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국가기관까지 난리난 1500만 뷰..허니제이, 춤으로 한국 찢어

 무대에서 한동안 자취를 감췄던 댄서 허니제이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이하 ‘스월파’)를 통해 화려하게 복귀했다. 그는 단순한 안무가를 넘어 연출가이자 팀 리더로서, 그리고 한 명의 예술가로서 완성도 높은 무대를 선보이며 시청자들의 극찬을 이끌어냈다.

 

이번 시즌 ‘스월파’는 시즌1에 비해 초반 화제성은 다소 낮았지만, 굿데이터코퍼레이션의 펀덱스에 따르면 6월 4주차 기준으로 5주 연속 TV-OTT 비드라마 부문 화제성 1위를 차지하며 꾸준한 주목을 받아왔다. 특히 한국팀 ‘범접’은 시즌1 리더들이 모여 만들어진 드림팀으로 주목받았지만, 일본 팀인 오사카 오죠 갱과 쿄카 등 해외 팀들에 화제성 측면에서는 밀리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지난 7월 1일 방송에서 공개된 ‘메가 크루 미션’ 무대 이후, 판도는 바뀌었다.

 

허니제이가 이끈 ‘범접’의 메가 크루 무대는 7월 5일 기준 유튜브 조회수 1,500만 회를 돌파하며 압도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온라인에서는 “국가유산급 퍼포먼스”라는 찬사가 이어졌고, 실제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 국악방송 등 공공기관 유튜브 계정들도 자발적으로 댓글을 달며 응원의 뜻을 표했다. 이들은 “전통과 현대의 멋진 어울림”, “국가유산급 무대”라는 평을 남기며 감탄을 감추지 않았다. 일반 시청자들 역시 “소름이 돋는다”, “예술을 본 느낌이다”, “문화 강국의 위엄”이라며 극찬을 쏟아냈다.

 

이같은 반응은 범접의 무대가 한국적 정서를 섬세하게 녹여내면서도 세계인이 이해할 수 있는 서사와 퍼포먼스를 담아냈기 때문이다. 전통문화와 현대 스트릿 댄스를 융합해 ‘글로벌 감성’을 자극하는 동시에, ‘한국 문화’의 아름다움까지도 표현해냈다는 점에서 더욱 높은 평가를 받았다.

 

무대를 총지휘한 허니제이는 결혼과 출산 이후 약간의 공백기를 가졌지만, 이번 시즌을 통해 다시 한번 무대 위의 존재감을 입증했다. 그는 백여 명의 무용수를 이끌며 총괄 디렉터로서 안무, 콘티 기획, 영상 연출까지 도맡아 전 과정을 진두지휘했다. 방송에서 허니제이는 “기량이 더 좋아져야 한다는 부담이 크지만, 그걸 이겨내는 게 제 방식”이라며 리더로서의 고충을 솔직히 털어놓기도 했다.

 

 

 

특히 ‘범접’의 퍼포먼스에서 허니제이는 ‘악몽’과 ‘저승사자’라는 콘셉트를 안무에 담아내고, 오프닝 장면에는 배우 노윤서를 직접 캐스팅해 무대의 서사를 완성했다. 그는 유튜브 비하인드 영상에서 “오프닝에서 눈을 뜨는 장면부터 극적 템포를 조율하고자 했다”며 안무 설계에 담긴 디테일을 설명했다. 이는 단순한 댄스 무대가 아닌 하나의 영화적 서사로 구성된 공연에 가까웠다.

 

안무, 공간 배치, 카메라 구도, 배우의 동선까지 챙긴 허니제이는 자신이 단지 퍼포머가 아니라 연출가로서도 성장하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줬다. 같은 프로그램에 출연 중인 아이키는 “언니가 확신을 가지고 이끌어줘 너무 든든했다”고 전하며 허니제이의 리더십에 깊은 신뢰를 보냈다.

 

허니제이는 “곧 마흔이 되는데도 발전 가능성이 무한하다는 게 제 원동력”이라고 밝혔다. 육체적 부담과 정신적 압박을 모두 감내한 그는 무대 위에서 다시 한번 ‘성장의 아이콘’이자 ‘리더의 품격’을 증명했다. 대중문화 평론가 김성수는 “허니제이의 연출력은 한국을 넘어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입증했다”며 “단순한 안무가가 아닌, 스토리와 영상을 함께 아우르는 진정한 예술가”라고 평가했다.

 

허니제이의 복귀는 단순한 귀환이 아니라, 또 하나의 ‘진화’였다. 그는 다시 무대 위에서 리더로, 창작자로, 그리고 한국을 대표하는 댄서로서 존재감을 명확히 각인시켰다.

 

더위는 참겠는데, 전기요금 못 참아! '50년 전 유물' 누진제, 이제는 보내줄 때?

 기록적인 폭염이 휩쓴 7월, 전국 곳곳에서 '전기요금 폭탄' 비명이 터져 나오고 있다. 30년 만에 가장 뜨거웠던 지난달의 여파로 가계 전기요금 부담이 극심해지면서, 50년 전 만들어진 현행 전기요금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수십만 원에 달하는 '전기요금 고지서' 인증 글이 잇따른다. 두 아이를 키우는 한 이용자는 에어컨 3대를 가동한 결과 1138kWh 사용에 36만7430원이 청구되었다며 "하루 1만2천 원으로 폭염을 이겨낸 셈"이라고 토로했다. 1인 가구 역시 457kWh 사용에 9만2440원 요금을 받아들며 "혼자 사는데 이 정도냐"는 하소연이 이어졌다.이러한 '요금 쇼크'는 단순히 에어컨 사용량 증가 때문만은 아니다. 지난 7월은 전국 평균 기온 27.1도로 1973년 이래 두 번째로 뜨거웠고, 폭염일수와 열대야 일수 모두 역대급을 기록하며 전력 사용을 부추겼다. 이로 인해 전력 수요는 85.033GW로 7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경신, 사실상 8월 수준에 육박했다.근본적인 문제는 1974년 오일쇼크 당시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도입된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에 있다.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급증하는 구조는 전력 절약 유도라는 본래 취지를 넘어, 현대 가정의 필수 전력 사용을 '죄악'시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특히 여름철 누진 구간이 일부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냉방 필수 시대에 실제 가정의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완화 효과는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2016년 이후 가정용 전력 사용량이 20% 이상 증가했음에도 누진제 개편은 8년간 멈춰있다.에너지경제연구원 정연제 연구위원은 "주택용 전기요금에서 기본요금 비중이 지나치게 낮고, 전력량요금 비중이 과도하다"며 "형평성을 위해 누진배율을 축소하는 등 시대에 맞는 요금 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후 변화와 현대인의 생활 방식을 반영하지 못하는 낡은 전기요금 체계가 더 이상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국민의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