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국 바이오 폭풍성장... 헝가리 수출 5배 급증의 숨겨진 비밀

 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32조8629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달성했다. 이는 전년(30조6396억원) 대비 7.3% 증가한 수치로, 199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 기록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1.29%, 전체 제조업 분야 GDP 대비로는 4.80% 수준에 해당한다.

 

국내 의약품 생산은 최근 10년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며 2020년 24조5662억원, 2021년 25조4906억원, 2022년 28조9503억원, 2023년 30조6396억원을 기록했다. 의약품 시장규모도 전년 31조4606억원에서 지난해 31조6965억원으로 소폭(0.7%) 증가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의약품 수출이 크게 늘어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된 것이다. 수출액은 12조6749억원으로 전년(9조8851억원) 대비 28.2% 증가했으며, 수입은 11조5085억원으로 7.5% 증가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1조1664억원 흑자를 기록하며 3년 만에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의약품 생산실적 비율은 완제의약품이 86.6%(28조4623억원), 원료의약품이 13.4%(4조4007억원)를 차지했다. 특히 원료의약품 생산이 전년 대비 16.8% 증가하며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완제의약품 중에서는 일반의약품이 4조2357억원(9.9% 증가), 전문의약품이 24조2265억원(5.3% 증가)을 기록했다.

 

생산액 1조원을 넘은 업체는 셀트리온, 한미약품, 종근당 3개 기업으로, 이들의 총 생산실적은 5조408억원으로 전체의 15.3%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3조9313억원) 대비 28.2% 증가한 수치다.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성장세가 특히 두드러졌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약 6조3125억원으로, 전년(4조9936억원) 대비 26.4% 증가해 처음으로 6조원대에 진입했다. 제제별로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이 58.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백신(13.3%), 독소·항독소(10.7%), 혈장분획제제(8.7%), 혈액제제(7.9%), 세포치료제(1.3%) 순이었다.

 

특히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의 생산실적이 전년 대비 42.7%나 급증했는데, 이는 북미, 중남미, 유럽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와 수출물량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바이오의약품의 무역수지는 약 9억1692만달러 흑자로, 최근 5년 중 가장 큰 폭의 무역흑자를 달성했다.

 

국가별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헝가리가 12억3346만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6억867만달러), 튀르키예(4억3206만달러), 브라질(1억4404만달러) 순이었다. 특히 헝가리 수출이 전년보다 5배 이상 증가했는데, 이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의 수출 허브 역할을 하는 헝가리를 통해 유럽 수출이 확대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편, 의약외품 시장은 코로나19 엔데믹으로 인해 마스크, 외용소독제 등 방역용품 수요가 줄어들면서 전체 시장규모가 1조7544억원으로 전년(1조8313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의약외품 생산실적 상위 5개 품목군은 치약제(4051억원), 자양강장변질제(3486억원), 생리용품(2978억원), 반창고류(1586억원), 마스크(836억원) 순이었다.

 

학폭 논란 4년... '영구제명' 이재영, 일본서 충격적 재기

 학교폭력 논란으로 한국 배구계를 떠났던 여자배구 전 국가대표 이재영(28)이 4년 만에 일본 프로배구 무대에서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일본 SV리그 1부 소속 히메지 배구단은 21일 공식 SNS를 통해 이재영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히메지 구단은 "세계적인 수준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갖춘 아웃사이드 히터를 맞이하게 돼 기쁘다"며 영입 소감을 전했다. 오사카 인근 도시를 연고로 하는 히메지는 지난 시즌 SV리그 여자부 1부 리그에서 14개 구단 중 6위를 기록한 중위권 팀이다.이번 영입은 히메지 구단의 적극적인 움직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구단 관계자들은 올해 초 직접 한국을 방문해 이재영의 경기력을 점검한 후 영입을 추진했다. 다만 4년이라는 긴 공백기를 고려해 시즌 초반에는 충분한 적응 기간을 두고 서서히 팀에 합류시킬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이재영의 계약 조건에 대해서는 외국인 선수 중에서도 비교적 낮은 연봉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오랜 공백기와 과거 논란을 의식한 결정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재영에게는 프로 선수로서 경력을 이어갈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전망이다.이재영은 한국 여자배구의 대표적인 스타 플레이어였으나, 2021년 중학교 시절 학교폭력 논란이 불거지면서 큰 위기를 맞았다. 당시 소속팀이었던 흥국생명은 그를 영구제명했고, 대한배구협회는 국가대표 자격을 박탈하는 등 강력한 제재를 가했다. 이로 인해 이재영은 한국 배구계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이후 그는 동생 이다영과 함께 그리스 프로리그로 진출했지만, 무릎 부상이라는 또 다른 난관에 부딪혔다. 결국 시즌을 완주하지 못하고 팀을 이탈하게 됐다. 그리스 리그 이후 한국 V리그 복귀를 시도했으나 여론의 강한 반발로 무산됐고, 한동안 SNS를 통해 사실상 은퇴를 암시하는 메시지를 남기기도 했다.그러나 일본 무대에서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된 이재영은 다시 한 번 배구 인생을 이어가게 됐다. 그는 히메지 구단을 통해 "어릴 적부터 일본에서 뛰고 싶었다"며 "지나온 일들을 깊이 반성하며, 다시 코트에 설 수 있어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배구는 내게 대체할 수 없는 존재였다. 팀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덧붙였다.이재영의 이번 일본 진출은 단순한 선수 이적을 넘어 논란 속에 중단됐던 선수 생활의 재개라는 의미를 갖는다. 학교폭력 논란으로 한국에서는 사실상 선수 생활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일본 무대는 그에게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히메지 구단은 이재영의 기량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그의 과거를 의식한 듯 신중한 접근법을 취하고 있다. 시즌 초반 적응 기간을 두고 천천히 팀에 녹아들 수 있도록 배려하는 모습이다. 이재영이 데뷔할 히메지의 2025-2026시즌 개막전은 오는 10월 10일 오사카 마벨러스와의 경기로 예정돼 있다.이제 이재영에게는 과거의 논란을 뒤로하고 코트 위에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야 하는 과제가 남았다. 일본 SV리그에서의 활약이 그의 배구 인생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지 배구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