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전 세계 1위? '오겜3' 실체는 '역대급 망작'..넷플릭스 '초비상' 터졌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가 공개와 동시에 글로벌 차트를 압도하며 또 한 번 'K-콘텐츠'의 위용을 과시했다. 플릭스 패트롤 집계에 따르면, '오징어 게임 3'는 공개 첫날 미국, 영국 등 93개국에서 넷플릭스 TV 프로그램 부문 세계 1위를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는 전 세계 '올킬'을 공개 당일에 달성한 최초의 기록으로, 전작 시즌2가 이틀 만에 이룬 성과를 뛰어넘는 압도적인 출발이다.

 

그러나 이 화려한 성공 뒤에는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평단과 시청자들의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으며, 심지어 주연 배우 이정재(성기훈 역)의 연기력에 대한 의문까지 제기되며 논란의 불씨를 지피고 있다.

 

해외 비평가들은 비교적 관대한 평가를 내렸지만, 일반 시청자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미국의 영화·드라마 평점 사이트 로튼토마토에서 비평가 점수인 '토마토 지수'는 83%를 기록했으나, 시청자 점수인 '팝콘 지수'는 고작 51%에 머물렀다. 이는 시청자 절반 가까이가 '오징어 게임 3'에 실망했다는 의미로, 평단과 대중 모두에게 찬사를 받았던 시즌1(토마토 지수 95%, 팝콘 지수 84%)과 비교하면 확연한 하락세이자 시리즈 최하점이다.

 

해외 유력 매체들의 비판은 더욱 날카로웠다. 미국 워싱턴타임즈는 "에미상 수상작이라면 감정적인 무게감이 있는 결말을 만들어야 했다"며 "유명 배우 카메오 등장으로 마무리하며 관객에게 생각할 거리를 남기지 못했다"고 일갈했다. 영국 가디언은 "잔혹함과 폭력은 끊임없이 이어지지만 풍자는 사라져간다"며 "볼거리는 있지만 예전만큼 날카롭지는 않다"고 지적하며 작품의 본질적인 메시지 퇴색을 꼬집었다.

 


특히, 임산부 참가자가 출산한 아기가 게임 참가자로 전환되거나 주인공 성기훈의 허무한 최후 등 부자연스러운 극 전개와 캐릭터 설정이 도마에 올랐다. 북미 매체 루퍼는 "아기 설정은 터무니없고 억지스러워 몰입을 방해한다"고 비판했으며, 할리우드 리포터는 "실망스러울 정도로 빈약한 캐릭터 빌드업"을 지적하며 "불쾌한 경험"이라는 격한 표현까지 사용했다.

 

여기에 국내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정재의 연기력에 대한 아쉬움이 봇물 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시즌2부터 이상해졌다", "어떻게 에미상을...", "무슨 말을 해도 입에 감정이 없다", "기훈의 심정은 알겠는데 배우가 끌고 가질 못한다", "존재감이 없네요" 등 혹평이 이어지며, '오징어 게임'이 쌓아 올린 명성에 균열이 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신드롬을 넘어 진정한 '웰메이드' 시리즈로 남기 위해, '오징어 게임'은 이번 시즌의 혹평을 어떻게 극복할지 중대한 기로에 섰다.

 

"화합하자"며 한복 제안했지만…'상복'으로 응답한 野, 정면충돌 예고

 이재명 정부의 첫 정기국회가 개회 첫날부터 전례 없는 대치 국면을 연출하며 향후 100일간의 격돌을 예고했다.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개회식은 입법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채워졌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에 따라 화합을 상징하는 한복을 입고 참석한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원 검은 정장과 넥타이의 상복 차림으로 본회의장에 들어서며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국민의힘 의원들의 가슴에는 '의회 민주주의'라고 적힌 근조 리본이 달려, 이들의 복장이 단순한 항의 표시를 넘어 현 정권에 대한 일종의 '사망 선고'임을 분명히 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의회민주주의를 말살하는 이재명 정권의 독재 정치에 맞서자는 심기일전의 취지"라고 설명하며, 이번 정기국회를 강력한 대여 투쟁의 장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이는 "격한 갈등 속에서도 화합과 통합의 의지를 보여주자"며 한복 착용을 제안했던 우 의장의 정치적 제안을 정면으로 걷어찬 행위로, 협상이나 타협의 여지를 시작부터 지워버린 셈이다.상복과 한복이라는 극단적인 드레스코드는 향후 100일간 펼쳐질 여야의 혈투를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민주당은 '내란 종식과 국가 정상화'를 기치로 내걸고 검찰개혁과 특검법 개정안 등 핵심 개혁 법안들을 강행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를 '거대 야당과 이재명 정부의 독주'로 규정하고,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저지하겠다는 각오로 맞불을 놓고 있다.이처럼 얼어붙은 분위기 속에서 우 의장은 "갈등과 대립 속에서 할 일을 하는 게 정치"라며 "사회를 분열시키지 않는 국회 모습을 만들어야 한다"고 거듭 협치를 호소했다. 하지만 이미 서로를 향해 칼을 빼 든 여야의 모습 앞에서 그의 당부는 공허하게 들릴 뿐이었다. 입법, 예산, 인사청문회 등 모든 현안에서 한 치의 양보 없는 충돌이 불가피해 보이면서, 대한민국 국회는 개회와 동시에 '100일 전쟁'의 포성을 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