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아이스크림은 옛말? 편의점 '폭염 생존템'이 불티나는 이유

 유례없는 폭염이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편의점 업계의 여름철 매출 지형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인 여름 대표 상품인 얼음과 아이스크림은 물론, 손선풍기, 쿨링패치, 선크림 등 무더위를 식히는 비식품군 '생존템'의 판매량이 역대급으로 치솟으며 편의점 매출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편의점 업계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 주요 편의점의 폭염 관련 비식품군 매출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세븐일레븐에서는 쿨링패치 매출이 무려 900% 급증하며 가장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고, 손선풍기 역시 500% 이상 판매량이 늘었다. 여름 의류(티셔츠, 나시 등)는 270%, 쿨링 용품(쿨토시, 쿨타월 등)은 40%, 시즌 화장품(선크림, 데오드란트)은 80%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는 얼음컵(30%), 생수(30%), 아이스크림(25%) 등 기존 여름 주력 상품의 신장률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GS25 역시 팔토시 매출이 88.3%, 선크림 100.7%, 데오드란트가 66.9% 증가하며 컵얼음(51.8%), 이온음료(52.9%), 아이스크림(47.8%)의 신장률을 뛰어넘었다. CU에서도 의류 용품이 36.7%, 소형가전이 39.0% 늘어나는 등 비식품군의 강세가 뚜렷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3일까지 전국 평균 폭염 일수는 6.8일로, 지난해 7월 전체 기록(4.3일)을 이미 넘어선 상태다.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이 편의점의 비식품군 매출을 끌어올린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현상은 편의점 업계가 시장 포화에 대응하기 위해 패션, 뷰티 등 비식품군 영역을 적극적으로 확대한 전략이 주효했음을 보여준다. GS25는 올해 초부터 패션 플랫폼 무신사와 협업해 '무신사 스탠다드 익스프레스' 여름 시즌 신상품을 선보였으며, 뷰티 브랜드 '리틀리 위찌' 상품도 판매 중이다. CU는 VT코스메틱, 엔젤루카 등과 손잡고 뷰티 제품군을 강화했고, 세븐일레븐은 자체 브랜드(PB) 패션 상품을 출시하며 경쟁력을 높였다. 그 결과, GS25는 무신사 협업 이후 패션 매출이 2배 이상 늘었고, 뷰티 특화 매대 도입 후 2개월간 화장품 매출이 전년 대비 53.5% 증가했다. CU의 올해 1~5월 화장품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8.1% 늘었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이른 무더위와 기록적 폭염이 겹치면서 여름 주류, 아이스크림은 물론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조기 찾아온 더위와 전례 없는 폭염으로 인해 여름 시즌 주력 상품인 주류, 아이스크림과 더불어 냉감 용품의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며 "이른 폭염에 발맞춰 관련 제품 출시 시점을 예년보다 앞당겨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편의점 업계는 올여름 역대급 폭염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기 위한 할인 행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GS25는 이달 한 달간 300여 종의 주류 상품을 할인하는 '드링킹 페스타'를 통해 논알코올 맥주 50% 할인, 수입 맥주 4캔 9000원 판매 등 파격적인 행사를 진행 중이다. CU 역시 와인, 막걸리, 맥주 등 400여 종의 주류에 대한 대규모 할인 행사를 기획, 맥주 '8캔 1만8000원', '대용량 3캔 9000원' 등 공격적인 프로모션을 펼치고 있다. 기록적인 폭염이 편의점 업계의 매출 효자 상품을 바꾸고,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만들어내고 있다.

 

10경기 무승의 늪…결국 터졌다, '카스트로프의 족쇄' 세오아네 감독 전격 경질

 '홍명보호의 신성' 옌스 카스트로프(21)의 독일 분데스리가 도전기가 중대한 분수령을 맞았다. 그를 철저히 외면하던 소속팀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의 헤라르도 세오아네 감독이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결국 경질됐다. 이는 카스트로프에게 족쇄와도 같았던 힘든 시간을 끝내고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절호의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묀헨글라트바흐 구단은 16일(한국시각),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세오아네 감독과 즉시 결별한다"고 발표하며 축구계에 충격을 안겼다. 롤란트 피르쿠스 스포츠 담당 이사는 "리그 10경기 연속 무승을 기록하면서 세오아네 감독과 함께 반등할 수 있다는 믿음을 잃었다"며 시즌 초반임에도 불구하고 칼을 빼 든 이유를 명확히 밝혔다. 분데스리가의 유서 깊은 명문 구단이 리그 16위까지 추락하고, 패배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우자 수뇌부가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이러한 감독 경질이라는 극약 처방은, 그라운드보다 벤치를 더 많이 지켜야 했던 카스트로프에게는 '변수'이자 '기회'다. 세오아네 감독 체제에서 카스트로프의 입지는 처참할 정도였다. 지난 시즌 후반기 무릎 인대 부분 파열이라는 큰 부상에서 회복했음에도 불구하고, 세오아네 감독은 그에게 좀처럼 기회를 주지 않았다. 올 시즌 컵대회와 리그를 포함해 팀이 치른 4경기에서 카스트로프에게 주어진 시간은 고작 30분에 불과했다.이는 이미 독일 무대에서 충분히 통할 수 있는 재능임을 증명했고, 심지어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선발로 출전하며 45분 이상을 소화할 수 있는 몸 상태임을 스스로 입증했기에 더욱 아쉬움이 큰 대목이었다. '국가대표 주전급 선수'를 벤치에만 앉혀두는 감독의 선택에 팬들의 의문과 불만은 커져만 갔다.이런 상황에서 최근 독일 매체 '스포르트 빌트'는 "카스트로프가 A매치 차출로 인해 팀 내 주전 경쟁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식의 악담을 퍼부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하지만 그를 외면하던 사령탑이 팀을 떠나게 되면서, 이러한 억측과 비난은 하루아침에 의미를 잃게 되었다.물론 사령탑의 교체가 무조건적인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새로 부임할 감독의 눈에 띄기만 한다면, 카스트로프의 출전 시간은 극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2003년생의 젊은 피인 그가 분데스리가에서 꾸준히 경기에 나서며 잠재력을 폭발시킨다면, 이는 선수 개인의 성장은 물론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축구대표팀에도 엄청난 호재가 될 것이다. 굴욕의 시간을 보낸 카스트로프가 감독 교체라는 바람을 타고 비상할 수 있을지, 그의 험난했던 첫 시즌에 마침내 서광이 비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