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출시 이틀 만에 3만 개 완판... 재입고 물량도 순식간에 동나는 '바나나우유' 정체

 편의점 CU가 최근 출시한 '가나디 바나나우유'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품절 대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 제품은 출시 직후부터 일부 점포에서는 구하기 힘든 '레어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으며, 중고 거래 시장에서는 정가의 10배가 넘는 가격에 거래되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다.

 

CU는 지난 12일 인기 캐릭터 '가나디'와 협업한 한정판 바나나우유를 선보였다. 이 제품은 출시 이틀 만에 무려 3만 개가 판매되는 기록적인 성과를 올렸다. 이후 20일과 25일 두 차례에 걸쳐 재입고가 이루어졌지만, 이 역시 빠른 속도로 매장에서 사라졌다. 많은 소비자들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어느 CU에 재고가 있는지" 문의하는 글을 올리며 제품을 구하기 위한 '품절 정보 공유'까지 이루어지는 상황이다.

 

CU 운영사인 BGF리테일 관계자는 "현재 생산 상황에 따라 발주 일정 공지는 수시로 이루어질 예정"이라며 "소비자들의 뜨거운 관심에 감사드리지만, 당분간 제품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예상을 뛰어넘는 인기로 인해 생산 계획을 뒤늦게 조정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제품이 특별한 관심을 받게 된 핵심 요인은 독특한 병뚜껑 디자인에 있다. 일반적인 음료 제품과 달리, 이 바나나우유의 병뚜껑은 인기 캐릭터 '듀 가나디'의 얼굴 모양으로 제작되었다. 더욱 특별한 점은 머리 위에 고리 구멍이 뚫려 있어 음료를 다 마신 후에도 키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병따개 기능까지 추가되어 실용성과 수집 가치를 동시에 갖춘 '멀티 굿즈'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온라인 중고 거래 시장에서는 가나디 바나나우유를 둘러싼 과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당근마켓과 같은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는 원래 2300원대 정가로 판매되는 이 제품이 2만 원이라는 약 9배 가격에 거래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심지어 음료는 필요 없다며 병뚜껑 키링만 따로 1만2000원에 판매하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이는 단순한 음료를 넘어 '소장 가치가 있는 굿즈'로서의 위상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번 가나디 바나나우유의 성공 배경에는 탄탄한 캐릭터 IP(지식 재산권)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다. '듀 가나디'는 인스타그램 팔로워만 11만 명에 달하는 인기 캐릭터로, 특유의 흰색 털과 쳐진 귀를 가진 강아지 캐릭터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지난해 카카오톡 이모티콘 연간 판매 순위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하며 높은 인지도를 증명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인기 캐릭터와 협업한 굿즈 제품은 이미 형성된 팬덤 사이에서 기본적인 수요가 탄탄하게 보장된다"며 "최근에는 단순히 보관용이 아닌 키링, 파우치 등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굿즈가 특히 인기를 끌고 있어 관련 마케팅이 더욱 확대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번 가나디 바나나우유의 대란은 단순한 음료 제품을 넘어 소비자들의 소장 욕구와 희소성을 겨냥한 마케팅 전략이 성공적으로 맞아떨어진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앞으로도 CU는 한정판 재입고를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을 이어갈 계획이지만, 당분간 '품절 대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스펙 쌓아봤자 소용없다'... 대기업 56.7%가 20대 채용 줄이는 잔인한 이유

 국내 대기업에서 20대 직원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며 청년 취업난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최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시한 67개 기업의 20대 임직원 비중이 2022년 24.8%에서 2024년 21.0%로 3.8%포인트 감소했다.이는 절대 인원수로 보면 29만 1235명에서 24만 3737명으로 4만 7498명이 줄어든 수치다. 특히 조사 대상 기업의 절반이 넘는 38곳(56.7%)에서 20대 직원 수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30대 이상 임직원 수는 같은 기간 88만 747명에서 91만 5979명으로 3만 5232명 증가해, 대기업 인력 구조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기업별로 살펴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20대 비중 감소폭이 15.4%포인트로 가장 컸다. 2022년 43.8%에서 2024년 28.4%로 급락한 것이다. 이어서 SK온(12.3%p), LG이노텍(8.9%p), SK하이닉스(8.8%p), 삼성SDI(7.9%p) 등도 큰 폭으로 20대 직원 비중이 감소했다.반면에 일부 기업에서는 20대 고용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도 보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산업 호황에 힘입어 20대 고용 비중이 7.5%에서 15.8%로 8.3%포인트 급증했다. 4대 그룹 대표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30.8%에서 24.2%로, SK하이닉스가 29.6%에서 20.8%로 20대 비중이 감소한 반면, 현대차는 20.8%에서 21.8%로, LG전자는 17.0%에서 18.0%로 오히려 20대 비중이 증가했다.이러한 현상에 대해 조원만 CEO스코어 대표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기업들이 신입 공채를 전면 폐지하거나 축소하고 수시 채용으로 전환하면서 경력직을 선호하는 경향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시기에 기업들이 즉시 업무 수행이 가능한 경력직을 선호하고, 신입 사원 교육에 투자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이려는 전략적 선택으로 볼 수 있다.이러한 추세는 이미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층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 취업의 문이 좁아지면서 청년들은 중소기업으로 눈을 돌리거나, 더 많은 스펙을 쌓기 위해 취업 준비 기간을 연장하는 등의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기업의 고령화 현상은 장기적으로 조직의 혁신성과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기업 경쟁력 측면에서도 우려되는 부분이다.결국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해서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신입 채용 확대와 함께, 정부 차원의 청년 일자리 창출 정책과 기업-청년 간 미스매치를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