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KBO 유턴 대신 MLB 잔류! 고우석, 디트로이트서 '빅리그 로또' 터뜨릴까

 마이애미 말린스에서 자유계약 신분으로 풀려났던 우완 투수 고우석이 KBO리그 복귀 대신 메이저리그 도전을 택하며 새로운 둥지를 찾았다. 그는 24일(이하 한국시각)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으며 빅리그 재진입을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소식이다. 마이너리그 홈페이지를 통해 공식 발표된 이번 계약으로 고우석은 디트로이트 산하 트리플A 팀인 톨레도 머드헨즈로 이관될 것으로 보인다. 마이애미가 그를 조건 없이 방출(release)한 지 불과 일주일 만에 빅리그의 꿈을 이어갈 기회를 잡은 셈이다.

 

이번 계약의 가장 큰 특징은 디트로이트가 고우석의 연봉 부담을 거의 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올해 고우석의 연봉 225만 달러는 마이애미가 대부분 부담하며, 디트로이트는 그가 메이저리그에 콜업될 경우에만 최저 연봉(76만 달러)의 활동 기간분만을 지급하면 된다. 이는 디트로이트 입장에서 큰 재정적 위험 없이 고우석의 잠재력을 시험해볼 수 있는 매우 유리한 조건이다.

 

디트로이트가 고우석에게 관심을 보인 배경에는 그의 최근 트리플A에서의 인상적인 투구가 자리한다. 마이애미 산하 트리플A 잭슨빌 점보슈림프 소속으로 방출 직전 5경기에 등판한 고우석은 5⅔이닝 동안 6안타 1볼넷 5탈삼진 1실점을 기록하며 평균자책점 1.59의 위력적인 투구를 선보였다. 특히 직구 구속이 꾸준히 93~94마일대를 유지하며 구위가 살아났음을 증명했다. 가장 최근 등판인 지난 16일 로체스터 레드윙스(워싱턴 내셔널스 산하)전에서는 선발로 등판해 2이닝 동안 1안타 1볼넷 무실점의 호투를 펼치며 빅리그 승격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당시 그의 직구 최고 구속은 94마일, 평균 93.4마일을 기록했다. 디트로이트가 이 5경기의 긍정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고우석을 빅리그 예비 자원으로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는 메이저리그 전체를 통틀어 가장 강력한 팀 중 하나다. 24일 현재 49승 30패로 양 리그를 합쳐 승률 1위를 달리고 있으며, LA 다저스와 뉴욕 양키스 등 리그 '골리앗'들도 전력 면에서는 디트로이트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팀 평균 득점(4.95)과 팀 평균자책점(3.50) 모두 리그 5위를 기록하며 투타 균형이 매우 안정적이다. MLB.com이 지난 23일 발표한 파워랭킹에서도 당당히 1위를 차지하며 그들의 강세를 입증했다.

 


그러나 이러한 압도적인 전력에도 불구하고 디트로이트의 불펜은 불안 요소로 지목된다. 디트로이트의 불펜 평균자책점은 3.81로 30개 팀 중 15위, 아메리칸리그에서는 10위에 그치며 중간 수준에 머물고 있다. 특히 이달 초까지만 해도 3.29로 '톱10'을 유지하며 탄탄한 모습을 보였던 불펜진은 최근 2주 동안 급격히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2일부터 최근 11경기에서 디트로이트 불펜 투수들은 합계 57⅔이닝을 투구하며 평균자책점 6.09를 기록했다. 이 기간 불펜진의 투구 이닝은 팀 전체 투구 이닝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과부하가 심했다. 선발진 중 에이스 태릭 스쿠벌과 잭 플레허티, 케이시 마이즈 등 3명을 제외하면 나머지 선발 투수들이 일찍 마운드를 내려가면서 '불펜 게임'을 치러야 하는 경기가 11경기 중 6경기나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불펜 불안은 고우석과 같은 마이너리그 예비 자원을 확충할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물론 디트로이트 불펜이 완전히 무너질 수준은 아니다. 마무리 윌 베스트가 건재하고, 셋업맨 타일러 홀튼, 토미 칸리 등 두터운 층을 자랑하지만, 6월 들어 흔들리는 상황에서 트리플A에서 당장 불러올릴 만한 안정적인 즉시 전력감은 거의 없는 상태다. 이 때문에 트레이드 데드라인을 한 달여 앞두고 디트로이트가 트레이드를 통해 불펜진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디 애슬레틱 칼럼니스트 짐 보든은 최근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의 데이비드 베드나 영입을 주장하기도 했다.

 

고우석의 영입은 이러한 디트로이트의 불펜 전략과 묘하게 일치한다. 그는 마이너리그 예비 자원으로서 팀 불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비록 수많은 마이너리그 투수 중 한 명일 뿐이지만, 그의 최근 호투와 빅리그 경험은 디트로이트에게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했을 것이다. 고우석이 이 기회를 발판 삼아 빅리그 마운드에 다시 설 수 있을지, 그리고 디트로이트의 불펜 불안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지 야구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스펙 쌓아봤자 소용없다'... 대기업 56.7%가 20대 채용 줄이는 잔인한 이유

 국내 대기업에서 20대 직원 비중이 급격히 감소하며 청년 취업난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최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 중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시한 67개 기업의 20대 임직원 비중이 2022년 24.8%에서 2024년 21.0%로 3.8%포인트 감소했다.이는 절대 인원수로 보면 29만 1235명에서 24만 3737명으로 4만 7498명이 줄어든 수치다. 특히 조사 대상 기업의 절반이 넘는 38곳(56.7%)에서 20대 직원 수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30대 이상 임직원 수는 같은 기간 88만 747명에서 91만 5979명으로 3만 5232명 증가해, 대기업 인력 구조의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기업별로 살펴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20대 비중 감소폭이 15.4%포인트로 가장 컸다. 2022년 43.8%에서 2024년 28.4%로 급락한 것이다. 이어서 SK온(12.3%p), LG이노텍(8.9%p), SK하이닉스(8.8%p), 삼성SDI(7.9%p) 등도 큰 폭으로 20대 직원 비중이 감소했다.반면에 일부 기업에서는 20대 고용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도 보였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산업 호황에 힘입어 20대 고용 비중이 7.5%에서 15.8%로 8.3%포인트 급증했다. 4대 그룹 대표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30.8%에서 24.2%로, SK하이닉스가 29.6%에서 20.8%로 20대 비중이 감소한 반면, 현대차는 20.8%에서 21.8%로, LG전자는 17.0%에서 18.0%로 오히려 20대 비중이 증가했다.이러한 현상에 대해 조원만 CEO스코어 대표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기업들이 신입 공채를 전면 폐지하거나 축소하고 수시 채용으로 전환하면서 경력직을 선호하는 경향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시기에 기업들이 즉시 업무 수행이 가능한 경력직을 선호하고, 신입 사원 교육에 투자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이려는 전략적 선택으로 볼 수 있다.이러한 추세는 이미 취업난을 겪고 있는 청년층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 취업의 문이 좁아지면서 청년들은 중소기업으로 눈을 돌리거나, 더 많은 스펙을 쌓기 위해 취업 준비 기간을 연장하는 등의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기업의 고령화 현상은 장기적으로 조직의 혁신성과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기업 경쟁력 측면에서도 우려되는 부분이다.결국 청년 취업난 해소를 위해서는 기업들의 적극적인 신입 채용 확대와 함께, 정부 차원의 청년 일자리 창출 정책과 기업-청년 간 미스매치를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