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헉 소리 나는 100억 달러! 레이커스, '역대급 몸값' 자랑하며 다저스 품으로

 미국프로농구(NBA)의 전설적인 구단 LA 레이커스가 스포츠 구단 매각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며 주인이 바뀐다. 현지 시각 19일, 'ESPN' 등 주요 외신들은 레이커스가 LA 다저스의 공동 소유주인 마크 월터에게 매각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이번 매각 금액은 무려 100억 달러(약 13조 8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이는 미국 프로스포츠 구단 매각 사상 최고가 기록을 압도적으로 경신하는 금액이다. 종전 최고 기록은 2022년 보스턴 셀틱스의 61억 달러였다.

 

레이커스는 1979년 제리 버스가 6750만 달러에 구단을 인수한 이래 그의 자녀들이 대를 이어 40년 넘게 운영해왔다. 제리 버스 시절 '쇼타임' 시대를 열며 NBA를 풍미했고, 코비 브라이언트, 샤킬 오닐, 르브론 제임스 등 슈퍼스타들과 함께 총 11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명문 구단의 위상을 굳건히 했다. 제리 버스 사망 후에는 딸인 지니 버스가 구단주로서 팀을 이끌어왔다. 불과 6750만 달러에 인수했던 구단의 가치가 100억 달러로 치솟은 것은 레이커스라는 브랜드가 가진 막대한 영향력과 가치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새로운 레이커스의 최대 주주가 될 마크 월터는 이미 LA 지역 스포츠계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이다. 그는 현재 메이저리그 명문 구단인 LA 다저스의 운영권을 가지고 있으며, 지주회사 TWG 글로벌의 수장으로서 WNBA LA 스파크스, 포뮬러1 팀 등 다양한 스포츠 자산에 투자하며 '스포츠 제국'을 확장해왔다. 2021년 이미 레이커스의 소액 주주로 먼저 참여했던 그는 이번 계약을 통해 구단의 전면에 나서게 됐다.

 


다만, 이번 매각이 구단 운영의 전면적인 변화를 의미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ESPN은 지니 버스가 매각 이후에도 레이커스 구단 운영에 계속 참여할 것이라고 전하며, 기존의 운영 기조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소유주의 자금력이 더해져 시너지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레이커스의 레전드이자 다저스의 소액 주주이기도 한 '매직' 존슨은 이번 매각 소식에 대해 즉각적인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는 자신의 X 계정을 통해 "레이커스 팬들은 기뻐해야 한다"며, 마크 월터가 "승리와 탁월함에 전념하는 인물이며, 승리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아낌없이 투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매직은 지니 버스와 월터가 경쟁심과 베푸는 마음 등 비슷한 성향을 가지고 있어 이번 변화가 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스포츠 역사상 최고가 기록을 세운 이번 레이커스 매각이 향후 NBA와 스포츠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마크 월터 체제 아래 레이커스가 또 어떤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 갈지 전 세계 농구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해외매출 78%... 미국인들이 더 열광하는 K뷰티 신흥 강자의 비밀

 글로벌 뷰티기업 에이피알(APR)이 K뷰티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지난 6월 LG생활건강을 추월한 데 이어 2개월 만에 아모레퍼시픽까지 제치며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업계 전문가들은 에이피알의 폭발적 성장 비결로 불모지 개척, 해외 진출 성공, 강력한 연구개발(R&D) 경쟁력 세 가지를 꼽는다.에이피알은 소비자들에게 생소하던 뷰티테크와 홈뷰티 시장을 개척한 선구자다. 2021년 화장품 중심이던 뷰티시장에 첨단 전자기기 '메디큐브 에이지알'을 출시해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미세전류 기술을 탑재한 이 디바이스는 피부 탄력과 재생, 피부결 개선 효과가 두드러지면서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당시 배우 김희선을 모델로 발탁해 SNS 중심의 마케팅을 펼치며 '김희선 마사지기', '김희선 탄력기기'라는 별명으로 인지도를 높였다. 메디큐브 에이지알은 지난 5월 기준 누적 400만대 이상 판매되는 대기록을 세웠다. 최근에는 글로벌 스타 헤일리 비버, 카일리 제너가 에이피알 제품을 사용하는 모습이 SNS에 올라와 화제가 됐으며, 신제품 모델로는 아이브(IVE)의 장원영을 발탁했다.이러한 성공에 힘입어 에이피알의 뷰티 디바이스 부문은 2분기 매출액이 900억원을 넘기며 전년 대비 32% 성장했다. 특히 '부스터 프로'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브랜드 인지도가 크게 높아졌다.에이피알의 두 번째 성공 요인은 과감한 해외 진출 전략이다. K팝과 K드라마 등 한류 열풍에 힘입어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가 각광받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미국뿐 아니라 일본, 중국, 유럽 시장에 동시다발적으로 진출하는 공격적인 확장 전략을 펼쳤다. 특히 해외에서 디바이스와 화장품을 함께 판매하는 '스마트 홈케어' 전략이 주효했다.이러한 전략으로 에이피알은 자연스럽게 사업 다각화를 이루었다. 디바이스 중심에서 화장품 분야로 영역을 넓혀 2분기 화장품·뷰티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3배 증가한 2270억원을 기록했다. 대표 브랜드 메디큐브는 미국 LA와 홍콩 팝업스토어를 거쳐 유럽까지 판로를 확대하며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에이피알의 해외 사업은 이미 국내를 넘어섰다. 2분기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은 78%에 달하며, 미국은 전체 매출의 29%를 차지해 국내(22%)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상반기 미국 매출만 1600억원을 넘었으며, 8월부터는 미국 뷰티 전문 편집숍 울타뷰티(ULTA)에서도 판매를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2분기에 366%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유럽 시장도 발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마지막 성공 요인은 강력한 R&D 경쟁력이다. 에이피알은 젊은 기업임에도 뷰티 디바이스 전문 R&D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는 30여 명의 전문가가 근무하며, 그중 10명은 의료공학 석박사 출신이다. 센터 리더인 신재우 실장도 연세대 의료공학과 박사 출신이다. 나아가 에이피알은 헬스케어 시장까지 진출을 준비 중이며, 내년 하반기 병원용 의료기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에이피알을 창업한 김병훈 대표(36)는 연세대 경영학과 재학 시절 미국 교환학생 경험을 통해 글로벌 이커머스와 모바일 혁신에 눈을 뜬 후 2014년 에이프릴스킨(현 에이피알)을 설립했다. 당시 자본금은 5000만원에 불과했지만, 로드숍 화장품 브랜드가 주류를 이루던 시장에서 온라인 중심 전략으로 차별화에 성공했다. 이후 메디큐브, 글램디 등 다양한 브랜드를 선보이며 사업 영역을 확장했고, 2021년 뷰티 디바이스 출시로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