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이호 필터 페스티벌, 쉴 틈 없는 퍼레이드로 올킬

 제주의 대표 여름 축제로 자리 잡은 ‘2025 이호 필터 페스티벌’이 오는 7월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제주시 이호테우해수욕장에서 개최된다.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가 주최하고, 이호동주민센터와 주민자치위원회가 공동 주관하는 이번 축제는 제주의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한 치유형 문화관광 축제로, 방문객에게 휴식과 즐거움을 동시에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필터’라는 명칭에는 이호테우해수욕장이 정화 기능을 가진 필터처럼 일상에 지친 시민과 관광객의 심신을 정화하고 위로하는 공간이 되길 바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에 따라 축제는 음악, 문화, 자연을 테마로 한 세 가지 메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지역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강조하며 다채로운 콘텐츠를 제공한다.

 

먼저 ‘음악 필터’에서는 실력파 뮤지션들과 제주 지역 아티스트들이 함께하는 힐링 콘서트 ‘필터 사운드 스테이지’가 메인 무대로 꾸며진다. BMK, 빅보스마칭밴드, 로코모티브, 리치파이, ZIP4 등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다양한 뮤지션들이 참여해 여름밤을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또한 해변 곳곳에서 자유롭게 펼쳐지는 ‘필터 밤바다 버스킹’과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한 ‘키즈 뮤직 워터밤’도 함께 열려 세대와 연령을 아우르는 축제 분위기를 조성한다.

 

 

 

‘문화 필터’는 제주 로컬 식음료 브랜드와 함께하는 ‘제주 미식 페어링’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현지 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먹거리와 음료를 경험할 수 있으며, 제4회 제주한잔우리술페스티벌과 연계해 미식 토크쇼, 플레어 바텐딩 쇼 등도 진행된다. 이는 제주 고유의 식문화와 현대적 감각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축제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자연 필터’는 친환경 활동과 웰니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이호해변과 주변 도로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필터 플로깅’, 이호동 해녀들과 함께 해양 정화 활동을 펼치는 ‘필터 플로빙’, 해변에서의 명상을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는 ‘플로팅 웰니스’가 있다. 여기에 해양쓰레기 및 건축 폐자재로 제작한 업사이클 운동기구를 체험할 수 있는 ‘머슬 업 사이클 비치 존’이 마련되어 환경 보호와 건강 증진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부대 프로그램이 준비된다. 친환경 소재로 직접 만드는 ‘선크림 체험 프로그램’,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필터 셀프 사진관’, 제주관광공사 스타트업 기업이 참여하는 홍보 부스, 환경과 연계한 기업 및 공공기관의 전시 부스도 운영된다.

 

이번 축제는 단순한 여름행사를 넘어 지역사회와의 상생, 관광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그리고 제주의 고유 문화 보존을 아우르는 공공형 축제로 확장되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이호 필터 페스티벌은 자연, 음악, 미식, 친환경이라는 키워드를 하나의 무대 위에 융합한 제주형 복합축제로 성장하고 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제주의 여름을 대표하는 글로벌 콘텐츠로 발전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7월 중순, 해수욕장이라는 최적의 장소에서 펼쳐질 ‘2025 이호 필터 페스티벌’은 환경 보호와 감성적 여유, 지역 정체성을 모두 담아낸 이색적인 여름 행사로서 도민은 물론 국내외 관광객의 발길을 사로잡을 전망이다.

 

'주4.5일제' 불 지핀 박명수…'직장도 안 다녀본 연예인' vs '쓴소리도 못 하나' 격렬한 찬반 논쟁

 개그맨 박명수가 이재명 정부의 핵심 노동정책 중 하나인 '주4.5일 근무제'에 대해 소신 발언을 던졌다가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는 논쟁의 중심에 섰다. 기업의 생산성 저하를 우려하는 그의 목소리에, "직장 생활도 안 해본 연예인이 뭘 아느냐"는 비판과 "속 시원한 현실적 지적"이라는 옹호가 정면으로 충돌하며 갑론을박이 격화되는 양상이다.논란은 지난 12일, 박명수가 진행하는 KBS 쿨FM '박명수의 라디오쇼'에서 시작됐다. '주4.5일제'를 주제로 대화하던 중, 박명수는 과거 주6일 근무 시절을 회상하며 "토요일 오후 12시에 일이 끝나 집에 가서 밥 먹고 그랬다. 그렇게 열심히 살았기 때문에 지금 우리가 이렇게 사는 것 아닌가 싶다"고 운을 뗐다. 그는 "열심히 산 덕분에 지금이 있는 것"이라며 근면의 가치를 강조했다.이어 그는 "인구도 없는데 이것(노동시간)까지 줄이면 어떡하냐"고 현실적인 우려를 표하며 "허비하는 시간이 많다는데, 그 시간을 허비 안 하면 된다"고 지적했다. 프리랜서로서 추석에도 일하는 자신의 상황을 언급한 박명수는 "시대 흐름에 맞춰가는 것도 좋지만, 기업들의 입장도 있다"면서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이 살아야 우리도 산다. 충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이 발언이 알려지자 박명수의 소셜미디어(SNS)는 순식간에 찬반 논쟁의 장으로 변했다. 비판적인 네티즌들은 박명수가 고액의 출연료를 받는 연예인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한 네티즌은 "추석에 며칠 일하고 얼마를 버나. 일반 직장 생활은 해보지도 않은 사람이 무슨 권리로 노동시간에 대해 논하냐"며 그의 발언 자격을 문제 삼았다. 또 다른 이는 "박명수가 겪어본 중노동이라곤 '무한도전'에서 고생한 게 전부일 것"이라며 "이름 있는 연예인이라 기업 입장만 대변하는 것이냐"고 날을 세웠다.반면, 박명수의 현실 인식을 지지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았다. 한 네티즌은 "회사가 잘 돼야 직원도 월급 받고 보너스 받는 것 아닌가. 적게 일하고 이전과 같은 이익을 낼 수 있다는 건 환상"이라며 그의 의견에 동조했다. "이미 주52시간제 도입으로 성장 동력이 떨어진 게 현실"이라며 "세계 1위 기업 엔비디아도 주 7일 새벽까지 일하며 성장했다. 더 줄이면 미래는 뻔하다"는 주장도 힘을 얻었다.'임금 삭감 없는 주4.5일제'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현재 일부 공공 부문에서 도입이 추진되며 사회적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여론 역시 노동자와 사용자 측의 입장이 팽팽히 맞선다. 지난 2월 한국리서치 조사에서는 국민 61%가 '급여 유지'를 전제로 제도 도입에 찬성했지만, 경영계와 경제학 교수들은 근로시간 단축이 기업 경쟁력에 가장 큰 부작용을 미칠 것이라며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박명수의 발언은 이처럼 민감한 사회적 의제에 불을 붙이며, 노동의 가치와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우리 사회의 복잡한 고민을 수면 위로 끌어올린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