데, 1차 출시국인 홍콩과 대만에서 출시 직후 전량 품절되는 전례 없는 흥행을 기록하며 K-컬처의 파급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16일 종합주류 제조업체 부루구루와 지드래곤의 소속사 갤럭시코퍼레이션은 피스마이너스원 하이볼의 홍콩, 대만 1차 수출 물량이 최근 모두 완판되어 긴급히 재주문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수십만 캔에 달하는 대규모 초기 물량은 현지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순식간에 동이 나며, 단순한 주류 제품을 넘어 하나의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음을 시사했다.

 

현지 유통 채널에서는 추가 입고 문의가 쇄도하고 있으며, 품절 대란은 현재진행형이다. 제품 구매에 성공한 소비자들은 너도나도 인증샷과 생생한 시음 후기를 SNS에 공유하며 자발적인 바이럴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특히 대만에서는 출시 당일 태풍이 몰아치는 악천후 속에서도 "편의점 30곳 넘게 돌았는데도 못 샀다"는 아쉬움 섞인 후기가 온라인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구는가 하면, 일부 열성 팬들은 입고 시간을 미리 파악해 물류 차량 도착을 기다리는 '오픈런' 전략까지 공유하는 등 상상을 초월하는 구매 열풍을 보여줬다. 이는 지드래곤이라는 아티스트가 가진 독보적인 영향력과 팬덤의 충성도가 결합되어 만들어낸 이례적인 현상으로 분석된다.

 

국내 시장에서도 ‘피스마이너스원 하이볼’의 인기는 해외 못지않게 뜨겁다. 현재 국내에서는 피스마이너스원 하이볼 2종이 CU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지난 4월 판매를 시작한 이래 단 두 달 만에 무려 600만 캔 이상이 팔려나가며 국내 하이볼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이러한 폭발적인 반응에 힘입어 부루구루는 세 번째 제품인 ‘피스마이너스원 데이지 하이볼’을 이달 중 추가로 출시할 예정으로, 국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시장 점유율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부루구루는 이번 지드래곤과의 성공적인 협업을 통해 얻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 경험을 발판 삼아, 올해 중 해외 수출국을 20개국 이상으로 공격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부루구루 관계자는 "지드래곤과의 협업을 통해 세계 시장을 무대로 건강한 주류 문화를 선도하는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번 사례는 K-팝 스타의 막강한 영향력이 한국 주류 브랜드의 세계화를 견인하는 중요한 성공 모델로 평가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K-컬처와 K-푸드, K-브랜드의 시너지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위상을 더욱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피스마이너스원 하이볼'은 단순한 음료를 넘어, 한류 콘텐츠가 파생시키는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파급력을 여실히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로 남을 것이다.

 

용도지역 '수직 상승'…노후 빌라촌, 4000세대 대단지로 '환골탈태'하는 지역 4곳은?

 서울시가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어 온 노후 저층 주거지의 주거 환경 개선과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칼을 빼 들었다. 시는 '모아주택·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강북구, 구로구 등 4개 지역을 새로운 주거 단지로 탈바꿈시키고, 이를 통해 총 4093세대에 달하는 대규모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서울시는 지난 11일 열린 제13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강북구 미아동 90-45번지 일대 모아주택 △구로구 구로동 511 일대 모아타운 △서대문구 홍은동 10-18 일대 모아타운 △중랑구 망우3동 474-29 일대 모아타운 등 총 4건의 사업 계획안을 통과시켰다. 이들 지역은 사업이 완료되면 임대주택 796세대를 포함한 총 4093세대의 신축 주택이 들어서는 대규모 주거 개선 사업의 수혜를 입게 된다.지역별 세부 계획을 살펴보면, 먼저 강북구 송중초등학교 인근 미아동 90-45번지 일대는 기존 105세대에서 175세대(임대 35세대 포함)로 주택 공급이 67%나 확대된다. 지하 2층, 지상 16층 규모의 아파트 4개 동이 들어설 예정이며, 전체 세대의 20% 이상을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대신 용적률을 200%에서 249.91%로 완화받아 사업성을 높였다. 특히 보행자와 차량이 뒤섞여 위험했던 기존 6m 이하의 좁은 도로에는 부지 내 공지를 활용한 2m 폭의 보도를 신설해 안전한 보행 환경을 확보하고, 송중초 남측에는 공원을 조성하여 쾌적함을 더한다.구로구 구로동 511 일대는 노후 건축물이 밀집하고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지역이다. 이번 모아타운 지정을 통해 기존 1156세대에서 161세대가 늘어난 총 1317세대(임대 213세대 포함)의 대단지로 거듭난다. 제2종 일반주거지역이었던 용도지역을 제3종으로 상향 조정해 사업성을 확보했으며, 구로역과 대림역 더블 역세권에 고려대구로병원이 인접한 입지적 장점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주민 편의를 위해 단지와 구로동로 40길을 잇는 공공 보행 통로를 만들고, 주 통학로의 보행 공간을 넓히는 등 보행 친화적 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췄다.서대문구 홍은동 10-18번지 일대는 노후 건축물 비율이 78.3%, 반지하 주택 비율이 41.7%에 달하는 대표적인 저층 주거 밀집 지역이었다. 북한산과 홍제천이라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끼고 있음에도 개발이 정체됐던 이곳은, 2030년까지 기존 140세대에서 181세대 늘어난 총 321세대(임대 38세대 포함)의 신축 주택이 공급된다. 주 진입로인 홍은중앙로 폭을 8m에서 10m로 넓히고, 북한산 근린공원으로 이어지는 홍은중앙로9길도 확장하여 접근성을 개선한다.이번에 지정된 곳 중 가장 규모가 큰 중랑구 망우3동 474-29번지 일대는 무려 2280세대(임대 510세대 포함)의 매머드급 단지가 들어선다. 제1종, 제2종(7층 이하) 등이 혼재되어 있던 용도지역을 전체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통일해 사업의 걸림돌을 제거했다. 인근 혜원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을 위해 상봉로16길과 봉우재로58길에 보도를 신설하고 도로 폭을 대폭 넓힌다. 또한, 경춘선·경의중앙선 망우역과 신설 예정인 면목선 경전철과 인접한 교통의 요지로서, 인근 재개발 사업과 시너지를 내며 지역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이번 결정으로 4개 지역의 주거 환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단순한 주택 공급을 넘어, 도로 확충과 공원 조성 등 기반 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전체의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