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모아

'정계 은퇴' 홍준표, 조용히 복귀 암시.."세상이 다시 부를 때까지.."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탈락한 뒤 탈당과 정계 은퇴를 선언했던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약 두 달 만에 정계 복귀를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았다. 지난 4월 대선 경선에서 탈락한 직후 정계 은퇴를 공식화하며 정중히 퇴장했던 홍 전 시장은 6월 25일 자신의 온라인 플랫폼 ‘청년의 꿈’에서 “세상이 다시 부를 때까지 기다린다”고 말하며 향후 정치 복귀 가능성을 열어뒀다.

 

해당 발언은 한 지지자가 “사기 경선에 대해 더 정확히 이야기하고, 차분히 때를 기다리는 것이 맞다”는 의견을 올리자 이에 답한 형태로 나왔다. 홍 전 시장은 “세월이 이끄는 대로, 순리대로 간다. 조급하지 않다”며 “내 능력이 소진되었다고 판단될 때까지 기다리겠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지난 두 번의 대선은 참 유감이었다”고 회고하며 여전히 정치에 대한 미련과 현실 인식을 내비쳤다.

 

홍 전 시장은 지난 4월 29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김문수, 한동훈 후보와 경쟁한 끝에 탈락한 직후, “더 이상 정치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정계 은퇴를 알렸다. 그는 “시장이나 거리에서 시민으로 남겠다”며 단호한 태도를 보였고, 이후 미국 하와이로 출국해 조용히 시간을 보내왔다. 하지만 당시에도 그는 “당을 떠난 것은 내가 당을 버린 것이 아니라 당이 나를 버린 것”이라는 말을 남겨 여운을 남겼다.

 

이후 국민의힘 내부에서 김문수 후보 대신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대선 후보로 사실상 교체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자 홍 전 시장은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그는 “한×이 한밤중 계엄으로 자폭하더니, 두×이 한밤중 후보 약탈 교체로 파이널 자폭한다”며 국민의힘 지도부를 직격했고, 이번 대선 경선 자체를 “사기 경선”이라고 지칭했다. 그러면서 “국민의짐에서 은퇴한 것”이라며 당에 대한 실망과 분노를 거침없이 드러냈다.

 

 

 

최근에도 그는 국민의힘을 향한 비판 수위를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 지난 24일 자신의 SNS를 통해 “한국 보수세력을 망친 주범은 윤석열, 한동훈 두 용병과 그들과 부화뇌동한 국민의힘 중진들”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이어 “이들을 척결하지 않으면 국민의힘은 살아나기 어렵다”고 경고하며, 아무리 혁신을 외친다 해도 “부패하고 무능한 이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한 혁신은 요원하다”고 단언했다.

 

홍 전 시장은 국민의힘이 마치 2014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해산된 통합진보당과 같은 전철을 밟게 될 것이라는 극단적인 예측까지 내놓았다. “종국적으로는 통진당 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며 “한국 보수세력은 결국 초토화된 폐허 위에서 다시 일어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했다. 또 “박근혜 탄핵 때는 살아났지만, 두 번 탄핵당한 지금 국민들이 이를 다시 용인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홍 전 시장의 일련의 발언들은 단순한 비판을 넘어, 정치 재개를 향한 포석으로 읽히고 있다. 비록 현재는 “순리대로 기다리겠다”고 했지만, 끊임없이 국민의힘을 향해 날을 세우고 정치 상황에 개입하는 모습은 그가 언제든 다시 전면에 등장할 수 있음을 예고하는 듯하다. 정계 은퇴를 선언했던 정치인의 귀환 가능성이 다시금 현실화되며 향후 보수 진영의 정치 지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정청래, 당심 잡고 질주..박찬대 초조한 반격 시동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여당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경선을 본격화한 가운데, 정청래 후보가 충청권과 영남권 권리당원 투표에서 큰 격차로 앞서며 초반 판세를 주도하고 있다. 20일 발표된 민주당의 충청권·영남권 권리당원 투표 누계 결과에 따르면 정청래 후보는 62.65%를 득표해 박찬대 후보(37.35%)를 25%포인트 넘는 격차로 따돌렸다. 앞서 발표된 영남권 지역 투표에서도 정 후보는 62.55%의 지지율로 박 후보(37.45%)를 크게 앞섰다. 권리당원 투표는 전체 전당대회 투표 반영 비율의 55%를 차지하는 핵심 변수로, 초반 흐름이 후반 판세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정청래 후보는 강력하고 신속한 개혁 리더십을 전면에 내세우며 강성 지지층의 표심을 파고들었다. 야당 시절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으로 대여 투쟁의 전면에 섰던 경력이 ‘개혁 아이콘’이라는 이미지로 연결되며, 새 정부의 출범 이후 당내 강경파 당원들의 지지를 결집하는 데 성공했다는 분석이다. 그는 이날 경선 정견발표에서도 "검찰·언론·사법 개혁을 폭풍처럼 몰아쳐 전광석화처럼 해내겠다"고 강조했으며, 국민의힘에 대해선 "내란 정당은 해산해야 하고, 정당 보조금도 환수해야 한다"며 초강경 메시지를 날렸다.정 후보는 영남권 순회 경선 이후 "65%라는 역대급 지지를 받아 깜짝 놀랐다"며 "내란 세력 척결을 명령한 당원의 뜻을 받들어 개혁 공약을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정 후보 캠프 측은 "당원들이 원하는 방향은 이미 명확하다"며 "남은 지역에서도 개혁 당 대표로서의 입지를 굳혀가겠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반면 박찬대 후보는 ‘당·정·대 원팀’을 강조하며 국정운영의 안정성과 협치를 전면에 내세웠으나, 초반 경선에서는 개혁 드라이브가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 후보는 "개혁도 박찬대"라는 입장을 고수하며 메시지 강도를 높이려 하고 있지만, 일부 당원들 사이에선 '개혁은 정청래, 협치는 박찬대'라는 구도가 고착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박 후보 측은 "박 후보의 개혁 성과나 의지가 아직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앞으로 당원들의 오해를 풀기 위한 전략을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두 후보 모두 여전히 미정인 수도권과 호남 경선을 주요 승부처로 보고 전략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민주당 지지기반이 탄탄한 호남은 권리당원 비중이 35%에 달하는 핵심 지역으로, 정 후보는 과거 대선 당시 광주·전남 선거대책위원장 활동 이력을 강조하며 호남 공략을 강화하고 있고, 박 후보 역시 ‘호남 일주일 살기’ 등의 일정으로 당원들과의 접촉면을 넓히고 있다. 이 때문에 호남과 수도권의 결과가 최종 당대표 선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한편, 전국적인 호우 피해 상황이 이어지면서 경선 일정 조정을 둘러싼 양 후보 간 신경전도 가열되고 있다. 박 후보 측은 지역 순회 경선을 연기해 ‘원샷’ 방식으로 진행하자고 제안했으며, "전당대회는 예정대로 하되 지역 투표를 한 날에 병합해 치를 수도 있다"고 밝혔다. 반면 정 후보 측은 "오히려 경선 일정을 앞당겨야 한다"며 박 후보 측의 제안을 사실상 거부하고 나서면서 양측의 의견차가 노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이날 오후 비공개 최고위원 간담회를 소집해 향후 경선 일정과 방식을 재논의할 방침이다.정청래 후보가 초반 권리당원 투표에서 강세를 보이며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가운데, 박찬대 후보가 어떤 방식으로 추격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가 이번 전당대회의 관전 포인트가 되고 있다. 여당 대표로서 향후 당·정 관계와 국정 운영에 중추적인 역할을 맡게 될 민주당 대표 자리를 두고 양 후보의 경쟁은 한층 치열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