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버려진 카드? 아니, 숨겨진 보석! 부상 투혼 심재민, 롯데 전반기 3위 확정 이끌다

 트레이드 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을 때도 있다. 롯데 자이언츠가 2년 전 진행한 트레이드가 이제야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좌완 투수 심재민이 632일 만의 1군 복귀전에서 인상적인 피칭을 선보이며 롯데의 불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롯데는 9일 부산 사직구장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연장 11회 접전 끝에 5-4로 승리했다. 이호준의 우익선상 끝내기 2루타가 승부를 갈랐지만, 승리의 숨은 공신은 바로 심재민이었다. 그는 이날 1⅔이닝 동안 무실점 호투를 펼치며 팀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심재민은 2023년 5월 KT 위즈와의 트레이드를 통해 롯데 유니폼을 입었다. 영입 첫해인 2023년에는 33경기에 등판해 3승 1패 6홀드 평균자책점 3.78의 준수한 성적을 거뒀지만, 지난해에는 어깨와 허리 부상으로 단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다. 그의 마지막 1군 등판은 2023년 10월 16일 한화전이었다.

 

올해도 복귀까지 험난한 여정이었다. 5월부터 퓨처스리그 경기에 출전하기 시작했지만, 구속이 좀처럼 올라오지 않아 1군 콜업이 미뤄졌다. 김태형 감독은 5월 "심재민이 아직 2군에서 직구 구속이 잘 나오지 않고 있다. 직구가 138km 정도 나온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롯데 불펜의 상황이 심재민에게 기회를 제공했다. 좌완 정현수가 리그 최다인 53경기에 등판할 정도로 과부하가 걸렸고, 김진욱은 8일 두산전에서 제이크 케이브에게 동점 투런포를 맞는 등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롯데는 9일 심재민을 1군으로 콜업했다.

 

복귀전에서 심재민은 최고 구속 143km의 빠른 볼과 함께 슬라이더, 커브를 효과적으로 구사하며 두산 타선을 완벽하게 제압했다. 3루수 박찬형의 과감한 수비 플레이도 심재민의 호투에 큰 힘이 됐다.

 


경기 후 심재민은 "오랜만에 1군 경기 등판이었고 저녁 경기도 익숙하지 않아 마운드에 올라갔을 때 쉽지 않았다"면서도 "연장 승부였고 경기가 길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자신 있고 과감하게 승부하는 것이 야수들을 돕는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연장 11회 상황을 돌아보면 먼저 (박)찬형이의 과감한 수비가 있었고 그 분위기를 이어 정훈 선배님의 선두타자 출루와 (이)호준이의 끝내기로 이어졌다"며 동료들의 활약에 감사를 표했다. 끝으로 "아직 첫 경기에 불과하다. 남은 시즌 잘 준비해서 1군에서 더 좋은 모습을 팬 분들께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이날 승리로 롯데는 전반기 3위를 확정했다. 부상 선수들이 속출하고 불펜이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하는 상황에서도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심재민이라는 '히든카드'가 등장한 것은 롯데에게 큰 행운이다. 특히 좌완 불펜투수들의 활약이 후반기 성적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재민의 복귀는 더욱 의미가 크다.

 

롯데는 이미 손호영, 전민재, 정철원 등 트레이드를 통해 영입한 선수들의 활약으로 '트레이드 명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심재민이 이 명단에 합류할 수 있을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632일 만의 복귀전에서 보여준 호투는 롯데의 오랜 기다림이 헛되지 않았음을 증명하고 있다.

 

용도지역 '수직 상승'…노후 빌라촌, 4000세대 대단지로 '환골탈태'하는 지역 4곳은?

 서울시가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어 온 노후 저층 주거지의 주거 환경 개선과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칼을 빼 들었다. 시는 '모아주택·모아타운' 사업을 통해 강북구, 구로구 등 4개 지역을 새로운 주거 단지로 탈바꿈시키고, 이를 통해 총 4093세대에 달하는 대규모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서울시는 지난 11일 열린 제13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강북구 미아동 90-45번지 일대 모아주택 △구로구 구로동 511 일대 모아타운 △서대문구 홍은동 10-18 일대 모아타운 △중랑구 망우3동 474-29 일대 모아타운 등 총 4건의 사업 계획안을 통과시켰다. 이들 지역은 사업이 완료되면 임대주택 796세대를 포함한 총 4093세대의 신축 주택이 들어서는 대규모 주거 개선 사업의 수혜를 입게 된다.지역별 세부 계획을 살펴보면, 먼저 강북구 송중초등학교 인근 미아동 90-45번지 일대는 기존 105세대에서 175세대(임대 35세대 포함)로 주택 공급이 67%나 확대된다. 지하 2층, 지상 16층 규모의 아파트 4개 동이 들어설 예정이며, 전체 세대의 20% 이상을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대신 용적률을 200%에서 249.91%로 완화받아 사업성을 높였다. 특히 보행자와 차량이 뒤섞여 위험했던 기존 6m 이하의 좁은 도로에는 부지 내 공지를 활용한 2m 폭의 보도를 신설해 안전한 보행 환경을 확보하고, 송중초 남측에는 공원을 조성하여 쾌적함을 더한다.구로구 구로동 511 일대는 노후 건축물이 밀집하고 주차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지역이다. 이번 모아타운 지정을 통해 기존 1156세대에서 161세대가 늘어난 총 1317세대(임대 213세대 포함)의 대단지로 거듭난다. 제2종 일반주거지역이었던 용도지역을 제3종으로 상향 조정해 사업성을 확보했으며, 구로역과 대림역 더블 역세권에 고려대구로병원이 인접한 입지적 장점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주민 편의를 위해 단지와 구로동로 40길을 잇는 공공 보행 통로를 만들고, 주 통학로의 보행 공간을 넓히는 등 보행 친화적 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췄다.서대문구 홍은동 10-18번지 일대는 노후 건축물 비율이 78.3%, 반지하 주택 비율이 41.7%에 달하는 대표적인 저층 주거 밀집 지역이었다. 북한산과 홍제천이라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끼고 있음에도 개발이 정체됐던 이곳은, 2030년까지 기존 140세대에서 181세대 늘어난 총 321세대(임대 38세대 포함)의 신축 주택이 공급된다. 주 진입로인 홍은중앙로 폭을 8m에서 10m로 넓히고, 북한산 근린공원으로 이어지는 홍은중앙로9길도 확장하여 접근성을 개선한다.이번에 지정된 곳 중 가장 규모가 큰 중랑구 망우3동 474-29번지 일대는 무려 2280세대(임대 510세대 포함)의 매머드급 단지가 들어선다. 제1종, 제2종(7층 이하) 등이 혼재되어 있던 용도지역을 전체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통일해 사업의 걸림돌을 제거했다. 인근 혜원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안전한 통학을 위해 상봉로16길과 봉우재로58길에 보도를 신설하고 도로 폭을 대폭 넓힌다. 또한, 경춘선·경의중앙선 망우역과 신설 예정인 면목선 경전철과 인접한 교통의 요지로서, 인근 재개발 사업과 시너지를 내며 지역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이번 결정으로 4개 지역의 주거 환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단순한 주택 공급을 넘어, 도로 확충과 공원 조성 등 기반 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전체의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