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4일 만에 복귀한 김혜성, 안타 1개 치고 '슈퍼 플레이' 2개 선보였지만... 팀은 싹쓸이 당했다

 LA 다저스의 김혜성이 4일 만에 선발 라인업에 복귀해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으나 팀은 휴스턴 애스트로스에 패배했다. 7일(한국시간) 다저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MLB 휴스턴과의 경기에서 김혜성은 6번 타자 겸 2루수로 선발 출전해 4타수 1안타 1삼진을 기록했다. 이로써 시즌 타율은 0.356에서 0.351로 소폭 하락했다.

 

김혜성은 특히 수비에서 빛나는 활약을 보여줬다. 1회초 선발 에밋 시한이 1사 1, 2루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크리스티안 워커의 안타성 타구를 낚아채고 점핑 스로로 아웃을 잡아내며 이닝을 마무리했다. 시한은 김혜성의 호수비에 감사의 제스처를 보냈다. 2회초에도 야이너 디아즈의 까다로운 타구를 백핸드로 잡아낸 뒤 러닝 스로로 아웃을 만들어내는 화려한 수비를 선보였다. 현지 중계진은 "아름다운 플레이"라며 "1회보다 더 멋진 플레이"라고 극찬했다.

 

타석에서는 2회말 무사 1루 첫 타석에서 휴스턴 선발 라이언 구스토를 상대로 1볼-2스트라이크의 불리한 카운트에서 바깥쪽 높은 커터를 공략해 좌전안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3일 화이트삭스전 이후 3경기 만의 안타였다. 그러나 후속타자 미겔 로하스의 병살타로 2루에서 아웃되었다.

 

이후 4회말 두 번째 타석에서는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고, 7회말 세 번째 타석에서는 휴스턴 좌완 베넷 수자를 상대로 삼진을 당했다. 9회말 1사 1루 상황에서 맞이한 마지막 타석에서도 브라이언 아브레우를 상대로 삼진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다저스는 2회말 돌튼 러싱의 좌전 2루타로 1-0으로 앞서갔으나, 3회초 호세 알투베의 희생플라이로 동점을 허용했다. 6회초에는 윌 클라인이 무사 만루 상황에서 밀어내기 볼넷을 내주며 1-2로 역전당했다. 이후 휴스턴은 8회초 크리스찬 워커와 야이너 디아즈의 백투백 홈런, 9회초 알투베의 솔로 홈런으로 점수 차를 벌리며 5-1로 승리했다.

 

이로써 다저스는 휴스턴에 시리즈 스윕을 당하며 시즌 전적 56승 35패를 기록하게 됐다. 반면 휴스턴은 아메리칸리그 서부지구 1위로 55승 35패를 마크했다.

 

다저스는 8일부터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원정 3연전에 나선다. 첫 경기는 야마모토 요시노부가 선발 등판하고, 밀워키는 우완 프레디 페랄타가 선발로 예고됐다. 김혜성의 선발 출전 여부와 함께 다저스의 연패 탈출 여부가 주목된다.

 

의사 수는 'OECD 꼴찌', 병원 방문은 '세계 1위'... 한국 의료 시스템의 모순

 보건복지부가 30일 발표한 'OECD 보건통계 2025'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의료 인력과 의료 이용 간 심각한 불균형이 확인됐다. 의사와 간호사는 OECD 평균보다 현저히 적은 반면, 국민들의 의료 이용률과 의료 시설은 최상위권을 기록했다.2023년 기준 한국의 임상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당 2.7명으로 OECD 국가 중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적었다. 이는 OECD 평균인 3.9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며, 의사 수가 가장 많은 오스트리아(5.5명)의 절반에 불과하다. 의학계열 졸업자 역시 인구 10만 명당 7.4명으로 OECD 평균(14.3명)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간호 인력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임상 간호인력(간호사, 간호조무사)은 인구 1000명당 9.5명으로 OECD 평균(9.7명)보다 약간 적지만, 전문 간호사만 놓고 보면 5.2명으로 OECD 평균(8.4명)을 크게 밑돌았다. 다만 간호대학 졸업자 수는 인구 10만 명당 46명으로 OECD 평균(35명)을 상회했다.반면 의료 시설과 장비는 OECD 국가 중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병원 병상 수는 인구 1000명당 12.6개로 OECD 국가 중 1위를 기록했으며, 이는 OECD 평균(4.2개)의 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의료장비 보유 대수도 MRI는 인구 100만 명당 38.7대, CT는 45.3대로 OECD 평균(각각 21.2대, 31.1대)을 크게 웃돌았다. 최근 10년간 MRI 이용량은 연평균 13.2%, CT 이용량은 8.3%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는 연간 18회로 OECD 국가 중 단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OECD 평균(6.5회)의 약 2.8배에 달하는 수치다.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재원 일수도 17.5일로 일본(26.3일) 다음으로 길었으며, OECD 평균(8.1일)의 두 배 이상이었다.보건의료 지출을 나타내는 경상의료비는 GDP 대비 8.5%로 OECD 평균(9.1%)보다 낮았지만, 증가율은 연평균 7.8%로 OECD 평균(5.2%)보다 높았다. 급성기 치료를 위한 입원환자 1인당 평균 재원 일수는 7.2일로 OECD 평균(6.5일)보다 길었다.이러한 통계는 한국 의료체계의 구조적 불균형을 여실히 보여준다.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 인력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인 반면, 병상 수와 의료장비, 진료 횟수는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어 의료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의료 인력 확충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