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김연아, '밴쿠버 꿀잼!' 추억 소환..2026 밀라노 선수들에게 '인생 올림픽' 비법 전수

 '피겨 여왕' 김연아가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에 나설 선수들을 향해 따뜻한 응원과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다. 그녀는 올림픽 무대가 선수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특별하고 임팩트 있는 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지난 25일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 공식 설명회 '2026 밀라노·코르티나, 세계와 만나다'에 참석한 김연아는 "선수들이 올림피언으로서 인생에서 가장 임팩트 있는 순간을 마음껏 즐기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는 밴쿠버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소치 대회 은메달리스트로서 그녀가 직접 경험한 올림픽의 가치를 담은 메시지였다.

 

자신의 올림픽 경험을 되짚어본 김연아는 "선수 생활의 최종 목표를 달성했던 밴쿠버 대회가 올림픽에서의 가장 빛나는 순간으로 기억된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녀는 그 순간이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 감사를 표했다. 더불어,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홍보대사로서 올림픽이라는 큰 무대에 기여할 수 있었던 점을 영광스럽게 여긴다고 덧붙였다.

 

김연아는 다가올 대회에 출전할 선수들에게 "잘 준비해서 원하는 모습을 보이기를 바란다"고 응원하면서도, 경쟁을 넘어선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겼다. 그녀는 "선수 시절엔 저도 사람이기에 경쟁에만 집중했다"고 솔직히 말하며, "올림픽은 참가만으로도 경기를 넘어서는 인생의 한 드라마"라고 정의했다. 이어 "선수들이 존중과 우정으로 전 세계 선수들과 하나 되어 즐기기를 바란다"며 스포츠맨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함께 참석한 패럴림픽 노르딕스키 선수 김윤지는 김연아 선수에 대한 깊은 존경심을 표했다. 김윤지 선수는 "김연아 선수가 지금의 저와 비슷한 나이에 처음 올림픽에 출전하셔서 메달을 따셨는데, 무척 존경스럽다"며, 자신 또한 패럴림픽에서 좋은 결과를 내고 싶다는 각오를 다졌다. 그녀는 미래 선수들에게도 꿈과 희망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은 내년 2월 6일부터 22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와 코르티나담페초 일대에서 막을 올린다. '피겨 여왕' 김연아의 따뜻한 응원 메시지가 더해지면서, 전 세계 스포츠 팬들은 다가올 겨울 축제에서 펼쳐질 선수들의 치열한 경쟁과 감동적인 드라마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강선우, 장관 자격 없다” 여성계, 역대급 반발 터져

 여성계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에 강하게 반발하며, 후보자의 자격 부족과 부적절한 해명 등을 이유로 대통령에게 임명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보좌진 갑질 의혹’에 대한 해명이 미흡했고, 성평등 정책에 대한 인식조차 시대적 요구에 미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한국여성단체연합은 15일 공식 성명을 통해 “강선우 후보자는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밝히며,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자의 임명을 철회하고 국가 성평등 정책을 온전히 이끌 자질과 역량을 갖춘 인물을 다시 지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강 후보자가 논란이 된 갑질 의혹에 대해 ‘부덕의 소치’라며 사과를 반복했지만, 사안의 본질에 대한 성찰이나 구체적 해명이 전혀 없었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여성단체는 “후보자가 ‘저의 부덕의 소치’라는 말만 반복했을 뿐, 문제가 발생한 불평등한 권력 관계의 본질에 대해선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이는 여성가족부의 수장으로서 근본적인 자질에 의문을 갖게 만드는 행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강 후보자의 해명이 오히려 의혹을 키우고 있으며, 해당 부처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이해조차 결여됐다고 봤다.이뿐만 아니라, 성평등 정책 과제에 대한 후보자의 태도도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단체는 강 후보자가 차별금지법, 포괄적 성교육, 비동의 강간죄 등 성평등 실현을 위한 핵심 과제들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반복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한국에 권고한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는 평가다.여성단체는 “이 같은 태도는 성평등 정책을 능동적으로 추진할 의지와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다”며, “여성가족부는 단순한 상징적 부처가 아니라 실질적 정책 집행과 사회 변화를 주도해야 할 기관으로, 이를 이끌 책임 있는 리더십이 지금 가장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강 후보자는 전날인 1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12시간 넘게 이어진 질의 속에서 보좌진 갑질 의혹에 대해 사과를 거듭했다. 그는 “상처를 받은 분들께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지만, 언론 보도에 대해서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말하며 의혹을 전면 부인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에 대해 여성단체는 사실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해명 없이 원론적인 사과로 일관하는 모습이 국민적 신뢰를 얻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했다.여성계는 이번 인사청문회를 통해 드러난 강 후보자의 태도와 발언을 종합적으로 평가했을 때, 여성가족부 장관으로서의 자격은 물론, 부처를 이끌 비전과 소명의식이 결여돼 있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사회적 합의”라는 표현을 반복한 점에 대해서는, 이는 실질적인 변화보다는 갈등 회피적 태도로 읽히며, 시대적 과제를 외면하고 있다는 인상을 남겼다는 지적이 나온다.이에 따라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이번 사안을 단순한 인사 논란이 아닌 여성가족부의 정체성과 대한민국 성평등 정책의 방향성에 관한 중대한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단체는 향후에도 강 후보자 임명에 대한 문제 제기를 이어갈 방침이며,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과 여성계의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책임 있는 인사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번 논란은 여성가족부의 존립 자체가 정치적 논쟁 대상이 되고 있는 가운데 벌어져 더욱 주목받고 있다. 여가부가 과연 상징적 역할을 넘어 실질적 정책 부처로 거듭날 수 있을지, 그리고 그 수장을 누구로 할 것인지에 대한 대통령의 선택이 성평등 정책의 향배를 좌우할 중요한 시점이라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