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공연 보다 실신한 관객 속출... '제발 보지 마세요' 경고에도 매진된 충격적인 공포 연극

 무더운 여름, 관객들의 등골을 서늘하게 할 두 편의 공포 연극이 나란히 무대에 오른다. 신시컴퍼니가 선보이는 '2시 22분-A GHOST STORY'와 '렛미인'은 각각 독특한 설정과 강렬한 스토리라인으로 관객들에게 잊지 못할 공포 체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2시 22분-A GHOST STORY'는 일상 속에서 갑자기 찾아오는 공포를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새벽 2시 22분, 나보다 더 소중한 아이의 방에서 의문의 소리가 들린다"라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설정에서 출발하는 이 연극은 관객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의문의 소리의 정체는 무엇인지, 그리고 그 소리를 둘러싼 인물들 간의 복잡한 심리전이 펼쳐진다.

 

특히 이 작품은 등장인물들이 서로를 믿고 의심하는 과정에서 오가는 날카로운 대사들이 공연장을 가득 채운다. 이러한 대사들은 관객의 심리를 교묘하게 파고들며,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는 순간까지 긴장감을 놓을 수 없게 만든다. 일상적인 공간에서 벌어지는 비일상적인 현상을 통해 관객들에게 몰입감과 함께 서늘한 공포를 선사하는 것이 이 작품의 매력이다.

 

한편, '렛미인'은 피 냄새 가득한 살인사건 속에서 펼쳐지는 독특한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외로웠던 소녀 일라이와 소년 오스카가 만나 서로에게 구원자가 되어주는 과정을 그린 이 작품은 잔혹함과 순수함이 공존하는 독특한 감성을 자아낸다. 두 주인공은 겉보기에 매우 다른 존재이지만, 서로의 상처를 위로하며 특별한 유대감을 형성해 나간다.

 


'렛미인'의 특이점은 관객들이 사건의 범인을 알고 시작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설정은 전통적인 미스터리 구조를 뒤집으며, 관객들에게 새로운 시각에서 이야기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공연의 마지막 10분은 오리지널 연출자인 존 티파니조차 객석에서 "제발 그만!"을 외치게 만들었다는 후문이 있을 정도로 강렬한 임팩트를 선사한다고 알려져 있다.

 

두 작품은 '신시컴퍼니 썸머 패키지!'라는 특별 프로모션을 통해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관람할 수 있다. 이 패키지 상품은 7월 31일까지 놀 티켓(NOL ticket)을 통해 구매 가능하며, 두 편의 공포 연극을 함께 즐기고자 하는 관객들에게 경제적인 선택지를 제공한다.

 

올여름, 에어컨 바람보다 더 서늘한 전율을 느끼고 싶은 관객들에게 '2시 22분-A GHOST STORY'와 '렛미인'은 특별한 무대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상 속 공포와 잔혹하면서도 순수한 사랑 이야기를 통해, 관객들은 무더위를 잊고 색다른 감성에 빠져들 수 있을 것이다.

 

'폐기될 운명' 냉동배아 38만 개의 비극... 이시영 사태로 불붙은 '배아 소유권' 논쟁

 배우 이시영의 이혼 소송 중 배우자 동의 없이 배아를 이식해 임신한 사실이 논란이 되면서, 배아 관리 제도 정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김윤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시험관 아기 시술을 위해 생성된 배아는 78만 3,860개로, 5년 전인 2019년(42만 7,818개) 대비 83.2% 증가했다.연간 배아 생성 수는 2016년 33만여 개에서 꾸준히 증가해 2021년에 50만 개를 넘어섰고,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30.7%나 급증했다. 의료기관에서 냉동 보관 중인 배아는 지난해 말 기준 38만 3,520개에 달한다.시험관 아기 시술은 난임 부부가 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여성의 난자와 남성의 정액을 인위적으로 채취해 체외에서 수정·배양한 후 자궁에 이식하는 과정이다. 배란 유도제로 다수의 수정란을 생성한 뒤 일부만 이식하고 나머지는 동결 보존하여 추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지난해 이식에 사용된 배아는 20만 1,496개로 전년(16만 8,018개) 대비 19.9% 증가했으며, 2016년(12만 8,672개)보다는 56.6% 늘어난 수치다. 폐기되는 배아 수도 급증해 지난해 53만 3,266개가 폐기되었는데, 이는 전년 대비 30.8%, 2019년 대비 104.7% 증가한 것이다. 배아는 상태가 임신에 적합하지 않거나, 보존기간이 지났거나, 동의권자가 폐기를 요청할 경우 폐기된다.이시영은 지난 8일 SNS를 통해 냉동 보관하던 배아를 이식해 둘째를 임신했으며, 이혼 과정에 있는 배우자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혼인 관계가 정리되어 갈 무렵 배아의 냉동 보관 기간(5년) 만료가 다가오자 "제 손으로 보관 기간이 다 되어가는 배아를 도저히 폐기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이에 대해 이시영의 결정을 지지하는 의견도 있지만, 이혼한 배우자가 아이의 아버지로서 감당해야 할 도덕적·법적 책임을 고려했어야 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현행 생명윤리법에 따르면 배아 생성을 위한 난자·정자 채취 시 배우자가 있으면 그 배우자의 서면 동의가 필요하지만, 이식 시에는 별도 동의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배아 보관 중에 배우자가 동의를 철회할 수 있다.김윤 의원은 "소중한 생명의 탄생을 위한 기술이 진보하고 다양한 가족 형태가 등장하는 만큼,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면서도 현실에 맞는 세심하고 정교한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례를 계기로 배아의 생성·관리·처분에 관한 법적·윤리적 논의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