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아무 생각 없이 쉰 주말…월요일 체중계에 깜짝 놀라는 이유

 주말이 되면 누구나 평소보다 마음이 느긋해지고 일상에서 벗어난 자유를 만끽하고 싶어진다. 일주일 내내 쌓인 피로를 풀기 위해 소파에 누워 TV를 보거나, 평소에 자제하던 음식들을 마음껏 즐기며 휴식을 취하는 사람도 많다. 이러한 주말의 풍경은 평범한 도시 직장인들에게는 낯설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평범한 습관들이 다이어트를 어렵게 만들고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도 건강 전문 매체 '인디아닷컴(India.com)'은 살을 빼려는 노력을 무너뜨릴 수 있는 대표적인 주말 습관들을 소개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첫 번째로 지적된 습관은 '아침식사 거르기'다. 주말에는 평소보다 늦게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아침을 거르고 점심을 한 끼로 해결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이런 습관은 오히려 폭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혈당 수치를 불안정하게 만들며 신진대사에도 악영향을 준다. 전문가들은 주말에도 규칙적으로 아침을 챙겨 먹을 것을 권장하며, 특히 단백질이 풍부한 식사를 추천했다. 계란, 요거트, 통곡물 등은 포만감을 오래 유지시켜주고 다음 끼니의 폭식을 줄여준다.

 

두 번째는 '몰아서 자기'다. 주중의 수면 부족을 보상하려는 심리로 주말에 긴 시간 동안 잠을 자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 역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하루에 9시간 이상 자는 것이 반복되면 체내 생체리듬이 흐트러지고, 오히려 피로감이 가중될 수 있으며, 비만과 당뇨, 만성 염증 질환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수면의 양보다 중요한 것은 일정한 수면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며, 주말에도 최소 7~8시간의 수면을 일정한 시간에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 번째 문제는 '잦은 외식'이다. 주말이면 친구나 가족과 외식을 계획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긴장을 풀고 사회적 유대를 다지는 데 좋은 시간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외식 메뉴는 대부분 칼로리와 지방 함량이 높고, 조리 방식이 튀기거나 볶는 경우가 많아 다이어트를 방해할 수 있다. 식단을 관리하고 싶다면 외식 메뉴 선택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하며, 가능하면 구운 요리나 샐러드, 삶은 요리 등 저지방, 저염식의 음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혹은 외식 계획이 있다면 하루의 다른 끼니는 집에서 가볍게 준비해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네 번째는 '과음'이다. 주말이면 한 주간 쌓인 스트레스를 술 한잔으로 푸는 사람들이 많다. 소량의 음주는 긴장을 완화시키고 분위기를 좋게 만들 수 있으나, 문제는 적정선을 넘는 과음이다. 술은 칼로리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간 기능을 저하시켜 체지방 축적을 유도하고, 음주 후 폭식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술자리를 피할 수 없다면 사전에 마실 양을 정해두고, 저도주 위주로 마시는 것이 좋다. 또한 음주 후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이튿날 가벼운 운동으로 해독을 돕는 것도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는 '운동 부족'이다. 주말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식'을 운동보다 우선시한다. 그러나 다이어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싶다면, 주말에도 운동 루틴을 완전히 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꼭 헬스장에 가거나 고강도의 운동을 하지 않더라도, 가벼운 조깅이나 30분 내외의 산책만으로도 활동량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주중에 운동할 시간이 부족했던 사람이라면 주말을 활용해 신체를 움직이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요약하자면, 살을 빼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말이라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일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아침 식사를 챙기고, 수면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외식과 음주를 조절하고, 가벼운 운동이라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결국 몸매 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주말은 ‘보상’이 아닌 ‘균형’의 시간이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50년 만에 깨진 '남성 전용 구역'... MLB 첫 여성 심판 젠 파월, 주심으로 나선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가 창설 150여 년 만에 첫 여성 심판을 맞이한다. 디애슬레틱과 AP통신 등 주요 외신은 7일(현지시간) 젠 파월(48)이 이번 주말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브레이브스와 마이애미 말린스의 경기에 심판으로 투입된다고 보도했다.파월은 오는 9일(현지시간) 더블헤더 경기에서 누심으로, 10일(현지시간) 경기에서는 주심으로 나선다. 여성이 MLB 정규시즌 경기에서 심판을 맡는 것은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로버트 맨프레드 MLB 커미셔너는 "파월이 노력과 헌신, 경기에 대한 애정으로 야구계에서 역사적인 성과를 일궈냈다"며 "그가 모든 여성과 소녀들에게 훌륭한 본보기가 돼 자랑스럽다"고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이어 "메이저리그를 대표해 뜻깊은 이정표를 세운 파월과 그의 가족에 진심으로 축하의 말을 전한다"고 덧붙였다.메이저리그심판협회(MLBUA)도 성명을 통해 "파월의 역사적인 메이저리그 데뷔를 축하한다"며 "이는 단순한 파월 개인의 성취를 넘어 심판계와 스포츠 분야에서 여성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끄는 획기적인 발걸음"이라고 평가했다.데이브 로버츠 LA다저스 감독 역시 "야구계가 포용성 측면에서 훌륭한 모습을 보여줬다"며 "경기를 지켜볼 예정이다. 야구계 전체에도 좋은 일"이라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뉴저지주 출신인 파월은 학창 시절 소프트볼과 축구 선수로 활약했다. 소프트볼 장학생으로 호프스트라 대학에 입학했으며, 2001년에는 미국 여자야구 국가대표로 발탁되기도 했다. 이후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대학스포츠협회(NCAA) 소프트볼 심판을 지냈고, 2015년 MLB 심판 트라이아웃 캠프를 수료했다.파월은 2016년부터 마이너리그에서 심판으로 활동하며 경력을 쌓았다. 지난해 2월부터는 MLB 스프링캠프 시범경기에서 심판을 봤는데, 여성이 MLB 시범경기 심판으로 나선 것은 2007년 리아 코르테시오 이후 14년 만의 일이었다.메이저리그는 다른 주요 프로 스포츠 리그에 비해 여성 심판 기용이 다소 늦은 편이다. 미국프로농구(NBA)는 이미 1997년에 첫 여성 심판을 배출했고, 미국프로풋볼(NFL)은 2015년, 국제축구연맹(FIFA)은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여성 심판을 투입했다. 다만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에서는 아직까지 여성 심판이 배출되지 않았다.파월의 메이저리그 심판 데뷔는 스포츠계에서 성별 장벽을 허무는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로 기록될 전망이다. 그녀의 첫 경기는 야구 팬들뿐만 아니라 스포츠계 전체의 관심을 모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