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삼성 몰락의 시작? SK그룹에 영업이익 왕좌 내주며 충격적 패배

 한국CXO연구소가 25일 발표한 2024년 그룹 총수 경영 성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이 이끄는 SK그룹이 지난해 그룹 전체 영업이익 부문에서 삼성을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번 분석은 공정거래위원회 발표 기준 공정자산 규모 5조원 이상 92개 대기업 집단의 총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SK그룹은 지난해 27조1,38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삼성의 27조352억원을 불과 0.4% 차이로 앞섰다. 이러한 결과의 결정적 요인은 SK하이닉스의 사상 최대 실적이었다. SK하이닉스는 21조3,31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삼성전자의 12조3,610억원보다 약 9조원이나 더 많은 성과를 거뒀다.

 

그룹 전체 순이익 증가율에서도 SK그룹은 놀라운 성장세를 보였다. 2023년 6,582억원에서 2024년 18조3,595억원으로 무려 2,689.1% 급증하며 이 부문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이재용 회장의 삼성은 여전히 그룹 전체 매출(399조6,362억원), 당기순익(41조6,022억원), 고용(28만4,761명) 부문에서는 1위 자리를 지켰다. 삼성은 국내 최대 기업 집단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SK그룹에 근소하게 뒤처진 모습을 보였다.

 


정의선 회장이 이끄는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그룹 매출(292조1,195억원), 당기순익(23조7,712억원), 고용(20만3,915명) 부문에서 모두 삼성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은 재작년에 그룹 전체 영업이익 1위를 차지했으나, 작년에는 18조5,33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SK와 삼성에 이어 3위로 밀려났다.

 

그룹 매출 증가율 부문에서는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이 1위를 차지했다. 한국앤컴퍼니그룹은 지난해 한온시스템을 인수하면서 매출이 전년의 4조2,239억원에서 8조4,668억원으로 1년 새 100.4% 증가하는 놀라운 성장을 보였다.

 

영업이익 증가율에서는 박정석 고려에이치씨 회장이 1위를 차지했다. 고려에이치씨는 고려해운의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그룹 영업이익이 2023년 453억원에서 2024년 7,029억원으로 1,450.3%나 급증했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이 돋보였다. 크래프톤은 지난해 그룹 영업이익률 43.9%, 순이익률 50%라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며, 이 두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분석 결과는 국내 주요 기업 집단들의 경영 성과와 경쟁 구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특히 SK그룹의 약진과 반도체 산업의 영향력이 두드러진 한 해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한국앤컴퍼니와 고려에이치씨 같은 중견 그룹들의 성장세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나경원 '캠핑 농성' 찾은 김민석 "단식 하지마"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6월 30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나흘째 철야 농성 중인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을 찾아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자료 제출 문제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이날 오후 2시 20분쯤 국회 본청을 지나던 김 후보자는 농성 중인 나 의원에게 다가가 "식사는 하셨냐"며 인사를 건넸고, 나 의원은 “김밥 먹었다. 나는 언제 단식한다고 했나”라며 농성 방식에 대한 지적을 유쾌하게 받아넘겼다. 김 후보자가 “단식하지 마세요”라고 덧붙이자, 나 의원은 “단식할 이유가 없다”고 답했다.대화가 이어지는 중 김미애 의원이 가세해 “단식해도 안 내려올 거잖아요. 단식하면 내려올 거야?”라고 쏘아붙이면서 긴장감이 높아졌다. 이후 김 후보자가 “국회에 볼일 있어 왔다. 수고들 하시라”고 말하자, 나 의원은 “민주당 같으면 ‘물러가라’ 했을 텐데”라고 받아치며 야당의 농성 의지를 드러냈다.두 사람 사이의 신경전은 곧바로 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관련 자료 제출 문제로 번졌다. 나 의원이 “자료 좀 내요, 자료 좀”이라고 목소리를 높이자, 김 후보자는 “자료 다 드렸는데, 보지도 않고 들어오시니까요”라며 응수했다. 이어 나 의원이 “증여세 낸 것 자료를 내라”고 하자, 김 후보자는 “다 냈는데 안 보신 거다. 주진우 의원이 사과하셨으면 나머지까지 다 드릴 생각이었다. 자료는 다 드렸다”고 주장한 뒤 자리를 떠났다.김 후보자와 국민의힘 간 갈등의 핵심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제기된 재산 관련 의혹과 그에 대한 해명 자료 제출이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가 납세 증명서 등 주요 입증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며 반발했고, 이로 인해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이 무산됐다. 민주당은 이에 대해 국민의힘이 국정을 발목 잡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나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김 후보자 지명 철회를 촉구하며 “범죄 혐의자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대통령 측근이라는 이유만으로 총리직에 앉히겠다는 발상은 결국 대통령 방탄 내각을 만들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민주당이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직을 독식하려는 의도에 대해 “입법 독재를 선언한 것이며, ‘이재명 대통령 방탄’을 위한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법사위원장 자리를 야당에 돌려달라”고 요구했다.나 의원은 지난 6월 27일부터 김 후보자 지명 철회 및 법사위원장직 반환을 촉구하며 로텐더홀에서 철야 농성을 이어오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병주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밥, 커피, 선풍기, 텐트까지 동원한 웰빙 캠핑으로는 국민의 마음을 살 수 없다”고 비판하며 나 의원의 행동을 ‘웰빙 농성’이라 지적했다.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이러한 태도를 강하게 반박했다. 최수진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단식과 농성을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은 오히려 민주당”이라며 “민주당은 나 의원의 진정성을 깎아내리지 말고 협치의 길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한편,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나 의원의 농성을 둘러싼 평가가 엇갈리고 있다. 친한동훈계로 분류되는 김종혁 전 최고위원은 SNS를 통해 “국회 본청에서 최고급 텐트 치고 김밥과 스타벅스 커피 먹으며 책 읽는 것이 과연 국민이 생각하는 농성이냐”며 비판했다. 반면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은 같은 SNS에서 “같은 당 의원의 투쟁도 비하하는 건 이해할 수 없다”며 “나 의원 농성이 웰빙이면 한동훈 장관의 기타 연주와 라이브 방송은 연예인병 말기 수준 아니냐”고 반격하며 당내 갈등 양상도 드러냈다.이처럼 김민석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둘러싼 정치권의 갈등은 인사청문 자료 제출 문제를 넘어, 여야 간 정국 주도권 공방과 당내 세력 대결 양상까지 겹치며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