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김연아, '밴쿠버 꿀잼!' 추억 소환..2026 밀라노 선수들에게 '인생 올림픽' 비법 전수

 '피겨 여왕' 김연아가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에 나설 선수들을 향해 따뜻한 응원과 격려의 메시지를 전했다. 그녀는 올림픽 무대가 선수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특별하고 임팩트 있는 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지난 25일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 공식 설명회 '2026 밀라노·코르티나, 세계와 만나다'에 참석한 김연아는 "선수들이 올림피언으로서 인생에서 가장 임팩트 있는 순간을 마음껏 즐기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는 밴쿠버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소치 대회 은메달리스트로서 그녀가 직접 경험한 올림픽의 가치를 담은 메시지였다.

 

자신의 올림픽 경험을 되짚어본 김연아는 "선수 생활의 최종 목표를 달성했던 밴쿠버 대회가 올림픽에서의 가장 빛나는 순간으로 기억된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녀는 그 순간이 오랜 시간이 흐른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 감사를 표했다. 더불어,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홍보대사로서 올림픽이라는 큰 무대에 기여할 수 있었던 점을 영광스럽게 여긴다고 덧붙였다.

 

김연아는 다가올 대회에 출전할 선수들에게 "잘 준비해서 원하는 모습을 보이기를 바란다"고 응원하면서도, 경쟁을 넘어선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겼다. 그녀는 "선수 시절엔 저도 사람이기에 경쟁에만 집중했다"고 솔직히 말하며, "올림픽은 참가만으로도 경기를 넘어서는 인생의 한 드라마"라고 정의했다. 이어 "선수들이 존중과 우정으로 전 세계 선수들과 하나 되어 즐기기를 바란다"며 스포츠맨십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함께 참석한 패럴림픽 노르딕스키 선수 김윤지는 김연아 선수에 대한 깊은 존경심을 표했다. 김윤지 선수는 "김연아 선수가 지금의 저와 비슷한 나이에 처음 올림픽에 출전하셔서 메달을 따셨는데, 무척 존경스럽다"며, 자신 또한 패럴림픽에서 좋은 결과를 내고 싶다는 각오를 다졌다. 그녀는 미래 선수들에게도 꿈과 희망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은 내년 2월 6일부터 22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와 코르티나담페초 일대에서 막을 올린다. '피겨 여왕' 김연아의 따뜻한 응원 메시지가 더해지면서, 전 세계 스포츠 팬들은 다가올 겨울 축제에서 펼쳐질 선수들의 치열한 경쟁과 감동적인 드라마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비 온다더니' 댐 비웠다 물 말랐다…정부도 예측 못한 '가뭄 쓰나미'

 올여름, 기상청의 '많은 비' 예보와 달리 '마른장마'가 현실화되면서 전국 곳곳에서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장마철 폭우에 대비해 댐 수위를 낮춰 놓았던 것이 오히려 극심한 가뭄을 초래하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환경부의 10일 발표에 따르면, 대구·경북권의 주요 용수 공급원인 운문댐은 현재 저수율 38.4%로 예년(47.3%)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 강원도 강릉 지역의 생명줄인 오봉저수지 역시 예년(65%)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31%를 기록하며 '빨간불'이 켜졌다. 두 댐 모두 가뭄 대응 단계가 각각 '주의'와 '관심'으로 격상되었으며, 앞으로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이러한 물 부족 사태는 기상청의 예측과 달리 장마가 너무나도 일찍, 그리고 건조하게 끝났기 때문이다. 당초 6월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고, 7~8월은 평년 수준의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됐지만, 6월에만 예측이 적중했을 뿐 7월부터는 빗나갔다. 특히 북태평양 고기압의 이른 세력 확장으로 장마 전선이 급격히 북상하며 제주(15일)와 남부 지방(12일)은 역대급으로 짧은 장마를 경험했다. 남부 지방의 장마 기간 강수량은 고작 98㎜에 불과했으며, 최근 2주간(6월 25일~7월 8일) 전국 평균 강수량은 평년 동기(141㎜)의 6.1%인 8.3㎜에 그쳤다. 수도권과 강원 영서 지역이 평년의 10분의 1 수준의 비라도 맞은 반면, 나머지 지역은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강수량으로 신음하고 있다.댐 관리 당국 역시 이례적인 '마른장마'를 예상치 못해, 다가올 폭우에 대비해 댐 수위를 낮춰 놓은 상태였다. 여기에 때 이른 폭염까지 겹치면서 댐의 물은 빠르게 증발하고 있어, 관계자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이 절정에 달할 8월에는 물 증발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아직 중부 지방의 장마 종료 선언은 나오지 않았지만, 희망적인 비 소식도 가뭄 해갈에는 역부족일 전망이다. 기상청은 오는 16~17일 북서쪽 기압골의 영향으로 수도권과 강원 영서에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찬 공기와 뜨거운 공기의 충돌로 형성되는 비구름대가 폭염을 잠시 누그러뜨릴 수는 있겠지만, 7월 평년 강수량이 최소 240㎜인 점을 감안하면 이틀간의 비로는 가뭄을 해소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더욱이 비구름대가 태백산맥을 넘지 못하고 강원 영서에만 집중될 가능성이 커, 강원 영동 지역의 가뭄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강원 영동 지역 농업용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40.1%(이달 1일 기준)로 평년보다 24.4%포인트 낮아 이미 제한 급수가 시행 중이다.환경부는 이례적인 장마 종료와 국지적 가뭄 징후에 따라, 기존 홍수 대응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가뭄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 기간 동안 홍수 대응과 함께 강원 강릉 등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가뭄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며, 물 관리에 비상이 걸린 현 상황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