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문 닫은 서점에서 벌어지는 심야의 비밀... 교보문고가 공개한 충격적 이벤트

 교보문고가 올 여름 7월과 8월 두 달간 전국 주요 지점에서 다채로운 문화 행사를 마련해 독자들에게 특별한 문화적 경험을 선사한다. 전통적으로 독서의 계절로 여겨지는 여름을 맞아 음악 공연부터 독서 대회, 예술 도서 추천까지 폭넓은 프로그램을 통해 무더위에 지친 시민들에게 책과 문화가 어우러진 시원한 휴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어린이 독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특히 눈에 띈다. 8월 10일 서울 광화문 교보빌딩에서는 유명 유튜브 콘텐츠 '흔한남매'와 함께하는 특별 행사 '흔한남매 과학탐험대 편 독서대회 & 사인회'가 개최된다. 이 행사는 어린이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탐구심을 자극하는 퀴즈 대회와 작가와의 만남을 통해 재미와 교육적 가치를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 있는 행사도 준비되어 있다. 8월 15일 같은 장소에서 역사 강사로 유명한 최태성 작가와 함께하는 '제2회 큰★별쌤 최태성 어린이 독서대회 & 사인회'가 진행된다. '지금 근현대사: 우리가 꼭 알아야 할'이라는 주제로 우리 역사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자리가 될 것이며, 사인회는 행사 당일 관련 도서를 구매한 고객 중 선착순 60명에게 기회가 주어진다.

 


예술 애호가들을 위한 특별 기획도 마련되었다. 8월 31일까지 트위터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인플루언서 '전시정보공유해드림'과의 협업으로 '써머(Summer) 북-페어링' 이벤트가 진행된다. 이 행사는 현재 열리고 있는 주요 전시회와 어울리는 예술 및 대중문화 관련 도서를 추천하는 큐레이션 프로그램으로, 고객들이 직접 자신만의 '전시-책 페어링'을 공유할 수 있는 참여형 이벤트다. 해당 분야의 도서를 3만 원 이상 구매하는 고객에게는 특별 제작된 사은품도 증정된다.

 

부산 지역 독자들을 위한 이색적인 문화 체험도 준비되어 있다. 교보문고 부산점에서는 7월 11일과 25일, 8월 8일과 22일 총 4회에 걸쳐 '심야서점음악회'가 열린다. '여름 밤의 페이지와 선율'이라는 테마로 진행되는 이 음악회는 영업이 끝난 서점에서 특별한 분위기 속에 펼쳐진다. '스토너', '위대한 개츠비' 등 명작 문학과 클래식 음악을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엮어 선보이는 콘서트로, 참석자들에게는 다과와 특별 제작된 굿즈도 함께 제공된다.

 

교보문고 관계자는 이번 행사에 대해 "책과 음악, 예술, 과학, 역사까지 다양한 분야의 문화가 어우러진 여름 프로그램을 통해 독자들이 무더위를 잊고 책과 더욱 가까워지길 바란다"는 소감을 전했다.

 

이번 교보문고의 여름 문화 행사는 단순한 도서 판매를 넘어 독서와 다양한 문화 활동을 접목시켜 독자들에게 풍성한 경험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을 고려한 프로그램 구성으로 많은 이들이 책과 문화를 통해 의미 있는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혼자서 악플 40개…'이태원 참사' 3년간 끈질기게 괴롭힌 상습 악플러들의 정체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시민 사회는 온라인상의 끈질긴 혐오 발언이 소수의 조직적인 '댓글 부대' 혹은 극성스러운 개인 몇몇의 소행일 것이라 짐작했다. 그러나 지난 3년간의 유튜브 댓글 데이터를 심층 분석한 결과는 이러한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훨씬 더 충격적인 현실을 드러냈다. 악성 댓글을 작성한 이들은 소수가 아닌, 5만 명에 육박하는 다수의 개인이었다.2022년 10월 29일 참사 발생 직후부터 2025년 6월 10일까지, 68개 언론사 유튜브 채널에 게시된 '이태원 참사' 관련 영상 929건에 달린 댓글은 총 26만 7천여 개. 딥러닝 AI 분석을 통해 이 중 6만 4,388건이 명백한 악성 댓글임을 확인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이 혐오 발언들을 쏟아낸 유튜브 계정이 무려 4만 9,461개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는 특정 세력이 아닌, 불특정 다수의 평범한 이용자들이 혐오 발언 생산에 광범위하게 가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들 중 8,777명은 2회 이상 상습적으로 악성 댓글을 작성했으며, 한 명은 무려 40개의 혐오성 댓글을 다는 집요함을 보이기도 했다.데이터가 밝힌 6만여 개 혐오의 중심에는 "놀러 가서 죽은 것"이라는 조롱과 비난이 깊게 자리 잡고 있었다. 댓글 데이터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한 단어는 '놀다가', '죽은', '사고', 그리고 비웃음을 의미하는 'ㅋㅋ'였다. 이 단어들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놀러 가서 죽은 사고 ㅋㅋ'라는 하나의 문장으로 귀결됐다. 이는 희생자들이 스스로 위험을 자초했으므로 추모나 동정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인식이 악플러들 사이에 팽배했음을 보여준다.시간의 흐름에 따라 혐오의 양상과 공격 대상은 교묘하게 변화했다. 참사 초기인 2022년에는 '시민의식 부재' 등을 거론하며 희생자 개인에게 책임을 돌리는 댓글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유가족들이 협의회를 결성하고 진상 규명을 요구하며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2023년과 2024년, 공격의 화살은 유가족에게로 향했다. 특히 "세월호처럼 돈 뜯으려 한다", "시체팔이" 등 세월호 참사와 엮어 유가족의 활동을 폄훼하고 금전적 보상을 노린다는 식의 2차 가해가 극성을 부렸다.2025년에 들어서는 혐오가 더욱 극단적인 형태로 진화했다. '북한의 지령을 받은 민주노총의 소행', '민주당이 기획한 테러' 등 참사가 외부 세력에 의해 의도적으로 기획되었다는 '음모론'이 전체 악성 댓글의 2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급증했다. 이는 참사의 본질을 흐리고 정치적 갈등을 유발하려는 의도가 담긴, 가장 악의적인 형태의 2차 가해라 할 수 있다.한 상습 악플러는 "프로급 자해공갈단"이라며 유가족을 비난했고, 또 다른 이는 "소복은 왜 입었나, 할로윈 코스프레하다 죽은 가족이라 그런가"와 같이 차마 입에 담기 힘든 조롱을 퍼붓기도 했다. 이처럼 데이터 분석 결과는 우리 사회에 만연한 재난 혐오의 민낯과 그 진화 과정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