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빌보드 8위 진입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33개국 1위 석권

 미국에서 제작된 K팝 소재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글로벌 흥행과 함께 OST까지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미국 빌보드는 30일 차트 예고 기사를 통해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앨범이 메인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 8위로 진입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올해 사운드트랙으로는 처음으로 '톱10'에 진입한 기록이다.

 

'빌보드 200'은 실물 음반 판매량과 함께 스트리밍 횟수를 앨범 판매량으로 환산한 수치(SEA),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 횟수를 앨범 판매량으로 환산한 수치(TEA)를 모두 합산해 앨범 소비량 순위를 집계하는 권위 있는 차트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는 SEA 2만7000장, TEA 1000장, 실물 앨범 판매량 3000장을 기록해 총 3만1000장에 해당하는 앨범 유닛(Album Units)을 달성했다.

 

이 OST는 세계 최대 음원 플랫폼 스포티파이에서도 놀라운 성적을 거두고 있다. 28일 기준 '데일리 톱 송 글로벌' 차트에서 수록곡 '골든'이 7위, '유어 아이돌'이 11위를 기록했으며, '소다 팝'(17위), '하우 잇츠 던'(19위), '프리'(34위), '왓 잇 사운즈 라이크'(39위), '테이크 다운'(57위) 등 다수의 트랙이 상위권에 진입했다. 특히 트와이스의 정연, 지효, 채영이 참여한 '테이크 다운' 버전도 100위 안에 들며 화제를 모았다.

 


미국 시장에서도 반응은 뜨거워 '데일리 톱 송 미국' 차트에서는 '유어 아이돌'이 6위, '골든'이 8위를 차지했으며, '하우 잇츠 던'(21위)과 '소다 팝'(29위)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처럼 여러 곡이 동시에 차트에 진입한 것은 OST 전체의 완성도와 대중성을 증명하는 결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공개 이후 10일 연속 글로벌 영화 부문 1위를 차지했으며, 33개국에서 정상을 기록하며 국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작품은 K팝과 오컬트 액션을 결합한 독특한 애니메이션으로, '스파이더맨: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등 히트작을 제작한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을 맡았다.

 

특히 한국계 캐나다인 매기 강 감독을 비롯해 다수의 한국계 제작진이 참여해 K팝의 정체성과 문화적 요소를 정확하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진정성이 글로벌 관객들에게 호응을 얻은 것으로 분석된다.

 

애니메이션은 루미, 미라, 조이로 구성된 K팝 걸그룹 '헌트릭스'가 화려한 무대 뒤에서 세상을 지키는 숨은 영웅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신예 보이그룹처럼 등장한 '사자 보이즈'가 사실은 악마 집단이라는 반전이 드러나면서 두 그룹 간의 흥미진진한 경쟁 구도가 펼쳐진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성공은 K팝이 단순한 음악 장르를 넘어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중요한 소재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앞으로도 K팝을 활용한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의 등장이 기대된다.

 

"시원하게 재우려다 병 키운다?" 유아용 냉감 침구, 알고 보니 '피부 지뢰밭'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아이들의 시원한 잠자리를 위한 유아용 냉감 침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한국소비자원의 시험 평가 결과,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과 산성도가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기초 체온이 높은 유아가 주로 사용하는 제품인 만큼, 이번 안전성 문제는 부모들의 큰 우려를 낳고 있다.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판매되는 8개 브랜드의 유아용 냉감 패드·매트 11종을 대상으로 시험 평가를 진행했으며, 이 중 2개 제품이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31일 밝혔다. 특히 '베베누보'의 하이퍼닉 쿨매트 제품에서는 바닥에 닿는 부위에서 내분비계 교란과 생식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노닐페놀과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 이상 검출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또한 '머미쿨쿨'의 매트 테두리 부분에서는 피부 자극 및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는 산성도(pH)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사용 전 세탁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해당 업체들은 즉각적인 조치에 나섰다. 베베누보의 판매사인 위드앤 주식회사는 유해물질이 검출된 부적합 제품을 전량 폐기하고, 지난해 12월 20일부터 올해 4월 4일까지 판매된 제품에 대해 교환 및 환불을 진행하기로 했다. 머미쿨쿨 역시 지난해 10월 생산된 매트 중 산성도가 부적합한 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이의를 제기할 경우 교환 또는 환불 계획을 밝혔다. 소비자들은 구매한 제품의 제조일자와 판매 기간을 확인하고, 해당될 경우 적극적으로 교환·환불 절차를 밟아야 한다.한편, 제품의 기능성 측면에서는 '접촉냉감'과 '쾌적성'에서 제품 간 차이가 뚜렷했다. 순간적으로 차가움을 느끼는 '접촉냉감'은 베베누보 하이퍼닉 쿨패드와 포몽드 에떼쿨매트 듀라론 냉감 등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며, 열을 통과시키고 땀을 빠르게 흡수하는 '쾌적성'은 베베데코의 히말라야 퍼피 냉감패드와 알레르망 베이비의 리틀펫 냉감패드 등 2개 제품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11종 모두 냉감 소재로 폴리에틸렌 100%, 충전재인 솜은 폴리에스터 100%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 결과는 유아용품 구매 시 가격이나 디자인뿐만 아니라 안전성 및 기능성까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특히 영유아 제품의 경우, 피부에 직접 닿고 장시간 사용되는 만큼 유해물질 검출 여부와 안전 인증 마크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새 제품은 반드시 세탁 후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유아용품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성 검증을 통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