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공연 보다 실신한 관객 속출... '제발 보지 마세요' 경고에도 매진된 충격적인 공포 연극

 무더운 여름, 관객들의 등골을 서늘하게 할 두 편의 공포 연극이 나란히 무대에 오른다. 신시컴퍼니가 선보이는 '2시 22분-A GHOST STORY'와 '렛미인'은 각각 독특한 설정과 강렬한 스토리라인으로 관객들에게 잊지 못할 공포 체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2시 22분-A GHOST STORY'는 일상 속에서 갑자기 찾아오는 공포를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새벽 2시 22분, 나보다 더 소중한 아이의 방에서 의문의 소리가 들린다"라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설정에서 출발하는 이 연극은 관객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의문의 소리의 정체는 무엇인지, 그리고 그 소리를 둘러싼 인물들 간의 복잡한 심리전이 펼쳐진다.

 

특히 이 작품은 등장인물들이 서로를 믿고 의심하는 과정에서 오가는 날카로운 대사들이 공연장을 가득 채운다. 이러한 대사들은 관객의 심리를 교묘하게 파고들며,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는 순간까지 긴장감을 놓을 수 없게 만든다. 일상적인 공간에서 벌어지는 비일상적인 현상을 통해 관객들에게 몰입감과 함께 서늘한 공포를 선사하는 것이 이 작품의 매력이다.

 

한편, '렛미인'은 피 냄새 가득한 살인사건 속에서 펼쳐지는 독특한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외로웠던 소녀 일라이와 소년 오스카가 만나 서로에게 구원자가 되어주는 과정을 그린 이 작품은 잔혹함과 순수함이 공존하는 독특한 감성을 자아낸다. 두 주인공은 겉보기에 매우 다른 존재이지만, 서로의 상처를 위로하며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해 나간다.

 


'렛미인'의 특이점은 관객들이 사건의 범인을 알고 시작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설정은 전통적인 미스터리 구조를 뒤집으며, 관객들에게 새로운 시각에서 이야기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공연의 마지막 10분은 오리지널 연출자인 존 티파니조차 객석에서 "제발 그만!"을 외치게 만들었다는 후문이 있을 정도로 강렬한 임팩트를 선사한다고 알려져 있다.

 

두 작품은 '신시컴퍼니 썸머 패키지!'라는 특별 프로모션을 통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관람할 수 있다. 이 패키지 상품은 7월 31일까지 놀 티켓(NOL ticket)을 통해 구매 가능하며, 두 편의 공포 연극을 함께 즐기고자 하는 관객들에게 경제적인 선택지를 제공한다.

 

올여름, 에어컨 바람보다 더 서늘한 전율을 느끼고 싶은 관객들에게 '2시 22분-A GHOST STORY'와 '렛미인'은 특별한 무대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상 속 공포와 잔혹하면서도 순수한 사랑 이야기를 통해, 관객들은 무더위를 잊고 색다른 감성에 빠져들 수 있을 것이다.

 

'스펙 쌓아봤자 소용없다'... 대기업 56.7%가 20대 채용 줄이는 잔인한 이유

 국내 대기업에서 20대 직원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며 청년 취업난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최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시한 67개 기업의 20대 임직원 비중이 2022년 24.8%에서 2024년 21.0%로 3.8%포인트 감소했다.이는 절대 인원수로 보면 29만 1235명에서 24만 3737명으로 4만 7498명이 줄어든 수치다. 특히 조사 대상 기업의 절반이 넘는 38곳(56.7%)에서 20대 직원 수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30대 이상 임직원 수는 같은 기간 88만 747명에서 91만 5979명으로 3만 5232명 증가해, 대기업 인력 구조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기업별로 살펴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20대 비중 감소폭이 15.4%포인트로 가장 컸다. 2022년 43.8%에서 2024년 28.4%로 급락한 것이다. 이어서 SK온(12.3%p), LG이노텍(8.9%p), SK하이닉스(8.8%p), 삼성SDI(7.9%p) 등도 큰 폭으로 20대 직원 비중이 감소했다.반면에 일부 기업에서는 20대 고용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도 보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산업 호황에 힘입어 20대 고용 비중이 7.5%에서 15.8%로 8.3%포인트 급증했다. 4대 그룹 대표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30.8%에서 24.2%로, SK하이닉스가 29.6%에서 20.8%로 20대 비중이 감소한 반면, 현대차는 20.8%에서 21.8%로, LG전자는 17.0%에서 18.0%로 오히려 20대 비중이 증가했다.이러한 현상에 대해 조원만 CEO스코어 대표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기업들이 신입 공채를 전면 폐지하거나 축소하고 수시 채용으로 전환하면서 경력직을 선호하는 경향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시기에 기업들이 즉시 업무 수행이 가능한 경력직을 선호하고, 신입 사원 교육에 투자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이려는 전략적 선택으로 볼 수 있다.이러한 추세는 이미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층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 취업의 문이 좁아지면서 청년들은 중소기업으로 눈을 돌리거나, 더 많은 스펙을 쌓기 위해 취업 준비 기간을 연장하는 등의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기업의 고령화 현상은 장기적으로 조직의 혁신성과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기업 경쟁력 측면에서도 우려되는 부분이다.결국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해서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신입 채용 확대와 함께, 정부 차원의 청년 일자리 창출 정책과 기업-청년 간 미스매치를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