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전 세계 1위? '오겜3' 실체는 '역대급 망작'..넷플릭스 '초비상' 터졌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가 공개와 동시에 글로벌 차트를 압도하며 또 한 번 'K-콘텐츠'의 위용을 과시했다. 플릭스 패트롤 집계에 따르면, '오징어 게임 3'는 공개 첫날 미국, 영국 등 93개국에서 넷플릭스 TV 프로그램 부문 세계 1위를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전 세계 '올킬'을 공개 당일에 달성한 최초의 기록으로, 전작 시즌2가 이틀 만에 이룬 성과를 뛰어넘는 압도적인 출발이다.

 

그러나 이 화려한 성공 뒤에는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평단과 시청자들의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으며, 심지어 주연 배우 이정재(성기훈 역)의 연기력에 대한 의문까지 제기되며 논란의 불씨를 지피고 있다.

 

해외 비평가들은 비교적 관대한 평가를 내렸지만, 일반 시청자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미국의 영화·드라마 평점 사이트 로튼토마토에서 비평가 점수인 '토마토 지수'는 83%를 기록했으나, 시청자 점수인 '팝콘 지수'는 고작 51%에 머물렀다. 이는 시청자 절반 가까이가 '오징어 게임 3'에 실망했다는 의미로, 평단과 대중 모두에게 찬사를 받았던 시즌1(토마토 지수 95%, 팝콘 지수 84%)과 비교하면 확연한 하락세이자 시리즈 최하점이다.

 

해외 유력 매체들의 비판은 더욱 날카로웠다. 미국 워싱턴타임즈는 "에미상 수상작이라면 감정적인 무게감이 있는 결말을 만들어야 했다"며 "유명 배우 카메오 등장으로 마무리하며 관객에게 생각할 거리를 남기지 못했다"고 일갈했다. 영국 가디언은 "잔혹함과 폭력은 끊임없이 이어지지만 풍자는 사라져간다"며 "볼거리는 있지만 예전만큼 날카롭지는 않다"고 지적하며 작품의 본질적인 메시지 퇴색을 꼬집었다.

 


특히, 임산부 참가자가 출산한 아기가 게임 참가자로 전환되거나 주인공 성기훈의 허무한 최후 등 부자연스러운 극 전개와 캐릭터 설정이 도마에 올랐다. 북미 매체 루퍼는 "아기 설정은 터무니없고 억지스러워 몰입을 방해한다"고 비판했으며, 할리우드 리포터는 "실망스러울 정도로 빈약한 캐릭터 빌드업"을 지적하며 "불쾌한 경험"이라는 격한 표현까지 사용했다.

 

여기에 국내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정재의 연기력에 대한 아쉬움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시즌2부터 이상해졌다", "어떻게 에미상을...", "무슨 말을 해도 입에 감정이 없다", "기훈의 심정은 알겠는데 배우가 끌고 가질 못한다", "존재감이 없네요" 등 혹평이 이어지며, '오징어 게임'이 쌓아 올린 명성에 균열이 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신드롬을 넘어 진정한 '웰메이드' 시리즈로 남기 위해, '오징어 게임'은 이번 시즌의 혹평을 어떻게 극복할지 중대한 기로에 섰다.

 

폭염에 닭도 울고, 지갑도 울고… 삼계탕 '금계탕' 되다!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한 닭 폐사가 급증하면서, 여름철 대표 보양식인 삼계탕 한 그릇 가격이 2만원에 육박하는 등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서민들의 밥상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 6월 서울 지역 삼계탕 평균 가격은 1만7654원으로, 전년 대비 4.6% 상승했다. 이미 지난해 7월 1만7000원선을 돌파한 이후 꾸준히 오름세를 보였으며, 서울 시내 일부 식당에서는 이미 한 그릇에 2만원을 넘어선 가격에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지난 6월 삼계탕 품목이 역대 최고 수준인 122.56(2020년=100)을 기록,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하며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2.2%)을 웃돌았다.외식이 부담스러워 집에서 직접 삼계탕을 해 먹으려는 소비자들도 비용 부담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전문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 조사 결과, 전통시장에서 영계, 수삼, 찹쌀 등 재료를 구매해 삼계탕 4인분을 요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은 3만626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5년 전보다 34.9%, 전년보다 12.4% 급등한 수치로, 1인분 기준으로는 9065원에 달한다.이러한 삼계탕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복 성수기 수요 증가와 더불어 최근 기승을 부리는 폭염과 폭우로 인한 육계 폐사량 증가가 꼽힌다. 농촌경제원은 이달 중 생계 유통가격이 ㎏당 2000원대로 전월 대비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닭은 체온 조절 능력이 낮아 고온에 취약하며,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5월 20일부터 7월 28일까지 폭염으로 폐사한 가축 128만7694마리 중 가금류가 123만1682마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배 가까이(573.8%) 폭증한 수치다.정부도 치솟는 닭고기 가격 안정화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최근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닭 농가에 자조금을 활용해 농가당 50만~100만원의 깔집비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닭고기 관련 식품·외식 가격 인상을 방지하기 위해 관련 업체, 수입업계, 생산자단체 등과 긴밀히 소통하며 수급 안정 노력을 독려한다는 방침이다.유통업계 역시 소비자들의 삼계탕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다양한 할인전을 펼치고 있다. 롯데마트는 오는 31일부터 내달 6일까지 '요리하다x지호들깨삼계탕·수삼 삼계탕'을 8990원에 선보이며, 앞서 이마트는 지난 17일부터 28일까지 '영양 삼계탕'을 신세계포인트 적립 기준 3980원에 판매하는 등 파격적인 할인을 진행했다.하지만 기후 변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와 물가 상승 압박이 지속되면서, 삼계탕을 비롯한 외식 물가 안정화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부와 업계의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소비자들의 현명한 소비가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