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내 집 마련 꿈 꾸는 당신에게..하정우 '건물주'가 던지는 유쾌한(?) 경고!

 대한민국 대표 연기파 배우 하정우가 마침내 안방극장으로 돌아온다. 2007년 드라마 '히트' 이후 무려 19년 만의 안방 복귀작으로 선택한 tvN 새 드라마 '대한민국에서 건물주 되는 법'(이하 '건물주')이 2026년 상반기 방송을 목표로 베일을 벗었다. 하정우의 복귀 소식과 함께 임수정, 김준한, 정수정, 심은경 등 이름만 들어도 기대감을 증폭시키는 막강한 캐스팅 라인업이 확정되면서, 벌써부터 드라마 팬들의 뜨거운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건물주'는 우리 시대의 씁쓸한 현실을 반영하듯, '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로 간신히 건물주가 된 한 남자가 목숨보다 소중한 가족과 건물을 지키기 위해 범죄의 소용돌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그린다. 빚더미에 허덕이면서도 가족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생계형 건물주 '기수종'의 절박한 상황이 시청자들의 공감을 자아낼 것으로 보인다. 특히, 건물을 지키기 위해 시작된 '가짜 납치극'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며 걷잡을 수 없는 파국으로 치닫는 예측불허 전개와 숨 막히는 극한의 서스펜스는 시청자들을 단숨에 사로잡을 핵심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극 중 하정우는 '영끌' 대출로 건물주가 되었지만 어마어마한 빚더미에 앉게 된 가장 '기수종' 역을 맡아 열연을 펼친다. 영화와 OTT 시리즈를 오가며 장르 불문 압도적인 연기력을 선보여온 하정우는 이번 작품을 통해 19년 만에 브라운관으로 돌아와 시청자들의 갈증을 해소시켜 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건물을 지키려다 오히려 깊은 수렁에 빠져드는 기수종의 복잡다단한 감정선을 하정우 특유의 명불허전 흡인력 강한 연기로 그려내며 극의 몰입도를 최고조로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그의 섬세하면서도 폭발적인 연기가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길 것은 자명하다.

 

기수종의 아내 '김선' 역에는 대체불가 매력의 배우 임수정이 캐스팅되어 하정우와 환상의 호흡을 선보인다. 2021년 '멜랑꼴리아' 이후 약 3년 만에 안방극장으로 컴백하는 임수정은 이번 작품에서 사건에 얽히며 복합적인 감정 변화를 겪는 김선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이야기의 깊이를 더할 예정이다.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도 강단 있고 위기에 강한 면모를 보여주는 김선의 입체적인 캐릭터를 임수정만의 섬세하고 밀도 높은 연기로 그려내며 극의 중심을 단단히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 배우의 시너지가 만들어낼 긴장감 넘치는 부부 호흡 또한 놓칠 수 없는 관전 포인트다.

 


여기에 김준한, 정수정, 심은경 등 탄탄한 연기력을 갖춘 배우들이 합류하며 '건물주'는 그야말로 드림 캐스팅 라인업을 완성했다. 이들의 합류는 드라마의 완성도를 높이는 동시에 각자의 개성 넘치는 연기로 극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건물주'는 오는 7월 본격적인 촬영에 돌입하며, 2026년 상반기 tvN을 통해 시청자들을 찾아갈 예정이다. 연출은 영화 '페르소나'를 통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연출 스타일을 선보인 임필성 감독이 맡아 기대를 더한다. 또한, 소설가로 등단하여 '바게트 소년병', '인간만세' 등 유니크한 작품들을 선보여왔던 오한기 작가가 첫 드라마 집필에 도전하며 신선한 시너지를 예고한다. 믿고 보는 배우들과 실력 있는 제작진의 만남으로 탄생할 '건물주'가 2026년 상반기 안방극장을 뜨겁게 달굴 최고의 기대작으로 자리매김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체코 원전 따려다 웨스팅하우스에 '영혼까지 검증' 당한 한수원?

 올해 초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국전력(한전)이 미국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식재산권 분쟁을 종결하며 맺은 합의문의 구체적인 내용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원전업계에 뜨거운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차세대 원전 독자 수출 시 웨스팅하우스의 검증을 받아야 한다는 등의 조건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지면서 '굴욕적 합의'라는 비판과 함께 '당시로서는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반박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지난 1월 16일 체결된 이른바 '글로벌 합의문'에는 우리나라 기업이 소형모듈원전(SMR)을 비롯한 차세대 원전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해외에 수출할 경우, 웨스팅하우스의 기술 자립 검증을 통과해야 한다는 조건이 명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국형 원전의 독자적인 해외 진출에 제약을 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나아가 원전 1기당 6억 5천만 달러(약 9천억 원) 규모의 물품 및 용역 구매 계약과 1억 7천 5백만 달러(약 2천 4백억 원)의 기술 사용료를 웨스팅하우스에 지불해야 한다는 조항까지 포함된 것으로 전해져, 일각에서는 과도한 비용 지불이라는 지적이 나온다.웨스팅하우스와의 법적 분쟁은 2022년 10월, 미국 연방법원에 지재권 침해 소송이 제기되면서 시작됐다. 이후 한수원이 체코 두코바니 원전 건설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는 과정에서도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재권 분쟁은 최대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당시 합의 내용은 상호 비밀유지 약속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번에 구체적인 조건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증폭된 것이다.이러한 합의 조건에 대해 일각에서는 한국 원전 기술의 독립성을 훼손하고 웨스팅하우스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수용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독자적인 기술 개발과 수출을 지향하는 한국 원전 산업의 미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그러나 원전업계 일부에서는 다른 시각을 제시한다. 웨스팅하우스와의 지재권 분쟁이 해결되지 않는 한, 한국 원전 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고립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다는 주장이다. 분쟁을 정리하지 않고서는 사실상 원전 수출의 물꼬를 틀 수 없었으며, 애초에 모든 기자재를 국내 기업에서만 조달하는 것 또한 현실적으로 불가능했기에 이번 합의가 마냥 불리한 조건으로만 볼 수 없다는 반론이다. 당시로서는 국내 원전 수출의 활로를 열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것이다.이번 합의를 둘러싼 논란은 한국 원전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익을 극대화하면서도 국제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한국 원전 산업의 숙제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