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모아

서울 지하철, 5개월간 '덥다춥다' 민원 28만건 폭탄...공사 '멘붕'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무더위가 서울 지하철 객실을 '냉난방 민원 전쟁터'로 만들고 있다. 숨 막히는 더위를 호소하는 승객과 에어컨 바람에 오한을 느끼는 승객들의 상반된 요구가 폭주하면서 서울교통공사가 고심에 빠졌다.

 

서울교통공사가 20일 밝힌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접수된 전체 민원 중 냉난방 불편 관련 민원이 28만 3972건으로 무려 75.5%를 차지했다. 이는 지하철 이용 관련 민원 4건 중 3건 이상이 냉난방 때문이라는 의미다. 특히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5월 한 달 동안에만 11만 건이 넘는 냉난방 민원이 집중적으로 쏟아졌다. 열차 내 냉난방 민원은 지난 2020년부터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온이 오르기 시작하는 5월부터 그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냉난방 민원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는 승객이 밀집하는 출퇴근 시간대다. 오전 7시부터 9시, 오후 6시부터 8시 사이에 '덥다'는 민원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동시에 '춥다'는 민원도 상당수 접수된다. 이 때문에 고객센터 상담원들은 같은 열차, 같은 시간대에 정반대의 민원을 받고 난감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지난해 분석 결과, 전체 '덥다' 민원의 71.9%에 달하는 62만 건 이상이 출퇴근 시간대에 몰렸으며, 특히 오전 8시에는 22만 9846건(26.5%)의 민원이 집중됐다. '춥다' 민원 역시 전체의 절반이 넘는 61.1%가 출퇴근 시간대에 발생했다.

 

호선별로는 수송 인원이 가장 많은 2호선에 냉난방 민원의 35.0%가 집중됐다. 이어 7호선(20.6%)과 5호선(12.6%)도 민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객이 많을수록 객실 혼잡도가 높아져 체감 온도가 상승하고, 자연스레 냉방에 대한 요구가 커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교통공사는 객실 내 냉난방 시스템이 개별 온도 센서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자동 조절된다고 설명했다. 열차 내 냉방 온도는 환경부 고시에 따라 일반칸은 24℃, 약냉방칸은 25℃로 설정되어 운영된다. 공사는 하절기 출퇴근 시간대에는 냉방 장치와 송풍기를 최대로 가동하고, 시간대별 승객 혼잡도에 따라 객실 온도를 탄력적으로 조절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냉방 민원 발생 시에는 양해를 구하는 안내 방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 승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공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민원이 끊이지 않는 것은 객실 내 기준 온도를 유지하더라도 열차 혼잡도나 개인별 신체 상태에 따라 느끼는 체감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공사는 이러한 점을 지하철 이용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공사는 승객들에게 쾌적한 지하철 이용을 위한 몇 가지 팁을 제공했다. 열차가 혼잡할 경우 객실 내 온도가 올라가므로, 스마트폰 앱 등을 통해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하고 비교적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또한, 객실 내에서도 위치에 따라 온도 차이가 발생하므로 체감 온도에 맞춰 자리를 이동하는 것도 방법이다. 열차 내 냉기는 주로 양쪽 끝 교통약자 배려석 주변으로 흘러 온도가 가장 낮고, 객실 중앙부가 온도가 가장 높게 느껴진다. 추위를 많이 타는 승객은 약냉방칸을 이용하면 좀 더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열차 내 긴급 민원 처리나 질서 저해자 대응 등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민원 처리에 집중할 수 있도록 과도한 열차 내 냉난방 민원 제기는 자제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백 사장은 "쾌적한 지하철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만큼, 승객 여러분께서도 지하철 이용 시 서로를 배려하고 양해해 주시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른 무더위 속 서울 지하철은 당분간 '덥다'와 '춥다' 사이의 균형점을 찾기 위한 공사와 승객들의 노력이 계속될 전망이다.

 

월급 500만원 직장인, 6억 대출 받으면 286만원 갚아야...이게 서민 주택정책?

 이재명 정부의 첫 부동산 정책인 6·27 대출 규제에 대해 "서민과 신혼부부, 청년의 '내집 마련의 꿈'과 '주거 사다리'를 걷어찼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박성훈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 같은 주장을 펼쳤다. 그렇다면 실제 6·27 대출 규제의 내용과 영향은 어떨까?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수도권 중심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의 핵심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것이다. 또한 40년까지 허용했던 주담대 만기를 30년 이내로 줄이고, 수도권이나 규제지역 내 다주택자의 추가 주택 구입 시 주담대를 금지했다. 1주택자도 기존 주택을 처분하지 않고 추가 주택을 구입할 경우 대출이 불가능하다. 소유 이전을 조건으로 한 전세대출도 막아 갭투자까지 규제했다. 특히 발표 다음날인 6월 28일부터 즉시 시행해 시장에 강력한 신호를 보냈다.보수 진영이 제시한 비판의 근거는 비싼 아파트 가격이다. 올 1분기 서울시 아파트 평균 가격은 14억6000만원으로, 기존 정책대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70%를 적용하면 10억2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했다. 즉, 4억4000만원의 자산만 있으면 내집을 마련할 수 있었다는 논리다. 그러나 대출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면 8억6000만원의 현금이 필요해져 서민들의 주택 구매가 어려워진다는 주장이다.하지만 이런 주장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대출은 LTV뿐만 아니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40%)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DSR은 총소득에서 대출원리금으로 사용하는 금액이 40%를 넘어서면 안 된다는 규제다. LTV로 10억원을 빌릴 수 있어도 DSR이 받쳐주지 못하면 대출금액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실제 2023년 서울시 직장인의 평균 연봉은 4979만원이었다. 연소득 5000만원에 DSR 40%를 적용할 경우, 최대한 빌릴 수 있는 주담대는 3억4800만원(30년 만기·연이율 4.0%)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신용대출, 자동차할부, 학자금대출 등 다른 대출이 하나도 없을 때 가능한 금액이다. 지난 7월 1일 시행한 스트레스 DSR 3단계를 적용하면 3억3000만원으로 더 줄어든다. 결국 서울에 사는 평균적인 직장인은 6억원을 빌리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온다.가령 6억원을 원리금균등상환(30년 만기·연이율 4%)으로 빌린다고 가정하면, 매월 갚아야 하는 원리금은 286만4491원에 달한다. 이는 월소득의 70% 이상을 대출 상환에 써야 한다는 의미로, 현실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다.6·27 부동산 정책의 효과는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국내 5대 시중은행 자료에 따르면 규제 시작 이후 서울 지역의 일평균 주담대 신청액은 3500억원대로, 정책 시행 전 7400억원 대비 52.7% 감소했다. 서울시 아파트값 상승률도 6월 넷째주 0.43%에서 다섯째주 0.40%로 소폭 감소했는데, 이는 올해 2월 이후 22주 만에 처음 둔화한 것이다.현재는 정책 기대감이 우려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초기 단계다. 6·27 대책이 부동산 문제의 만병통치약은 아니며, 문재인 정부처럼 '부동산을 잡으려다 되레 과열시키는' 결과를 낳을 가능성도 있다. 다만, 대출 규제를 통해 부동산 시장에 경고 신호를 보내는 데는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이 정책이 실제로 서민의 내집 마련 기회를 빼앗았는지, 부동산 시장은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