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헤어졌지만, 같이 육아합니다!' 케이티 페리♥올랜도 블룸, 쿨내 진동 결별

 팝스타 케이티 페리(40)와 배우 올랜도 블룸(48)이 9년간의 사랑에 종지부를 찍었다. 약혼 5년을 포함해 오랜 시간 할리우드 대표 잉꼬부부로 불렸던 두 사람은 결국 각자의 길을 가기로 했지만, 이별의 방식은 여느 스타 커플과는 달랐다. 바로 네 살배기 딸 데이지 도브를 위한 ‘성숙한 공동 양육(co-parenting)’을 택하며 팬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선사하고 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피플(People)지는 케이티 페리와 올랜도 블룸의 결별 소식을 단독 보도하며, 두 사람이 딸 데이지 도브를 최우선으로 두고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했다. 측근들은 “두 사람은 수많은 역경을 함께 헤쳐왔고, 이제는 서로를 위한 최선의 선택으로 각자의 길을 가기로 했다”며, “무엇보다 딸을 위해 우호적인 관계를 이어가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는 할리우드의 화려한 이면 속에서도 자녀를 향한 깊은 사랑과 책임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케이티 페리와 올랜도 블룸의 로맨스는 2016년 처음 시작됐다. 이후 2019년 밸런타인데이에 올랜도 블룸이 케이티 페리에게 무릎을 꿇고 프러포즈하며 약혼 소식을 전해 전 세계 팬들의 뜨거운 축하를 받았다. 케이티는 당시 방송에 출연해 감격스러운 순간을 회상하며 행복감을 감추지 못했다. 2020년 3월, 케이티는 자신의 뮤직비디오를 통해 임신 소식을 깜짝 공개했고, 그해 8월 사랑스러운 딸 데이지 도브를 품에 안았다. 케이티는 “엄마가 된 것은 내 인생에서 가장 큰 축복이자 변화”라며 육아의 기쁨을 여러 차례 고백하기도 했다.

 

딸 데이지 도브에 대한 두 사람의 헌신은 결별 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올랜도 블룸은 최근 케이티의 월드투어 일정에 맞춰 호주로 향해 딸 데이지와 단둘이 특별한 시간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결별 전부터 딸과의 유대감을 더욱 돈독히 하려는 올랜도 블룸의 노력이었음을 짐작게 한다. 그는 전 부인 미란다 커와의 사이에서 얻은 아들 플린(14)과도 활발히 교류하며 공동 양육의 모범을 보여왔기에, 데이지와의 관계 역시 변함없이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의 관계는 최근 몇 달간 이미 흔들리고 있었다는 후문이다. 한 관계자는 “사실상 이미 오래전부터 끝난 관계였다”며,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관계의 깊은 틈이 생겼고, 서로를 위해 이별을 택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공식적인 결혼식은 올리지 않았지만, 오랜 약혼 기간과 딸의 탄생으로 많은 이들의 기대와 응원을 받았던 케이티 페리와 올랜도 블룸. 이들은 결국 ‘사랑의 완성’ 대신 ‘성숙한 이별’을 선택하며 각자의 새로운 인생 챕터를 시작하게 되었다.

 

케이티 페리는 현재 ‘Lifetimes 투어’를 이어가며 활발한 음악 활동에 집중하고 있으며, 올랜도 블룸은 차기작 준비와 더불어 두 자녀의 육아에 전념할 예정이다. 세간의 시선 속에서도 자녀를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한 두 사람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맘카페 '좋아요' 받을려고..아들 운전시킨 엄마, '위험한 육아 챌린지'

 한 장의 사진이 대한민국 온라인을 뒤흔들었다. 주행 중인 차량 운전석에 앉은 어린 아들, 그리고 그 옆에서 이를 자랑스레 담아낸 엄마의 모습. 언뜻 평범해 보이는 '육아 일상'의 한 조각처럼 보였던 이 사진은, 그러나 차량의 기어가 'D(주행)'에 놓여 있었다는 섬뜩한 진실이 드러나면서 순식간에 공분과 경악의 대상으로 변모했다. '빨간불일 때 잠깐'이라는 변명 뒤에 숨겨진 안전 불감증은, 소셜 미디어 시대의 위험한 '자랑' 문화가 빚어낸 또 하나의 비극적 단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지난 29일, 한 온라인 맘카페에 게재된 이 사진은 "남자아이라 그런지 운전대만 보면 환장하네요. 빨리 커서 엄마 운전기사 해줘"라는 천진난만한(?) 문구와 함께 삽시간에 퍼져나갔다. 하지만 사진 속 아이의 손이 닿아있는 운전대 아래, 주행 상태를 알리는 'D' 기어는 보는 이들의 심장을 쿵 내려앉게 했다.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의 한 사거리로 추정되는 장소, 즉 실제 차량 통행이 이루어지는 도로 위에서 벌어진 이 아찔한 순간은, 단순한 '육아 에피소드'가 아닌 명백한 '위험 행위'로 규정될 수밖에 없었다.사진을 접한 누리꾼들의 반응은 분노를 넘어선 충격 그 자체였다. "사고 나면 본인 아들이 에어백 되는 건 알고 있느냐", "보기만 해도 위험천만하다", "언제든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순간을 자랑이라고 올리다니, 제정신이냐"는 비판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특히 "빨간불에 잠깐 태웠다는 게 말이 되느냐", "분명 엄마가 같이 운전대를 잡고 갔을 것"이라는 의혹은, A씨의 행동이 단순한 순간의 일탈이 아닌, 상습적이고 무모한 행동의 연장선일 수 있다는 우려를 증폭시켰다. '좋아요'와 공감을 얻기 위해 자녀의 안전을 담보로 위험한 상황을 연출하는, 소셜 미디어 시대의 그늘진 단면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순간이었다.더욱 심각한 것은 이러한 행동이 단순한 비난을 넘어 법적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로교통법 제39조는 영유아를 안은 채 운전 장치를 조작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 처분에 직면한다. 그러나 이번 사안은 그보다 훨씬 중대한 '아동학대' 혐의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동복지법 제17조는 아동에게 신체적 위험을 유발하거나 방임한 경우를 아동학대로 규정하고 있으며, 최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한순간의 무모한 행동이 자녀의 생명을 위협하고, 부모 자신을 법의 심판대에 세울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다.논란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A씨는 결국 해당 게시글을 삭제했지만, 이미 온라인상에 퍼진 사진과 내용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하며 '안전 불감증'에 대한 사회적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한 개인의 일탈을 넘어, 자녀의 안전에 대한 부모의 책임감, 그리고 소셜 미디어 시대에 '보여주기식' 문화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에 대해 우리 사회가 깊이 성찰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좋아요' 몇 개를 위해 가장 소중한 것을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 더 이상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